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od risk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4초

베이지안 확률통계와 GIS를 연계한 기후변화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 서울시 서초구를 대상으로 (Urban Flood Risk Assess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Bayesian Probability Statistics and GIS: A Case Study from Seocho-Gu, Seoul)

  • 이상혁;강정은;박창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51
    • /
    • 2016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를 위해 베이지안 확률통계 모형과 GIS를 연계 활용하였다. 리스크는 재난발생가능성과 영향 크기의 곱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베이지안 모델을 기반으로 침수발생가능성을 추정하였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정보를 반영하여 미래 침수발생가능성도 평가하였다. 침수로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서울시 서초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현재 침수발생가능성은 하천에 인접하고, 주변지역보다 고도가 낮으며 불투수면 밀집지역인 서초동, 반포동 일대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 침수발생가능성 추정결과, 2050년의 위험지역 면적이 2030년보다 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발생가능성을 활용한 리스크 평가 결과, 인명피해 리스크는 일반 및 고층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리스크를 보인 반면, 재산피해는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높게 나타났다. 2050년의 재산피해 리스크는 2030년의 재산피해 리스크보다 약 6.6%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시홍수 리스크 평가 기법은 상세한 공간결과 값의 제공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저감 전략을 위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 송해룡;김원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98-207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재해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 심각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해 위험평가 차원에서 일반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의 심각성을 분류한 결과, 지변재해, 풍수해, 한해로 분류되었고, 자연재해 중 태풍을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식하였다. 자연재해 대한 위험특성은 '친근하지 않은', '과학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발견할 수 없는' 등이 비교적 높은 평균을 보여 자연재해를 미지의 위험영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둘째,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 위험특성과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특성은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중에서도 호우나 태풍, 홍수와 같은 풍수해를 지변재해나 한해보다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공중의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은 자연재해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심각성 중에서도 풍수해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METHEE와 Entropy 기법을 이용한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 (Flash Flood Risk Assessment using PROMETHEE and Entropy Method)

  • 이정호;전환돈;박무종;정재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51-156
    • /
    • 2011
  • 과거 홍수 방재에 관한 노력의 대부분은 대하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레져 활동 영역이 산지유역으로 확대되면서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사고의 발생이 빈번해졌고 이로인한 추가적인 방재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표들을 고려하여 산지유역에서의 돌발홍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다양한 지표들의 돌발홍수 발생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의 하나인 프로메티(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PROMETHEE)를 이용하였으며, 평가 지표들로는 지역특성, 강우특성 및 지형특성 등이 선정되었다. 또한 이상의 평가지표들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산정을 위하여 엔트로피(Entropy) 기법이 이용되었다. 엔트로피 기법과 프로메티를 이용한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기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봉화군 유역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봉화군 유역 내 17개 소유역에 대하여 그 상대적 위험도가 평가되었다. 또한 17개 소유역은 그 결과에 따라 각각 5개, 7개, 5개의 고 중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적용결과의 추가적인 검증을 위하여 과거 돌발홍수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고위험군으로 평가된 지역들 중 한 곳에서 2008년 돌발홍수가 발생했었음을 확인하였다.

신뢰성 해석에 의한 제방의 월류 위험도 산정 (Evaluation of Overtopping Risks of Levee by using Reliability Analysis)

  • 이철응;박동헌;심재욱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A호
    • /
    • pp.101-110
    • /
    • 2009
  •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change of outflow tendency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isk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in levee design with uncertainty.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was introduc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overtopping risk of levee by the uncertainty. First of all, breaking function was established as a function of flood stage and height of levee. All variables of breaking function were considered as random variables following any distribution functions, and the risk was defined as the possibility that the flood stage is formed higher than height of levee. The risk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AFDA (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 The flood stage computed by 2-D numerical model FESWMS-2DH was used as input data for the model of levee risk evaluation. Risk for levee submergence were quantitatively presented for levee of Wol-Song-Cheon.

  • PDF

홍수재난 대응을 위한 국가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 개선 (Improvement of National Risk Alarm 4-Stage Criteria for Flood Disaster)

  • 이수경;박재우;오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69-377
    • /
    • 2018
  • 홍수 발생 시 제공되는 적절한 비상대처방안(EAP) 정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며, 상습 침수지역과 예상지역의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EAP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의 위기경보 4단계를 근간으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단계별 대응업무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홍수통제소는 수위표 또는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하천지점별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를 계획홍수량의 50%와 70%를 기준으로 발현하고 있으나, 위기경보 각 단계별 설정기준과의 명확한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있지 않다. 반면, 일본과 미국의 경우 수재해 대응단계를 구분하는데 있어 하천수위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국내보다는 높은 계획홍수위 설정기준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홍수 대응 수재해 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규정 및 적용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실무자 관점에서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위기경보단계별 설정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수위표 기준으로 표기방식을 개선하도록 제안하였다. 적용성 및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개선된 설정기준(안)을 수변구조물 재난대응 의사결정시스템에 적용하고 테스트베드에 대한 모의훈련을 실시하였다.

MIKE FLOOD를 이용한 하천 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alyzing Overflow in River)

  • 최계운;변성준;정연중;김영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6-1240
    • /
    • 2006
  • Flooding is an inevitable problem for many cities. The study has depended on a combined approach of physically based modeling and GIS. The stream network is structured by MIKE11 for basis of a network and extended by MIKE21 to make like 2D analysis. This method is called alternative 2D analysis. In this study, one of area in Korea is used to analyze overflow of stream. Flood risk of the area looks like not so big because an elevation of this area is very high and slope is steep, but it is very dangerous area due to the typhoons. The tools to make flood risk map are MIKE11 and MIKE21 include GIS program. And map is expressed 3-D animation with MIKE Animator. As a result of this work, the flood risk map is made. And everyone who is not an expert can check dangerous area for flooding. At present, the method which is viable and easily confirmable must be promote because one of matters of common interest, which is of the general public, is the flood disaster.

  • PDF

시군별 홍수위험잠재능 유형화 및 특성분석 (A Study on Potential Flood Dam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 김수진;은상규;김성필;배승종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21-36
    • /
    • 2017
  • Climate change is intensifying storms and floods around the world. Where nature has been destroyed by development, communities are at risk from these intensified climate patterns.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flood vulnerability using Potential Flood Damage(PFD) concept and classify city/county about Potential Flood Damage(PFD) using various typology techniques. To evaluate the PFD at a spatial resolutions of city/county units, the 20 representative evaluation indexing factor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damage target(FDT), damage potential(FDP) and prevention ability(FPA). The three flood vulnerability indices of FDT, FDP and FPA were applied for the 167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for the pattern classific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Potential Flood Damage(PFD) was classified by using grouping analysis, decision tre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PFD can be utilized as the useful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more rational and practical risk management plans against flood damage.

SWMM을 이용한 청계천 유역의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Index for the Cheonggyecheon Watershed Using SWMM)

  • 양정석;김일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85-3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 산정을 위하여 청계천 및 정릉천 유역을 분석하였다. 각 유역 배수구역별 자료를 토대로 SWMM 모델링을 구축하고 인문, 사회 환경과 관련하여 최종 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소에 따라 정의하였다. 각 요소별 가중치는 Delphi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지표에 대한 표준화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위험도에 따른 위험 유역을 선정 했다. 유해성 및 취약성에 따라 12개의 지표를 결정하였다. 그중 취약성의 경우 세분화하여 3가지 요소로 나누어 지표를 선정했다. 총 21개의 배수구역별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정릉1이 0.533, 마장 0.494, 필동 0.381,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적은 지수는 숭인 0.216으로 나타났다. 도시홍수 위험도 지수를 통해 우리나라 전 지역에 적용하게 되면 향후 수자원 정책 수립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중년 및 노년의 특수영양 및 건강보조 식품의 섭취와 영양 및 건강관련 요인들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Risk Factors, Perceptions on Nutrition and Health,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and Their Correlation to Supplement Use in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s)

  • 장경자;김진숙;이미영;정선희;이정희;유혜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9-2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al risk factors, perceptions on nutrition and health, nutritional knowledge, flood habits and their correlation to supplement use in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6 cities) and middle-sized cities (8 cities) of Korea from October to December, 2000.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population, and 2,188 non-institutionalized adults aged over 50, and elderly (male 765, female 1,423) were studi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administered in personal interviews. Nutrition and health-related scores of nutritional risk factors, perceptions on nutrition and health, nutritional knowledge, and flood hab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pplement users as compared to non-us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risk factors and other nutrition and health-related scores on perceptions on nutrition and health, nutritional knowledge, flood habits, and pocket money.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risk factors and age. Therefore, these results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per supplement use by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s.

전국 단위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수 개발과 미래 전망 (Development of index for flood risk assessment on national scale and future outlook)

  • 김대호;김영오;지희원;강태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323-336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하여 한국의 연 강수량은 20세기부터 증가해 왔으며 미래에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이와 함께 홍수 발생 가능성이 동반 상승하고 있기에 합리적인 홍수위험도 평가에 기반한 국가 단위 적응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홍수위험도를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정의하고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를 산정했다. IPCC AR5의 개념을 참고하여 위험도를 위해, 노출, 대응능력의 조합으로 평가하는 체계를 확립하였다. FRI는 자료 기반으로 산출되었으며,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설명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FRI와 피해자료간 스피어만(Spearman) 상관성 분석을 한 결과 적절한 수준으로 잠재적인 홍수피해 크기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미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HadGEM3-RA 기반의 RCP 4.5, 8.5 시나리오를 투영했을 때 21세기 초, 중반에는 약화되었다가 21세기 말엔 현재보다 높은 위험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