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ing

검색결과 1,930건 처리시간 0.039초

관광식물원 조성을 위한 식재수종의 선택과 배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Plantation for Development of Tourism Botanical Garden)

  • 허성수;김종현;한광희;신언동;강지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58
    • /
    • 1999
  • We designed the model picture of Tourism Botanical Garden, as a kind of theme park, in which we could enjoy flowers all the year round and the glorious tints of its autumn foliage. It would be very important to decide what kinds of trees should be planted and where to plant them. We selected the appropriate flowers and trees according to their value of appreciation and flowering time and the grand view around there and the weather conditions of the central region. We selected perennial plants as native plants, according to their color, flowering time and for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we selected some kinds of culture plants to show the seasonal change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ir color and flowering time. We adopted the roof-tile pattern of Pakjae Kingdom to design the basic model of the garden, and the area was divided into eight sections. Six of them were divided again into four small planting areas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kinds of trees; pine-tree area, native flowering plant area, flowering tree area and flowering shrub area. The last two sections are by a lake, so they could make a beautiful landscape of waterfront. For the effective and economic operation of the garden, some kinds of flower trees and shrubs, which are little damaged by blight and are needless to prune, were selected. And perennial plants were also selected, because we don't have to change them into other plants, so we could cut down the expenses. As for the culture plants, they could be easily replaced with other culture plants in the flowering time, to show seasonal change and the harmony with the scenery around the garden.

  • PDF

옥잠화(Hosta plantaginea Aschers.)의 개화습성, 수분양식 및 결실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of Hosta plantaginea Aschers)

  • 조규원;태경환;성순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9-314
    • /
    • 2005
  • 본 연구는 원예 및 조경용 식물로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 옥잠화에 대한 개화습성, 수분 양식 및 결실특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옥잠화는 주로 야간에 백색꽃이 개화하는 식물로 개화초기와 개화성기에는 대부분 풍매에 의해 수정되었고, 개화후기로 갈수록 착화 간격이 줄어들고 옥잠화 특유의 향기가 감소하여 풍매에 의한 착협율과 충매에 의한 수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착협율과 결실율은 방임구 각각에서 $33.3\%$$24.3\%$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인공교배는 각각 $65.0\%$$40.9\%$로 나타나 인공교배가 착협율과 결실율에서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간에 있어서 하루 중 수정율은 개화성기인 $19\;:\;00{\sim}20\;:\;00$시에서 높았으며, 이때의 최적온도는 $25{\sim}28^{\circ}C$ 이었다.

버찌와 꿀을 함께 발효한 버찌-꿀 술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Wine Fermented with Fruit of Flowering Cherry and Honey)

  • 장기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103-3108
    • /
    • 2011
  • 탄소원으로 꿀을 사용하여 제조한 버찌-꿀술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버찌-꿀술의 발효는 Saccharomyces bayanus (EC-118)를 스타터균으로 하여 발효액 2 L를 사용하여 30일 동안 진행하였다. 발효전 발효액에서 가장 많은 탄수화물은 과당이었으며, 포도당과 설탕 순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 동안 포도당은 효모균에 의하여 과당보다 빠르게 이용되어 사라졌으며, 발효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과당/포도당 비는 증가함을 보였다. 발효액의 pH와 효모 생균수는 발효 초기 5일 동안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나 발효액의 $^{\circ}Brix$(%)는 30일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버찌-꿀술은 산가 0.43%, pH 3.5, $9.7^{\circ}Brix$(%), 에탄올 농도 14%였다. 버찌-꿀 술의 양조특성을 규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버찌의 기능성이 확보된다면 버찌-꿀 술의 개발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파종기이동에 따른 결명(Cassia tora L.)의 개화의 결협특성 (Flowering and Pod Setting Characteristics of Cassia tora L. Grown under Different Planting Time)

  • 김광호;조선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6-251
    • /
    • 1989
  • 파종기 이동에 따른 결명의 개화와 결협 특성의 변이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 4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2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파종하여 개화 및 협발달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월 20일, 5월 10일 및 5월 30일 파종구의 개화시와 개화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6월 20일 파종구의 개화시는 크게 늦어졌고 개화기간도 짧아졌다. 그러나 개화종자일은 어느 파종구나 비슷한 시기였다. 2. 주당 개화수, 착협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착협율과 결협율은 4월 20일, 5월 10일 및 5월 30일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6월 20일 파종구에서는 크게 떨어졌다. 3. 어느 파종구에서나 개화시 이후 4일째부터 개화최성기가 시작되고 일정한 기간동안 일별 개화수가 비슷하게 유지되다가 개화종자일에 가까워지면서 개화수가 약간씩 감소하였다. 4. 결명은 주경 및 분지의 하위절에서부터 상위절로 올라가면서 피는 무한화서를 가지고 있었으며 주경의 결협률이 분지보다 높았다. 5. 어느 파종기에서나 개화시로부터 2주째에 핀 꽃들의 착협수 및 결협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이후 개화기가 늦어질수록 착협수와 결협수가 감소하였고 9월초순 이후에 핀 꽃들은 결협으로 연결되지 못하였다. 6. 4월20일, 5월10일 및 5월30일 파종구에서는 개화시로부터 2주째에 핀 꽃에서 발달된 협의 길이, 협당 종실수 및 천입중이 최대치에 달했으며 그 이후 개화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6월 20일 파종구는 꽃이 늦게 필수록 협장, 협당 종실수 및 천입중이 감소하였다.

  • PDF

옥수수 교잡종채종에 있어 유식물절단 비닐피복 및 파종기에 의한 자식계통 개화기조절 (Synchronization of Flowering for Hybrid Com Seed Production by Clipping Young Plants Clear Polyethylene Mulching and Planting Date)

  • 강영길;박근용;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1-487
    • /
    • 1983
  • 교잡종 옥수수 종자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종자친과 화분친의 개화기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4엽기와 6엽기에 생장점 상부와 상부 5㎝에서의 식물체절단, 투명비닐피복, 파종기 등이 마치종 자식계통 KS5와 B68의 개화기, 생장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장점 상부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6-9일, 출사기를 5-13일 지연시켰으나 입모가 30-70%, 파종량이 67-81% 감소되었다. 생장점상부 5㎝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1-3일, 출사기를 1-4일 지연시키면서 임모를 감소시키지 않으나 파종량을 3-29% 감소시켰다. 6엽기의 절단이 개화지연효과가 다소 크나 생장점 상부 절단의 경우 입모 감소가 컸었다. 2. 투명비닐피복에 의하여 KS5와 B68의 화분비산일수는 모두 13일, 출사일수는 각각 13, 15일 단축되었고 채종량도 B68의 경우 47% 증가되었다. 3. 파종기가 14-56일 지연됨에 따라 KS5의 화분비산기는 3-29일 B68의 경우는 2-25일 지연되었다. 출사기는 화분비산기보다 2-4일 늦었다.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두 계통의 파종에서 개화까지 일수가 단축되었으나 같은 기간의 유효적산온도(GDD)는 비슷하여 파종기에 의한 개화기조절시 GDD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파종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B68이 감소 정도가 컸었다.

  • PDF

광주기식물의 개화유도에 미치는 2-Chloroethylphosphonic Acid(Ethephon)의 효과에 관한 연구 I. Ethephon에 의한 Lemna perpusilla 6746 개화억제 (Studies on the Effect of 2-Chloroethylphosphonic Acid (Ethephon) on the Floral Induction in Photoperiodic Plants)

  • 맹주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2호
    • /
    • pp.77-82
    • /
    • 1977
  • The inhibiotory effect of ethphon on the flowering in Lemna perpusilla 6746 was shown to be related to sucrose concentrations and dilution factors of Hutner's medium. When grown in 1/10-strength Hutner's medium under 10(14) cycles, the plants have been completely inhibited in the floral induction by ethephon (>5ppm) in the presence of sucrose (>20 mM) in the meduim. However, in a less diluted Hutner's medium (1/2-strength), the inhibition of flowering by ethephon was observed to be partially diminished by sucrose at a high concentration (30mM), while a low concentration of sucrose enhanced the inhibitory effect of ethephon in flowering. As inductive dark periodswere extended, the effects of both compounds were partially nullified. Since no significant amount of ethylene possibly released in ethephon decomposition in the medium was detected, the inhibitory effect of ethephon in flowering was postulated to be exerted only through ethylene production within the plants. Plants were incubated in 10 ppm ethephon-containing medium during either dark or light periods, singly or periodically. The most effective single treatment with ethephon was observed during the 4th dark period, when formation of floral stimulus was assumed to be completed beyond a critical level. This postulation can be partially supported by a fact that the plants should be exposed to at least more than four consecutive 10(14) cycles for flowering.

  • PDF

일장 및 온도처리가 관상용 Nicotiana species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Flowering Responses of Ornamental Nicotiana species)

  • 구한서;김정환;이용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7-134
    • /
    • 1989
  • Several growth characteristics of two ornamental tobacco species, Nicotiana sanderae and N. affini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lso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the flowering of the tobacco plants were evalua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breeding and cultivation. 1. The plants were great in high temperature-long day at the early stage and in low temperature-short day at the late stage of plant growth, for both Nicotana species. At the early growth stage the leaf length N. sanderae was great in high temperature-long day, and that of N. affinis was great in high temperature-short day period, while at the late stage of the plant growth the leaf lengths were more significantly effected by the temperature rather than daylength. Leaf width and leaf shape index were less sensitive to the conditions. 2. For both of the species, the total number of tobacco leaves not much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dding and flowering period between the two species, both of which were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daylength with more influence by daylength than temperature. 4. Number of floral stalks, number of flower and flowering period were not much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daylength; however, N. affinis had 2 more floral stalks, 31 more flowers, and 6 day longer flowering period than N. sanderae.

  • PDF

인삼종자 생장과정에서 사포닌, 유리당 및 지방산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Ginsenosides, Free Sugars and Fatty Acids in Developing Ginseng Seed)

  • 이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4-137
    • /
    • 1988
  • 인삼 종자의 발육시기별 종자 및 배유의 크기, 사포닌, 유리당 그리고 지방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길이, 폭, 두께) 생장은 개화후 35 일경에, 배유의 크기 생장은 개화후 50일경에 완료되었으나 장육을 제거하지 않은 종자의 무게는 개화후 65일까지 감소되었다. 2. 총사포닌 및 ginsenosides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다. 3. Glucose, malt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으나 sucrose 함량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4 Palmitic 산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이었으나 oleic, linoleic 및 stearic산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 PDF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Moon Festival" with Vigorous Semi-Double Flower Type and Light-ivory White Petals for Cut Flower

  • Lim, Jin-Hee;Shin, Hak-Ki;Park, Sang Kun;Cho, Hae-Ryong;Rhee, Hye-Kyung;Kim, Mi-Seon;Joung, Hyang You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6-339
    • /
    • 2008
  •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Moon Festival' was releas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in 2007. A cross was made in 2002 between '01B1-559', a breeding line of NHRI and 'Baeksokuk', a spray cultivar with white petals.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5 to 2007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ing culture in summer and retarding culture in autumn.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Moon Festival"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shading and lighting treatment. The cultivar is semi- double type flowers with light-ivory white petals and green flower center. Flower neck and stem are very hardy. The diameter of flower is 67.5 mm. The number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is 11.5 and 100.5, respectively. The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is about 54 in autumn season.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Golden Festival' with Vigorous Semi-Double Flower of Yellow Petals for Cut Flower

  • Lim, Jin-Hee;Shin, Hak-Ki;Park, Sang Kun;Cho, Hae-Ryong;Rhee, Hye-Kyung;Kim, Mi-Seon;Joung, Hyang You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95-498
    • /
    • 2008
  •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Golden Festival' was releas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in 2007. It was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open-pollination of 'Torbay' in 2002.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5 to 2007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ing culture in summer and retarding culture in autumn.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Golden Festival'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shading and lighting treatment. The cultivar is semi-double type flowers with bright yellow petals and green flower center. Flower neck and stem are very hardy. The diameter of flower is 56.5 mm. The number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2.0 and 93.5, respectively. The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0 in spring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