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behavior index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상류부 선형특성을 반영한 지방부 왕복 4차로 연속류 도로의 주행속도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ng Speed Prediction Models Reflecting Alignment Characteristics of the Upstream Road Sections at Four-Lane Rural Uninterrupted Flow Facility)

  • 조원범;김용석;최재성;김상엽;김진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41-153
    • /
    • 2010
  • 본 연구는 주행속도 프로파일 모형의 구성요소 중 주행속도 예측모형과 관련한 것으로서 지방부 왕복 4차로 도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기존 연구들과는 대상도로, 속도 조사방법론 및 선형유형 구분에서 그 차별점이 있다. 기존의 대다수 연구들은 평면곡선부 및 평면직선부 중앙의 지점속도를 측정하고 이 자료를 활용하여 각각의 주행속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감가속이 평면직선부에서만 발생하고 평면곡선부에서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는 주행행태에 대한 전통적인 가정에 기반한 것으로서, 구축된 모형에 의해 예측된 주행속도가 과대 과소추정 되거나 또는 실제 운전자의 주행행태를 제대로 묘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연구는 현장에서 약100m 간격으로 연속 조사된 속도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도로상에서 관측되는 주행속도 프로파일을 작성하였으며, 연속적인 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모형구축에 활용될 자료를 추출하였다. 주행속도 예측모형은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조합에 따라 6가지 선형유형으로 구분되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행속도 조사방법 및 선형유형 구분은 주행속도 예측모형에 활용되는 자료 및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형의 신뢰도를 제고함과 더불어, 연속적인 속도 변화 흐름을 상세하게 분석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가감속 행태 분석 등 향후 주행행태 관련 분석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설계속도 기반의 현 도로설계기준을 주행속도 기반의 기준으로 보완하는데 활용되어 도로설계자 또는 정책결정자가 아닌 실제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의 관점에서 도로가 설계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레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sucrose Composite)

  • 조선아;유병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4-189
    • /
    • 2008
  • 농도(0, 10, 20, 30%, w/w)를 달리한 sucrose가 혼합된 고구마 전분 페이스트(5% w/w)의 정상유동 특성과 동적 점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정상유동 특성은 power law 모델 및 Casson 모델로부터 레올로지 계수를 결정하였다. 일정한 온도(25$^{\circ}C$)에서 모든 시료들은 높은 항복응력과 함께 pseudoplastic과 thixotropic 거동을 나타내었다.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의 점조도 지수(K), 겉보기 점도(${\eta}_a$), 그리고 항복응력(${\sigma}_{oc}$) 값들은 control(0% sucrose)에 비해 10% sucrose가 더 높았으며, 또한 sucrose 농도(10-30%)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값들은 감소하였다. 팽윤력은 30% 농도에서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레올로지 계수(K, ${\eta}_a$, ${\sigma}_{oc}$)값이 낮게 나타난 시료는 낮은 팽윤력을 보여주었다. 온도 의존성은 25-70$^{\circ}C$ 온도 범위에서 Arrhenius 관계식에 의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적 점탄특성 측정 결과에 의하면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은 약한 젤과 같은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G'과 G" 값들은 sucrose 농도와 진동수($\omega$)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x-Merz 중첩원리는 30% sucrose 농도를 가진 고구마전분-sucrose 복합물에서 잘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ucrose 첨가에 의해 고구마전분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들 특성은 sucrose의 농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두상 갑상선암에서 예후인자와 DNA배수성의 상관관계 (Assessment of DNA Ploidy Patterns in Connection with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정웅윤;이종훈;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3-160
    • /
    • 1996
  • Regardless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such as sex, age, size of tumor, extent of disease, and distant metastasis, the prognosis of papillary thyroid cancer is sometimes difficult to predict from clinical and microscopic analysis alone and additional prognostic indicators are needed. Recent studies of thyroid cancer have indicated that DNA aneuploidy may be correlated to the biological behavior of malignancy and inversely correlated to the prognosis, but it still remains contraversal. We performed this study to assess DNA ploidy patterns in relation with the previously known prognostic factors in AMES scoring system and lateral neck node metastasi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A series of 132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and 80 patients with benign thyroid tumor(27 follicular adenomas and 53 adenomatous goiters) as a control group from October 1993 to Feburary 1995 were analyzed and their nuclear DNA content was measured with flow cytometry using fresh tissue specimens. DNA aneuploidy was found in 8(6.1%) in papillary cancer and 8(10%) in benign tumor. S-phase traction(SFP) and proliferative index(PI) were higher in thyroid cancers, being 2.18$\pm$4.24%, 6.34$\pm$4.94% in the papillary thyroid cancers and 1.97$\pm$2.93%, 4.44$\pm$3.80% in the benign tumor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values between two groups(p>0.05). Among variable prognostic factors studied(age, sex, size of tun or, extent of disease, distant metastasis in AMES scoring system and lateral neck node metastasis), DNA aneuploidy was found to be common in distant metastasis(p<0.001) and in lateral neck node metastasis(p>0.03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risk and low risk group according to the AMES scoring system(p<0.08). In our study, DNA aneuploidy was not valuable in determining the presence of malignancy and did not correlate to the AMES scoring system. However, follow-up study of more cases will be needed for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NA ploidy as a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 PDF

제주산 우뭇가사리로 부터 추출한 한천용액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Agar Solution from Cheju Seaweed, Gellidium amansii)

  • 강훈이;고문섭;김현주;김성우;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22-726
    • /
    • 1996
  • 온도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가역적 교질특성과 강한 gel화능으로 식품첨가물 뿐만 아니라 공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한천을 식품산업에서 신소재로서 기능성물질로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 우도산 우뭇가사리로 부터 한천을 열수 추출하여 유동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한천용액은 비뉴우톤 유체로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pseudoplastic특성을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한천용액의 유동특성값으로 유동성지수는 $0.5\~5\%$의 범위에서 $80^{\circ}C,\;60^{\circ}C$$50^{\circ}C$에서 각각 $0.62\~0.69,\;0.46\~0.67$$0.34\~0.64$이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 하였다. 그리고 점조도지수는 $0.12\~1.26\;Pa{\cdot}s^n,\;0.12\~7.28\;Pa{\cdot}s^n$$3.9\~19952.6\;Pa{\cdot}s^n$이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다. 점조도지수의 농도의존성은 한천농도 $2\%$를 경계로 기울기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선관계를 보였으며, 온도의존성은 Arrhenius식에 잘 따랐으며, 한천용액의 농도 $0.5\~5\%$ 범위에서 활성화에너지는 $0.09\~13.51\;Kcal/g{\cdot}mol$이였다.

  • PDF

보리 파쇄립을 이용한 압출성형에 의한 후레이크 제조 (Preparation of Flakes by Extrusion Cooking Using Barley Broken Kernels)

  • 최희돈;석호문;최인욱;박미원;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76-282
    • /
    • 2004
  • 쌀보리와 거의 유사한 식품학적 특성을 지니지만 활용도가 극히 낮은 보리 파쇄립을 이용하여 압출성형에 의한 보리 후레이크를 개발하였다. 압출성형시 $100^{\circ}C$ 이상의 온도, 35% 이상의 수분함량에서 파쇄립이 충분히 호화되었으며, 메성보리 파쇄립의 경우 찰성보리에 비해 절단성, roll 분리성 등이 우수하였다. 메성 및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을 달리하면서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pellet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RVA 상의 최고점도가 감소하였고 또한 겉보기 점도와 항복력이 감소한 반면 유동지수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oil frying하여 제조한 후레이크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압착강도와 bulk density가 크게 감소하였고 단면상에서의 air cell 크기가 커지고 cell을 이루는 body가 얇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능검사 결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조직감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였고 메성과 찰성보리 파쇄립의 혼합비율 (60-70):(30-40) 처리구의 경우 관능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포화토 내 강우침투에 따른 포화깊이비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 (Analysis of Slope Stability Considering the Saturation Depth Ratio by Rainfall Infiltration in Unsaturated Soil)

  • 채병곤;박규보;박혁진;최정해;김만일
    • 지질공학
    • /
    • 제22권3호
    • /
    • pp.343-351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무한사면 안정해석식을 바탕으로 불포화토 내에 강우침투 시 지표로부터 시간에 따른 토층의 포화깊이비를 새로운 변수로 삽입하여 무한사면 안정해석 수정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고려하지 못했던 시간에 따른 포화깊이비와 지표하 흐름 깊이의 개념을 새로이 도입하였으며, 유사동력학적 습윤지수 이론에서 도출되는 해석대상 지역의 유효상부기여면적, 지표하흐름 깊이, 포화깊이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시간에 따른 포화깊이비를 반영한 무한사면 안정해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시간에 따른 강우의 변화양상과 사면 안전율 변화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Park et al. (2011 a)가 실시한 불포화토 칼럼시험을 통한 강우침투 속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토층의 포화깊이비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해석을 통해 편마암 풍화토의 토층 내 강우 침투속도를 고려하여 포화깊이비가 변화함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연속강우의 경우 안전율이 1.3 이하로 감소하는 시간이 강우강도 20 mm/h 조건에서 2.86 ~ 5.38시간이고, 강우강도 50 mm/h 조건에서는 1.34 ~ 2.92시간으로 나타났다. 반복강우의 경우, 안전율이 1.3 이하가 되는 시간은 강우조건별로 3.27 ~ 5.61시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층 내 강우침투속도 차이에 따른 포화깊이비 변화를 고려한 무한사면의 안전율 변화 파악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