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r dry cement morta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균열저감형 바닥마감전용 모르터의 건조수축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ry-Shrinkage Properties For Floor Mortar With Crack-Reducing)

  • 이종렬;이웅종;채재홍;박경상;김기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75-180
    • /
    • 1999
  • The heating system of korea apartment house is called Ondol. The surface finishing mortar of this floor system typically used the cement based mortar, where the surface finishing mortar easily appears the crack. To order to crack control, the cement that added expansive additive used to reducing dry-shrinkage. For the surface finishing mortar, the types of shrinkage is known as plastic shrinkage, dry-shrinkage and autogenous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n dry-shrinkage of the cement that added expansive additives and OPC. The test method is varied the ration of water/cement (W/C) and the ratio of sand/cement(S/C). For OPC,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S/C is reduced dry-shirnkage but for the cement that added expansive additives,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S/C is augmented dry-shrinkage For OPC,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W/C is augmented dry-shrinkage but for the cement that added expensive, the increased of the ratio of W/C is reduced dry-shrinkage.

  • PDF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합수량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of Dry Cement Mortar for Floor Heating Depending on Water-to-Dry Mortar Rutio)

  • 박상준;황인성;이건철;김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21
  • 본 연구는 바닥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혼합수량비(W/DM) 변화에 따른 각종 품질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시공은 현장에서 혼합하는 혼합수량의 증가에 따라 플로가 증가하고, 단위용적질량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혼합수량의 변동에 따라 바닥용 DM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 W/DM의 관리가 바닥용 DM의 시공 품질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바닥용 DM의 현장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만을 고려한 과도한 현장 W/DM 증가는 과도한 블리딩 및 재료분리 등으로 인해 바닥용 DM의 경화 후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본 연구 범위의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현장 시공 시 바닥용 DM의 품질확보를 위한 현장 품질관리 기준으로는 W/DM 약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정 혼합수량이 관리될 수 있다면 바닥용 DM의 양호한 품질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파반수석고를 활용한 바닥용 건조 모르타르의 수축변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Dry Shrinkage Deformation of Floor Dry-mortar with Alpha-hemihydrate Gypsum)

  • 김래환;김규용;이보경;김정현;한상휴;최경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8-159
    • /
    • 2014
  • In general, the shrinkage occurring in the floor mortar is large the influence by the dry shrinkage. In order to reduce the cracks occurring in the floor mortar, studies of physical methods are often performed, but these methods is difficult to prevent cracking of the floor mortar essential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ry shrinkage properties of floor mortar of gypsum and red clay type using alpha-hemihydrate gypsum had been evaluated.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cement mortar(CM), gypsum mortar(GM), red-clay mortar(RM), the evaluation items was conducted experiment to evaluate the setting time, the compressive strength, drying shrinkage cracks, the dry shrink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ondensation time of GM is shorter that that of CM, and GM satisfi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loor mortar standard. Also shrinkage deformation of GM reduced more than the CM.

  • PDF

알파반수석고를 활용한 비소성결합재 기반 바닥 모르타르의 경화특성 및 건조수축 평가 (Evaluation of Hardening Properties and Dry Shrinkage of Non-Sintered Binder Based Floor Mortar Utilizing Alpha-Hemihydrate Gypsum)

  • 이계혁;김규용;이보경;김래환;신경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9-3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바닥 모르타르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팽창성이 있는 재료인 알파반수석고를 활용한 비소성결합재 기반 바닥 모르타르의 경화특성 및 건조수축 특성을 평가하고,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외기환경에 노출된 조건에서 바닥 모르타르의 수축변형 거동 및 균열 발생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슬래그계 바닥 모르타르의 경우 시멘트계 모르타르에 비해 초결 및 종결시간이 급격히 단축되었고 압축강도는 관련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기에 팽창 변형 이후의 수축변형 거동은 시멘트계 모르타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슬래그계 바닥 모르타르의 현장 적용 결과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기환경 조건에 의한 변형률의 차이가 크지 않아 시멘트계 바닥 모르타르에 비해 치수안정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페로니켈슬래그 잔골재의 바닥용 건조모르타르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Ferro-nickel Slag Sand for Dry Mortar in Floor)

  • 조봉석;김원기;황인성;구경모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2
    • /
    • 2019
  • 페로니켈슬래그 잔골재는 천연 잔골재와 유사한 특성이 있어 국내 외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으나 그 용도와 연구의 영역이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NS의 활용성 확대와 모르타르제품의 성능개선을 목적으로 바닥용 건조모르타르에 대한 FNS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FNS는 흡수율이 낮고 구형의 입형이며 표면이 유리질 피막의 특성이 있어 모르타르의 플로을 향상시켰다. 또한 골재 자체의 높은 강성은 몰탈 압축강도의 향상 및 수축저감 효과를 나타내어 균열저감 등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천연 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와 비교하여 FNS를 적용하는 경우 동등수준 이상의 충격음 차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공동주택 바닥 목재 마루판 들뜸 하자 사례조사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bonding Defect of Wood Floor Board in Apartment House)

  • 최성용;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14-9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바닥 나무 마루판 공사의 하자 사례를 조사하고 이중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들뜸 현상에 대하여 원인분석 및 방지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목질마루판 공사에서 하자요인으로써는 마루판 들뜸, 찍힘, 틈새, 갈라짐 등이 나타났고, 극중 마루판 들뜸 현상이 전체 하자비율의 72 %정도로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마루판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써 는 바닥 모르터의 건조수축과 목질마루판의 팽창을 특수 있는데, 모르터의 건조수축의 경우 바닥 모르터를 충분히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목질마루판을 시공함으로써 발생하게 되고, 목질 마루판의 팽창의 경우 목재 하지 및 주위 환경의 수분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목질마루판을 시공하기 전에 바닥 모르터의 양생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여 (약 4주간) 마루판 시공을 실시하고, 목질 마루판의 함수율이 목재 하지의 함수율로부터 4 %이상 벗어나지 않게 하며 목질마루판의 함수율을 5 % 이내로 관리하게 되면, 목질마루판의 가장 큰 문제점인 마루판 들뜸 현상은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배합 내 In-situ 탄산화 적용을 위한 CO2 주입 특성 및 물리적 특성 검토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Situ Carbonation in Floor Dry Cement Mortar Applications)

  • 김진성;조성현;김춘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24
  • In-situ 탄산화 기술은 시멘트 기반 건설재료의 제조과정에서 CO2를 주입하여 시멘트 수화과정에서 용출되는 Ca2+ 이온과 CO2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CaCO3의 형태로 CO2를 격리하는 광물탄산화 기술이며,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배합의 범위에서 In-situ 탄산화 기술을 적용 시, CO2의 주입 유량 및 총 주입량을 검토하고, 바인더인 단위시멘트량 감축에 따른 제품의 품질 검토를 실시하였다.

온돌바닥 모르터의 건조수축 보상을 위한 팽창재의 품질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the Expansive for Dry-Shrinkage Compensation of the On-Dol Floor Mortar)

  • 이종열;이웅종;정성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14-3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온돌바닥 모르터에서 쉽게 발생하는 균열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팽창재 중에서 석회-석고계 팽창재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는 팽창재 함량별 배합조건을 설정하여, 석회-석고계의 팽창원리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여 보았고, 배합조건에 따른 팽창성능을 길이변화율 실험결과로부터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팽창성능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는 지수함수적(Y = A $e^{-x}$)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팽창시멘트 제조시 품질관리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화학성분치와 팽창성능과의 회귀 분석 결과, 화학성분치(분말도, +44$\mu\textrm{m}$R, F-CaO, S $O_3$, L.0.1) 중에서 F-CaO 함량이 팽창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F-CaO함량이 증가하면 팽창성능도 증가하며 2차 함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다.

메가스포츠시설의 사후 활용을 위한 임시주거 계획 -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 Focused on the 2018 Winter Olympics -)

  • 이종찬;강윤도;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1-46
    • /
    • 2016
  • Purpose: This is a study on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is to suggest building an alternative temporary housing using shipping containers(high cube), which solve the lack of accommodations and recycle temporary housing after Olympics, save money and be eco-friendly in Olympics. Method: This study includes this ; research on the a fact-finding survey about Mega sports facilities post application and demand survey on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ccomodations and an analysis about temporary housing plan. Furthermore we decided temporary housing building plan by analyzing residents' needs and traits of the housing etc. Through this, we made a schematic design for household units. Result: As a result, this study is a plan of making space, forms, and structure. The planned size is $38.4m^2$(L:12m, W:3.2m) except balcony, and indoor height is 2.5m. The space consists of entrance, bathroom, bedroom and living room with folding furniture system. Also there's a detailed floor plan of the ceiling, wall, and floor we drew up. The ceiling and wall consist of dampproof film, noncombustible board, fire proof urethane form, and color-designed sheet. The floor is composed of floor tile, cement mortar, light concrete(with heat coil), insulation, and dampproof film. Additionally, this study is a plan of interior dry wall with detail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work efficiency and quality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