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r area calcula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46초

건축물 연면적에 따른 노상·노외 주차수요 산정 모형 구축 (Establishment of a Estimation Model of On-Road and Off-Road Parking Demand Based on the Total Floor Area of Buildings)

  • 남제모;이영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4-53
    • /
    • 2023
  • 최근 충분한 주차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심각한 주차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 다른 교통문제나 사회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일정 범위 이상의 지역·지구에서 발생하는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노상 및 노외주차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구의 특성을 고려한 노상 및 노외주차 공급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연구로 활용하기 위한 주차수요 산정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를 행정동으로 구분하여 주차시설, 주차수요를 조사하였다. 조사시간은 평일에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차종은 승용차 소형트럭·버스, 대형트럭·버스 3종으로 구분하였다. 주차수요 산정을 위한 설명변수로 단독주택,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문화·집회시설, 업무시설, 판매시설 등 6가지의 용도별 건축물 연면적을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6가지 설명변수 중 근린생활시설의 연면적이 노상 및 노외 주차수요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근린생활시설의 연면적을 설명변수로 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구축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종합병원 컴퓨터단층촬영유니트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Computerized Tomography Unit in General Hospital)

  • 윤우용;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59-66
    • /
    • 2013
  • Purpose: Although Computerized Tomography is one of the most useful diagnosis devices and Frequency of use by all kind of patient is higher than other device, it can be hardly to find out adequate data to planning of Computerized Tomography Unit. So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how to organize the unit. Methods: In order to suggest architectural guideline of Computerized Tomography Unit, expert interview, field survey and analysis to the floor plan have been conducted in this article. The area calculation was based on center line.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a number of the guideline and the example of the planning which contains how to design Computerized Tomography Unit.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xample on the planning, main points of the guideline is reflected. Implications: The result of this survey would be useful as a reference when the architect tries to design Computerized Tomography unit.

온실 난방부하 산정방법의 검증 및 틈새환기와 지중전열의 영향 분석 (Validation of Load Calculation Method for Greenhouse Heating Design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Infiltration Loss and Ground Heat Exchange)

  • 신현호;남상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647-657
    • /
    • 2015
  • 원예시설의 환경설계 중 난방부하 산정방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대규모 플라스틱 온실에서 총난방부하와 틈새환기율, 지중전열량을 계측하여 계산결과와 비교 분석하였고, 지중전열 및 틈새환기가 온실의 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내기온은 $13.3{\pm}1.2^{\circ}C$, 실외 기온은 $-9.4{\sim}+7.2^{\circ}C$의 범위를 보였으며, 우리나라의 난방 설계 외기온 범위에서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가스트레이서법으로 측정한 틈새환기율은 평균 $0.245h^{-1}$로 나타났다. 온실의 피복면적에 일정한 환기전열계수값을 사용하는 방법은 온실의 규모에 따라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환기전열부하는 온실의 체적과 틈새환기율을 이용하는 방법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중앙에서 측정한 지중열류는 실내외 기온차에 따라 음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온실 측면에서 측정한 지중열류는 실내외 기온차에 따라 양으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의 외주부를 통한 열손실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지중전열부하 산정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검증결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류열부하는 대체로 실내외 기온차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열관류율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관류열부하 산정시 설계조건에 따라 열관류율의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온실의 열관류율은 평균 $2.73W{\cdot}m^{-2}{\cdot}C^{-1}$로 단일피복의 플라스틱 온실 대비 60%의 열절감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난방부하 중에서 관류열부하가 84.7~95.4%, 환기전열부하가 4.4~9.5%, 지중전열부하가 -0.2~+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류열부하는 실내외 기온차가 낮은 그룹에서 더 큰 비율을 차지하고, 환기전열 부하는 실내외 기온차가 높은 그룹에서 더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전열부하의 경우 실내외 기온차가 낮은 그룹에서는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실내외 기온차에 따라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기준 온도차의 선택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중전열부하에 비하여는 환기전열부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틈새환기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차량 피난모델링을 위한 유동계수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Flow Rate for Egress Modeling of Passenger Car)

  • 김종훈;김운형;노삼규;이덕희;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0-2124
    • /
    • 2008
  • 차량과 바퀴하단까지의 높이가 국내 차량의 경우 0.625m와 1.15m였으며, 외국의 경우는 지면까지의 거리를 1.3m 높이로 한 경우도 있다. 이 높이는 정상 성인의 경우에는 뛰어내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아동, 노인, 장애인에게는 어려우며 추가적인 시간 소요가 발생하게 된다. 일본 신건축방재지침에서 제안된 피난계산식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 CAR A의 경우 유동계수 0.5에서는 123.1초, 1.0에서는 61.5초, 1.5에서는 41초를 나타내고 있다. 정상상태의 유동계수 1.5로 한 후 추가적인 시간을 더하면 298.6초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의료시설의 한국형 인명안전기준개발을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Evacuation Capacit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fe Safety Standards for Medical facilities)

  • 최윤주;김윤성;진승현;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2-93
    • /
    • 2021
  • In the case of medical facilities, the evacuation time is delay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allway and exi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width of evacuation by using mobile beds, wheelchairs, crutches, etc.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o secure evacuation capacity to reduce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corridor width and exit width.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compare the standards related to the evacuation capacity of medical facilities in Korea and NFPA, derive differences, and use evacuation simulations to compare evacuation times according to changes in corridor width and exit width. In Korea, 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floor area by use, but in the case of NFPA 101,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stair width, corridor exit width, and two-way door width was stipula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Using evacuation simulation, efficient evacuation capacity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evacuation time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hallway, changing the width of the exit, the width of the corridor, and the width of the exit. The evacuation simulation is intended to be used to secure evacuation safety of domestic medical facilities by calculating the effective evacuation time reduction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hallway and exit.

  • PDF

도시 내 지역난방 Heat Pump용 잠재열원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otential heat sources for Heat Pumps to District Heating System in Urban)

  • 오광민;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841-855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 내 지역난방 공급지역에 존재하는 Heat Pump용 가용 잠재적 열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미활용에너지 잠재량은 Open source 기반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정 통합하였다. 특히 수도권 남부에 위치한( 평택시) DH network 내에 대형마트와 공공사우나 시설에 대해 회수 가능한 열에너지 밀도와 열원 지역의 열 수요에 대해 지리적인 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DH network 지역에서는 대형마트와 공공사우나 두 가지 열원에 대해 총 1,741.7 toe/year 수준의 잠재 에너지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57.8%에 해당하는 1,006.9 toe/year를 지역난방용으로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대형마트는 연면적과 에너지 사용량이 0.4937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수 가능한 에너지 원단위는 상관관계계수를 반영하여 연면적 당 $0.0017toe/m^2$, 저감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0.0069tCO_2/m^2$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사우나는 실증사례와 이론 계산 값을 비교하여, 80% 수준의 보수적 추정으로 목욕장 면적당 $0.0315toe/m^2$가 회수 가능한 에너지 원단위로 분석되었으며, 저감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0.1183tCO_2/m^2$로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총 잠재 에너지량은 행정 구역별 공동주택의 열 수요와 0.5272의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특히 교통과 상업 중심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잠재 에너지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문화 및 집회시설 적정 주차면 수 산정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영화관을 중심으로 - (Calculation of Appropriate Number of Parking Lots for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 Focused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Movie Theater -)

  • 진태희;권성대;진일;하태준;이형무;이강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51-557
    • /
    • 2021
  • 건축물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주차장법과 지자체 조례에 따라 용도별, 연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최근 문화 및 집회시설의 교통수요 증가와 함께 시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및 집회시설의 주차면 수 계획 시 법정주차면, 원단위주차면을 사용하지만, 이는 현실성 및 편의성을 고려하지 못했기에 시설 이용에 불편을 주고 주변 도로에 교통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내 문화시설인 영화관의 현실적인 주차면 수 산정을 위한 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내 영화관의 주차면수, 상영관수, 좌석수, 연면적, 버스노선대수, 불법주정차 유·무 등을 조사한 후 SPSS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주차면수 산정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적정 주차면 수 산정모형과 원단위주차면을 비교한 결과, 예측모형이 실제 누적주차면과 더 근사한 값으로 나타나 모형 검증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모형을 기준으로, 문화 및 집회시설 부설주차장 설치 시 현실적으로 적절한 주차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지역에 제한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향후 다양한 시설과 인구 및 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 및 집회시설 이외의 근린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방수공사 현장시공실태에 따른 공사비산정기준 개정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Revision Factors of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Criteria through Field Survey of Waterproof Work)

  • 오재훈;안방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68-477
    • /
    • 2019
  • 다양한 재료와 신기술의 개발로 방수공사 시공방법이 변화되고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나, 공사비산정기준은 현장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비산정기준을 개정하기 위해 시방기준분석과 현장실태 조사를 통한 주요개정내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공사비산정기준에서 정하는 각 항목들을 분석하여 현장조사를 통한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현장의 바탕면 품질수준 향상으로 바탕처리 난이도가 감소하였으며, 재료의 기능향상으로 시공시간 단축과 다양한 시공방 법이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방수공법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었으며, 시공장소, 부위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방수항목을 세분화하여 복합공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재료별, 시공방법별 투입 품을 차별화 하였다. 시공부위에 따라 구분된 기준을 제시하며, 적용성이 떨어지는 항목은 삭제하여 시방기준에 적합하고 현장시공실태를 반영한 개정으로 공사비산정기준의 적정성이 확보되었다. 향후 시방기준과 현장의실태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세부화된 공사비산정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농촌 한옥 표준설계도 연구 (A Study on Standard Hanok Design for Rural)

  • 김재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28
    • /
    • 2016
  •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a standard design that reflects Hanok design tendency, and present a selective design that can fulfill a building owner's intention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building permit or report. In addi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become a standard by establishing a criterion in calculating the measurements of section design or primary framework members, in order to be a guideline for designing Hanok in different sizes and f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uilding area of Hanok standard design was set to be below $85m^2$, with a straight type of $83.16m^2$ and an L-shape of $84.24m^2$. By dividing the plane into a straight type and L-shape, two straight types were suggested: 'general type' and 'large living room type.' The upper floor space, along with the main room and small room, was proposed as an option to be changed into a room where an underfloor heating is installed depending on the building owner's intention. In addition, a criterion for side design and calculation of framework measurements was suggested and applied, while a five-girder design without high pillars was suggested for material-assembling structure. Two types of pillars-circumference and square cylinder-were proposed for the building owner to choose from, and a pointed beam house and ikgong(orthogonally-projected bracket) house were suggested for pojak bracket structure so either of them c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building owner's taste and economic condition. Finally, the sectional size of main material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form of pojak bracket structure to be proposed.

PHPP를 활용한 조적, 콘크리트, 목조 레이어 구성별 표준주택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 평가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Evaluating of Standard Houses According to Layer Component of Masonry, Concrete and Wood Frame Using PHPP)

  • 강유진;이준희;이화영;김수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17
  • 건축물에서 냉방과 난방에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요되고 있다. 건축은 $CO_2$ 발생을 줄이고 에너지 소비 저감을 위하여 냉 난방 부하를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최근 주거문화는 친환경적이고 실내 쾌적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단독주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단독주택의 구조는 크게 조적조, 콘크리트조, 목조 주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세 가지 구조방식(조적, 콘크리트, 목조)으로 구성된 동일 면적 단독주택의 냉 난방 부하와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였다. 구조방식별 벽체, 지붕, 바닥 레이어를 구성하였고, 각 레이어의 열관류율(U-value)은 목조 벽체와 같이 스터드를 고려해주기 위하여 PHPP 계산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스터드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목조 벽체에서 스터드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비 스터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엑셀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냉 난방 부하 산출 프로그램(CHLC)과 ECO2를 이용하였다. 냉 난방 부하와 에너지 요구량 결과, 목조 구조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콘크리트 구조는 두 번째로 높은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구조방식은 에너지소비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의 조적 구조는 다른 구조방식에 비하여 냉 난방 부하 및 에너지 요구량에 있어 유리하며, 목조 구조에서 스터드로 인한 열교를 제외한다면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