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참당귀의 화아분화(花芽分化) (Differentiation of Flower Bud of Angelica gigas NAKAI)

  • 안상득;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6-148
    • /
    • 1994
  •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에서 일반(一般) 관행법(慣行法)으로 재배(栽培)할 때 5월(月)제(第)1본엽(本葉) 출현후(出現後)부터 5월(月) 하순(下旬) 제(第)3본엽(本葉) 출현시(出現始)까지 경단조직(莖端助織)의 화아분화(花芽分化) 상태(狀態)를 관찰(觀察)한 바 참당귀의 화아분화(花芽分化)는 제(第)2본엽(本葉)이 출현한 5월(月) 중순경(中旬頃)으로 관찰되었으나 묘소질의 차이에 의한 개체별 분화기변리(分化期變異)가 심(甚)하였다. 따라서 재배관리상(栽培管理上) 추대(抽臺)를 억제(抑制) 또는 감소(減少)시킬 목적(目的)으로 억제(抑制) 물질(物質) 처리(處理), 일장(日長)이나 광도조절(光度調節) 등의 인위적(人爲的) 조치(措置)는 이 시기를 고려함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육묘(育苗) 야간온도(夜間溫度) 처리(處理)가 고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ght Temperature Treatment of Raising Seedlings before Transplanting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Pepper)

  • 서진욱;황재문;오세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5
    • /
    • 2006
  • 풋고추(청양)의 육묘 온도를 주간온도는 같게 하고 야간온도를 달리하여 유묘의 화아분화와 생장 및 포장에서의 생장을 조사하였다. 육묘기간 중의 야간 온도가 높을수록 고추 묘의 엽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화아분화 및 첫 개화일은 단축되었다. 정식 후 초장, 경경, 분지장, 절간장은 저온구($28/11^{\circ}C$)에서 증가한 반면 고온구($28/21^{\circ}C$)에서 억제되었다. 측지수는 고온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온도 처리에 따라 주경에서 발달하는 1차분지의 수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고추 모종의 생장은 저온구에서 억제되었다가 하우스에 정식한 후부터 점차로 회복된 반면, 고온구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네오레게리아 기내배양시 변이발생과 기외 생육 (Variation of the Regenerated Plantlets from in Vitro Culture of Neoregeria carorinae 'Tricolor' and in Vivo Growth of Regenerated Plantlets)

  • 정향영;한봉희;신학기;김의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73-276
    • /
    • 1995
  • 네오레게리아(Neoregeria carorinae 'Tricolor')의 기내배양시 무늬소실을 줄일 수 있는 재료의 채취시기와 발근을 위하여 기내에서 처리된 오옥신이 온실에 이식된 식물체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화아분화 4주후(III단계)에 미숙화기를 배양한 것이 분화된 식물체 중 정상 식물체가 67%로 가장 많았고, 화아분화 직후 및 화아분화 5주후에 배양한 것은 모두 반입이 소실되었다. 미숙화기와 액아를 배양하여 나온 식물체중 정상식물체 획득율은 미숙화기 배양에서는 67%, 액아배양에서는 56.2%였다. 미숙화기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가 액아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보다 온실재배에서 생육이 월등이 좋았고, 개화율도 미숙화기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는 27.8%이었으나 액아를 배양하여 얻은 식물체는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IBA 0.5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시킨 식물체의 기외생육이 왕성하였으며, 기내에서 처리한 오옥신 종류와 농도는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체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ndogenous Polyamines and Floral Bud Differentiation in Chrysanthemum morifolium under Short-day Conditions

  • Guo, Jun-E;Li, Tian;Sun, Xianzhi;Zheng, Chengshu;Sun, Xia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31-38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genous polyamines (PAs) and floral bud differentiation in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In this study, PA content (free, bound, and conjugated) in apical buds, leaves, and roots changed appreciably during floral bud differentiation. PAs accumulated during series of processes such as floral induction, differentiation of floret primordia, and crown formation in apical buds; changes in PAs in apical buds may have a relationship with those in leaves and roots. The levels of free PAs and conjugated PAs [putrescine (Put) and spermine (Spm)] in apical buds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initiation stage of floral bud differentiation, while free and conjugated spermidine (Spd) reached their highest levels at the stage of floret primordium differentiation. In the free, conjugated, and bound PA fractions, the changes in Spm content were negligible compared to those of Put and Spd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s participate in regulating the process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in chrysanthemum.

Comparison of Environment, Growth,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Standard Cut Chrysanthemum 'Jinba' in Conventional and Smart Farms

  • Roh, Yong Seung;Yoo, Yong Kw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55-66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growth of cut flow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conventional farms and smart farms growing the standard cut chrysanthemum, 'Jinba'. Methods: Conventional and smart farms were selected, and facility information, cultivation environment, cut flower growth,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conventional and smart farms were located in Muan, Jeollanam-do, and conventional farming involved cultivating with soil culture in a plastic greenhouse, while the smart farm was cultivating with hydroponics in a plastic greenhouse. The conventional farm did not have sensors for environmental measurement such as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and pH and EC sensors for fertigation, and all systems, including roof window, side window, thermal screen, and shading curtain, were operated manually. On the other hand, the smart farm was equipped with sensors for measuring the environment and nutrient solution, and was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day and night mean temperatures, relative humidity, and solar radiation in the facilities of the conventional and the smart farm were managed similarly. But in the floral differentiation stage, the floral differentiation was delayed, as the night temperature of conventional farm was managed as low as 17.7℃ which was lower than smart farm. Accordingly, the harvest of cut flowers by the conventional farm was delayed to 35 days later than that of the smart farm. Also, soil moisture and EC of the conventional farm were unnecessarily kept higher than those of the smart farm in the early growth stage, and then were maintained relatively low during the period after floral differentiation, when a lot of water and nutrients were required. Therefore, growth of cut flower, cut flower length, number of leaves, flower diameter, and weight were poorer in the conventional farm than in the smart farm. In terms of management performance, yield and sales price were 10% and 38% higher for the smart farm than for the conventional farm, respectively. Also, the net income was 2,298 thousand won more for the smart farm than for the conventional farm.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roved growth of cut flowers and high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smart farm were due to precise environment management for growth by the automatic control and sensor.

미숙화기와 액아에 의한 네오레게리아의 기내 번식 (In Vitro Propagation of Neoregeria carorinae cv. Tricolor from Immature Flowers and Lateral Buds)

  • 정향영;박봉규;유창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3-227
    • /
    • 1995
  • 네오게레리아의 대량번식을 위해 미숙화기와 액아를 배양하였으며, 배양에 적합한 재료 채취시기,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 및 배양방법이 부정아 형성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미숙화기는 화아분화 4주후에, 액아는 화아 분화 7주후에서 절취하여 배양하는 것이 부정아 형성률이 가장 높았다. 부정아 형성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MS + BA 1 mg/L + BA 0.5 mg/L이었다. 고체배지가 액체배지보다 부정아 형성 및 생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NAA 1 mg/L이었다. 액체배지가 고체배지보다 신초의 발근 및 생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 PDF

카네이션 약배양에 있어서 저온전처리, 암처리 및 Ficoll처리가 캘러스 형성 및 기관분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ld Pretreatment, Dark Condition, and Ficoll on the Callus Formation and Organ Differentiation in Anther Culture of Carnation)

  • 이수영;김재영;김태일;고재영;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38-140
    • /
    • 1999
  • 카네이션의 약배양 기술을 확립하고자 저온 전처리, 암처리, Ficoll처리가 약배양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배양에 적합한 화분의 발육단계인 1핵기 소포자 전후 화분의 약을 가지는 카네이션 화뢰의 직경은 4~6mm이었다. 카네이션 약배양 후 캘러스 형성과 배양 후 약의 반응에 가장 효과적인 저온전처리 기간은 7일이었다. 명배양하는 것보다 암배양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과,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root 분화에 효과적이었다. Ficoll처리는 캘러스 형성에 큰 효과는 없었지만,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신초와 root가 분화되었다.

  • PDF

인삼 배배양에 관한 연구 제1보 불정아 및 화기출현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Studies on the Embryo Culture of Korean Ginseng 1.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Adventitious bud formation and Flower Emergence)

  • 정찬문;김요태;조재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79-83
    • /
    • 1989
  • 인삼을 배배양하여 생장조절물질 IBA, GA 그리고 BA 처리에 따른 부정아 발생과 유묘 분화 그리고 화기출현 등을 조사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정아의 발생 및 유묘 분화는 IBA 1mg/l와 GA 5mg/l를 조합처리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2. 부정아는 줄기 원기의 기능이 있어 분화하여 다량의 유직물이 되었다. 3. 부정아의 발생 형태는 배축부위에서 5~10회 정도가 윤생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4. 기내 화기 발생은 유묘가 분화되어야만 가능하였고 IBA, GA 그리고 BA를 각 3mg/l씩 조합처리하였을시 18.4%가 출현하였다.

  • PDF

폐광의 냉기 및 냉수를 활용한 야냉육묘가 딸기의 화아분화 촉진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Cool Air and Water from an Abandoned Coal Mine on the Induction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of Strawberry Plants)

  • 김일섭;유근창;강화석;정천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1호
    • /
    • pp.15-17
    • /
    • 1998
  • 폐광에서 유출되는 냉기 및 냉수를 활용하여 시설내에서 딸기를 야냉단일처리하여 개화, 화방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개화율은 정식 70일후 대조구에서 65% 이하로 나타났지만, 야냉단일 처리구에서는 품종과 처리에 관계없이 100% 이었다. 화방 및 화뢰수는 전 품종에서 대조구에 비해 야냉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평균 개화일수도 야냉처리에서 7-15일 정도 단축되었다. 과실 및 총수량은 '수홍'이 5주 처리에서 개당 24.2g으로 가장 많았고, 대조구에 비해 야냉단일 처리구에서 수확기간내의 총수량이 6-7배 증가하였으며, 평균 수확일은 정식 후 80-97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the Cultivation of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 Oh, Hoon Geun;Lee, Joung Won;Lee, Gyeong Ja;Park, Jae S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1-596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gibberellin treatment technique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Seedlings were planted in 12cm-diameter pots on October 2016 and grown in green house. Ambient temperature in the green house was set at minimum $15^{\circ}C$ during day and night to suppress flower initiation at cold temperature condition. Two different types of gibberellin, $GA_3$ and $GA_{4+7}$, at 4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100, 200, 400 and 600 mg/L, were tested in this study. Gibberellin was sprayed first at planting and secondly at 1-week after planting. Ten to fifteen ml of gibberellin was sprayed for each pot. Plant height and petiole length were elongated by both gibberellin types, flowering was more enhanced by $GA_3$ (91.7~100%) compared to of $GA_{4+7}$. However, abnormal flower was less observed in $GA_3$ treatment (0~16.7%) than $GA_{4+7}$. Number of flower stalks per plant ranged from 1.9 to 2.5. Number of flowers per plant ranged from 6.8 to 10.3. Differences in flowering characteristics between treat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ptimal gibberellin treatment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 japonica Nakai & H. Hara substituting cold treatment was $GA_3$ at the concentration between 400 mg/L to 600 m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