•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ce values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9초

형광분석법에 의한 시설재배작물의 광합성 Stress 측정 (Stress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Greenhouse Plants as Measured by the Fluorescence Method)

  • 유장걸;송성준;한센우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3-190
    • /
    • 1994
  • 작물의 광합성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은 농업생산력 향상은 물론 각종 환경요인에 의해서 작물이 받게 되는 stress 평가를 하기 위해 중요한 일이므로, 형광분석법을 시설재배작물의 광합성 상태 측정에 이용하고자 배추와 딸기를 식물 재료로 하여 비닐하우스의 재배 환경 요인으로 작용하는 인자(광도, 온도, NaCl 농도, 토양수분)들이 엽록소형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배추와 딸기의 Fv/Fm 비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PS II 반응센터의 광에너지 전환효율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Fv/Fm 비가 $CO_2$ analyzer에서 측정된 광합성능과 역비례 관계를 보인 것은 Fv/Fm 비가 식물의 광합성상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온도처리의 경우 처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Fv/Fm 값이 높아졌다. NaCl 처리에 의해서 Fv/Fm 비와 광합성능이 낮아졌으며 딸기보다 배추에서 더 컸다. 또한 토양수분함량이 적어짐에 따라 Fv/Fm 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Fv/Fm 비가 광합성과 수분 stress 생리 관계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결과로써, 감귤의 경우도 토양 수분 함량이 낮을 때 Fv/Fm 비가 낮은 값을 보여 감귤나무의 수분 stress 정도를 In vivo 상태에서 경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예민한 방법으로 형광 분석법이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Effect of Lidocaine-HCl on Microviscosity of Phosphatidylcholine Model Membrane

  • Chung, In-Kyo;Kim, Inn-Se;Choi, Chang-Hwa;Cho, Goon-Jae;Kim, Jin-Bom;Son, Woo-Sung;Jang, Hye-Ock;Yun, 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3호
    • /
    • pp.243-251
    • /
    • 2000
  •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study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action of local anesthetics and to develop a fluorescence spectroscopic method which can detect the microviscosity of native and model membranes using intramolecular excimerization of 1,3-di(l-pyrenyl)propane (Py-3-Py), we examined the effect of lidocaine HCl on the microviscosity of model membranes of phosphatidylcholine fraction extracted from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PC). The excimer to monomer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I'/I) of Py-3-Py in liquid paraffin was a simple linear function of $T/{\eta}.$ Based on this calibration curve, the microviscosity values of the direct probe environment in SPMVPC model membranes ranged from $234.97{\pm}48.85$ cP at $4^{\circ}C$ to %19.21{\pm}1.11$ cP at $45^{\circ}C.$ At $37^{\circ}C,$ a value of $27.25{\pm}0.44$ cP was obtained. The lidocaine HCl decreased the microviscosity of SPMVPC model membran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microviscosity value by injecting the local anesthetic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0.5 m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rect environment of Py-3-Py in the SPMVPC model membranes is significantly fluidized by the lidocaine HCl. Also, the present study explicitly shows that an interaction between local anesthetics and membrane lipids is of importance in the molecular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action of lidocaine HCl.

  • PDF

옥수수의 파종시기 및 질소수준별 광화학적 반응 해석 (Photochemical Response Analysis on Different Seeding Date and Nitrogen (N) level for Maize (Zea mays L.))

  • 박소현;유성영;이민주;박종용;송기태;김태완;이병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7
    • /
    • 2015
  • 본 연구는 파종시기와 질소시비 수준에 대한 옥수수의 광화학적 반응을 분석하여 광생리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1. 5월 22일 파종시 질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육후기까지 엽록소 형광량 또한 증가하여 질소 배량처리에서 광이용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생육초기의 형광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엽록소 형광량이 50% 가량 감소하여 전자전달을 위한 광화학 반응이 크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3. 질소 반량구에서 활성화된 RC (RC/ABS)가 감소하며 13% 이상의 에너지가 손실되었으며, 결국 전자전달시 에너지 전환효율(PI, DF 등)이 감소해 광이용효율이 낮았다. 4. 배량 처리구는 생육후기로 갈수록 전자전달 효율(ET2o/CS) 및 단면당 활성화된 RC(RC/CS) 등 광이용 효율이 대조구 대비 크게 증가하여 광합성기구 사이의 전자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법에 의한 호소시료의 아나톡신-a 분석 (Analysis of anatoxin-a in aqueous and cyanobacterial samples from korean lakes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ion)

  • 이인정;이철구;허성남;이재관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225-230
    • /
    • 2011
  • 아나톡신-a는 Anabaena, Aphanizomenon, Oscillatoria 등의 남조류에서 생성되는 신경독소로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영천호 등의 호소에서 최근 Anabaena에 의한 수화현상이 늘어나고 안전한 상수원수의 확보를 위하여 아나톡신-a의 미량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나톡신-a를 고상추출한 뒤 4-fluoro-7-nitro-2,1,3-benzoxadiazole (NBD-F)로 형광 유도체화시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형광검출기(HPLC-FLD)로 분석하였다. 시험방법 validation 결과 직선성, 회수율, 재현성에서 모두 좋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방법검출한계(MDL)은 조체 시료의 경우 $0.034\;{\mu}g/g$, 물 시료의 경우 $0.022\;{\mu}g/L$로 비교적 좋은 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국내 안동호, 영천호 및 대청호에서 채취한 조체와 물 시료에서 아나톡신-a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조체 시료에서는 $0.135\sim10.979\;{\mu}g/g$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물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 Rapid Method for Estimating the Levels of Urinar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for Environmental Epidemiologic Survey

  • Kil, Han-Na;Eom, Sang-Yong;Park, Jung-Duck;Kawamoto, Toshihiro;Kim, Yong-Dae;Kim, He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7-11
    • /
    • 2014
  • Malondialdehyde (MDA), used as an oxidative stress marker, is commonly assayed by measuring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using HPLC, as an indicator of the MDA concentration. Since the HPLC method, though highly specific,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usually it is not suitable for the rapid test in large-scale environmental epidemiologic surve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estimating TBARS levels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that includes TBARS levels measured with a microplate reader as an independent variable. Twelve hour urine samples were obtained from 715 subjects. The concentration of TBARS was measured at three different wavelengths (fluorescence: ${\lambda}-_{ex}$ 530 nm and ${\lambda}-_{em}$ 550 nm; ${\lambda}-_{ex}$ 515 nm and ${\lambda}-_{em}$ 553 nm; and absorbance: 532 nm) using microplate reader as well as HPLC. 500 samples were used to develop a regression equation, and the remaining 215 samples were us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duce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is as follows: TBARS level (${\mu}M$) = -0.282 + 1.830 ${\times}$ (TBARS level measured with a microplate reader at the fluorescence wavelengths ${\lambda}-_{ex}$ 530 nm and ${\lambda}-_{em}$ 550 nm, ${\mu}M$) -0.685 ${\times}$ (TBARS level measured with a microplate reader at the fluorescence wavelengths ${\lambda}-_{ex}$ 515 nm and ${\lambda}-_{em}$ 553 nm, ${\mu}M$) + 0.035 ${\times}$ (TBARS level measured with a microplate reader at the absorbance wavelength 532 nm, ${\mu}M$). The estimated TBARS levels showed a better correlation with, and are closer to, the corresponding TBARS levels measured by HPLC compared to the values obtained by the microplate method. The TBARS estimation method reported here is simple and rapid, and that is generally in concordance with HPLC measurements. This method might be a useful tool for monitoring of urinary TBARS level in environmental epidemiologic surveys with large sample sizes.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공정에서 pH 및 용존산소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pH and dissolved oxygen in microorganism fermentation processes using a 24-well microplate)

  • 김선용;김춘광;손옥재;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207-2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GPTMS 졸-겔에 pH와 용존산소를 검출할 수 있는 6-aminofluorescein과 $Ru(dPP)_3\;^{2+}$를 고정화하였다. 제조한 검출막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E.coli JM109와 P.pastoris X-33의 발효중 pH와 용존산소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여 오프라인으로 측정 된 데이터와 비교, 고찰하였다. 여기파장 480 nm와 방출파장 600 nm에서 최적 형광 검출파장을 나타내는 용존산소 검출막에 흑연이 혼합된 절광층을 재코팅한 막이 0%와 100% 용존산소 조건에서 800 [RFU]의 형광세기 차이를 나타냈다. 제조한 용존산소 검출막을 사용하여 E.coli JM109와 p.pastoris X-33의 발효중 배양액내의 용존산소를 모니터링한 결과, 미생물의 성장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변화를 잘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한편, GPTMS 졸-겔에 6-aminofluorescein을 고정화하여 제조한 pH 검출막은 여기파장 480 nm와 방출파장 520 nm에서 최적 검출파장을 나타내었고 절광막을 재코팅한 검출막이 pH의 변화에 따라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제조한 pH 검출막에 E. coli JM109와 P.pastoris X-33을 배양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배양액의 pH 변화를 오프라인으로 측정하고 형광세기 변화와 비교하였다. 발효중 미생물의 유기산 생산과 단백질분해로 인한 pH 변화를 pH 검출막이 잘 모니터링 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pH와 용존산소 검출막은 높은 감도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발효중 pH와 용존산소를 온라인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PpIX 형광영상을 이용한 피부 기저세포암 자동검출 (Automatic Skin Basal Cell Carcinoma Detection Using Protophorphyrin IX((PpIX) Fluorescence Image)

  • 유홍연;전도영;김민성;홍성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1호
    • /
    • pp.47-54
    • /
    • 2008
  • 본 논문은 PpIX 유도물질인 포르피린 혼합제 methyl 5-aminolaevulinate(MAL)를 환자의 피부 종양부위에 도포하고, 우드램프를 이용하여 획득한 PpIX 형광영상으로부터 기저세포암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형광영상의 밝기값 특징을 분석하여 육안으로 확인이 가한 암이 존재하는 영역, 암이 존재할 수 있는 의심영역 및 암이 없는 정상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암이 존재하는 영역을 포함한 의심영역에 대해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화소와 유사한 값을 가지는 소규모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으로 분할된 소규모 영역들의 평균 밝기값 차이를 병합기준 척도로 사용하는 계층적 큐 기반의 고속 영역병합을 수행하여 정확한 기저세포암을 추출한다. 10명의 기저세포암 환자에게 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검출한 암영역에 대해 50개의 조직 샘플을 획득하고, 피부과 전문의가 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했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94.1%의 민감도와 82.6%의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추출결과를 제공한다.

생분해에 따른 용존 유기물질 성상 및 중금속 구리와의 결합특성 변화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Microbial Transformation and the Subsequent Effects on Copper Binding)

  • 정가영;허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9-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 환경 내에서 일어나는 주요 자연분획변환 과정 중 생분해 시 변화하는 용존 유기물질의 특성이 중금속 결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각각 호수와 하천 기원을 대표하는 Pony lake fulvic acid와 Suwannee river fulvic acid를 포함한 다양한 유기물을 대상으로 2주간 배양실험을 하여 변화하는 농도, 성상 및 중금속 구리 결합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시료 내 DOC농도는 감소하고 SUVA 값은 증가하였다. 특히 포도당 및 단백질계 탄소구조 함유비율이 높을수록 미생물에 의한 DOC 농도 분해율은 증가하였다. 포도당과 휴믹물질의 혼합비를 고려한 경우 배양 후 예측되는 혼합액의 DOC 감소율은 실제 측정값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SUVA값은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나 생분해성 물질과 휴믹물질이 혼재할 경우 탄소 구조 변화로 인한 휴믹화의 진행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였다. Synchronous 형광스펙트럼 결과 배양 후 Pony lake fulvic acid의 경우 휴믹산계 형광특성이, Suwannee river fulvic acid에서는 펄빅산계 형광특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포도당 시료에서는 배양 전 관찰되지 않았던 단백질계와 펄빅산계 형광특성이 관찰되었다. 중금속 구리와의 결합정도를 나타내는 log K 값은 미생물 배양 전과 후 휴믹물질 종류에 따라 변화가 없거나 혹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실험 결과는 미생물에 의한 휴믹물질 관련 형광구조의 증가가 중금속 결합력 강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혼합주의 종류에 따른 치아의 부식능 차이 평가 (Difference of dental erosive potential according to the type of mixed drink)

  • 김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39-744
    • /
    • 202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pH, 적정산도, 형광소실도(△F)를 이용하여 혼합주의 부식위험성과 부식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소주, 깔라만시+소주, 요구르트+소주, 콜라+소주, 에너지드링크+소주. 혼합주는 소주와 음료수를 7:3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pH와 적정산도(TA5.5, TA7.0; 음료의 pH를 5.5와 7.0까지 끌어 올리는데 필요한 1M NaOH의 양)는 교반하면서 pH미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합주의 부식능은 우치를 1, 2, 4, 6시간 동안 침적하였다가 각 시간마다 꺼내어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D)를 이용하여 촬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주는 평균 pH는 3.17 ± 0.50, 소주의 pH는 8.6 ± 0.01를 나타내었다. TA5.5와 TA7.0는 각각 0.5~18, 0.5~23.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요구르트 혼합주를 제외한 나머지 혼합주의 △F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요구르트 혼합주에서는 부식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깔라만시 혼합주가 가장 강한 산성과 부식능을 보였으며, 요구르트가 가장 약한 부식능을 나타냈다. 혼합주는 치아 법랑질에 강한 부식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ynergistic Effect of Ethaselen and Selenite Treatment against A549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Xu, Wei;Ma, Wei-Wei;Zeng, Hui-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129-7135
    • /
    • 2014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thaselen (BBSKE) and low fixed dose of selenite against A549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A549 cells were determined by SRB assay. Combination index (CI) values were calculated based on Chou-Talalay median-effect analyses. Dose reduction index (DRI) values were applied to calculate dose reduction of selenite. Contents of free thiols and GSH were determined by DTNB assay and intracellular ROS levels by DCFH-DA fluorescence labeling. Results: Compared with BBSKE or selenite single treatment, the combined application of ethaselen and a low fixed dose of selenite shortened the onset time of sodium selenite, reduced $IC_{50}$ values, and increased the maximum inhibition rates, suggesting a possible molecular mechanism of the synergism. Obvious synergistic effects were observed after different times of combination treatment, especially after 24 h. Compared with selenite single treatment, dosage of selenite could be remarkably reduced in combination therapy to gain the same inhibitory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Compared with BBSKE single treatment, the content of free thiols and GSH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ROS levels greatly elevated in the combination group.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cell viability increased as greater concentrations of GSH were added. Conclusions: 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BBSKE and selenite showed synergism to inhibit A549 cell proliferation in vitro, and also reduced the selenite dosage to mitigate its toxicity which is very meaningful for combination chemotherapy of lung cancer. The synergism was probably caused by the accelerated exhaustion of intracellular reductive substances, such as free thiols and GSH, which ultimately leads to enhan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