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dock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6초

Ballasting plan optimization for operation of a 2D floating dry dock

  • Yoon, Kyungho;Kim, Hyo-Jin;Yeo, Seungkyun;Hong, Younghwa;Cha, Jihye;Chung, Hyu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4권4호
    • /
    • pp.521-532
    • /
    • 2020
  • A floating dry dock is an advanced structure that can provide a solution for dry dock space shortages. The critical point in floating dock operation is compensating the deflection caused by a heavy payload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in the ballast system. An appropriate ballasting plan warrants safe and precise construction on a floating dock.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2D floating dock, ballasting plan evaluation is crucial due to complex deformation mod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 to calculate the optimal ballasting plan for accurate and precise construction on a 2D floating dock.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for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the floating dock as well as the construction blocks. Through a 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 the optimal ballasting plan for the given load condition was calculated in semi-real time (5 min). The present method was successfully used for the actual construc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on the 2D floating dock.

Skid Launching System을 위한 Floating Dock Controller의 개발 (A Development of Floating Dock Controller for Skid Launching System)

  • 김지훈;이장용;박석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75-380
    • /
    • 2009
  • 1년 전까지만 해도 조선시황은 한없는 호항을 누릴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2008년 후반에 찾아든 글로벌 경제의 불황은 바로 해운시장을 뒤흔들었고 그 여파는 바로 조선 사장에도 한없는 추락을 가져오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사태를 예견하여 이미 드라이 도크의 건조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장한 바 있다. 여기에 비하여 Floating Dock는 건조 비용도 덜 들고, 건조 기간도 짧고, 이동성마저 갖추고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유연한 도크 건설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Floating Dock는 대형의 블록을 탑재할 때 갑작스런 중량의 이동으로 인한 중심의 큰 변화로 안정성이 크게 위협 받게 된다. 따라서 안전하게 블록을 탑재하기 위하여서는 아주 고도의 정밀한 발라스트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에서 만들어진 거대 블록을 플로팅도크에 밀어 넣는 Skid Launching System을 위한 플로팅도크 제어 시스템을 완성하여 안정적인 SLS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은 우선 가상의 진수 절차를 만들어 모의 조정하는 시뮬레이터를 개발(Kim et al. 2008)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실시간 제어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실제 진수에 적용하고자 한다.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부유식 도크의 변형 계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Deflection Measuring System by Pressure Gage for a Floating Dock)

  • 김영복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90-95
    • /
    • 2017
  • In case of working for the construction of blocks of any ship in a floating dry dock, there may exist deflection in the pontoon deck of the floating dock due to the ballast loading and the self weight of the ship and the floating dock. This paper is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ystem and the GUI program to show the real time variation of the deflections at even-spaced positions by several pressure gages and the calculated inclination of the floating dock. The measured and calculated data produced by this developed system could be used to prepare the protection plan on site like ballast adjustment to ensure the safety of working during the floating dock operation.

방파제용 대형 케이슨 제작/진수에 따른 부양식 독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Evaluation of Floating Dock during Construction and Launching of Caisson for Breakwater)

  • 석준;박종천;정세민;김성용;강헌용;;강윤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55
    • /
    • 2013
  • In general, huge caissons for breakwaters have been constructed on land or a floating dock.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n a floating dock, a 4 step installation procedure is involved: i) construction on a floating dock, ii) transportation by the floating dock to an area near the target sea, iii) launching from the floating dock, and iv) transference by tug-boats to the installation site.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floating dock against the conditions in the sea during steps i) and iii). In this paper, the static and dynamic stabilities of a caisson on a floating dock are evaluated based on IMO rules during the construction and launching of the caisson on a floating dock by using independent commercial S/Ws such as NAPA, WAMIT, and CHARM3D.

Skid Launching System을 위한 Floating Dock Control Simulator의 개발 (A Development of Floating Dock Control Simulator for Skid Launching System)

  • 김지훈;이장용;박석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08
  • 최근 중국의 경제 활성화에 힘입어 물동량이 급증하게 되었고, 따라서 선박의 폭발적인 요구도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소의 건조 능력은 드라이도크의 용량에 의하여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드라이도크의 건조는 상당히 긴 기간을 필요로 하고, 또 건조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장기적인 조선의 수요의 관점에서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 시급한 것은 당장 목전에 와 있는 조선 수요를 적절히 감당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여러 조선소에서는 드라이도크의 부족을 메우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검토되었다. 현대중공업에서는 육상 건조법을 도입하였고, 삼성중공업과 STX 조선소에서는 플로팅도크에서 건조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육상에서 건조한 대블록을 플로팅도크에 밀어 넣는 Skid Launching System(SLS)을 위한 도크 제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모의 조정한 결과를 보인다. 대형 블록을 플로팅도크에 밀어 넣기 전에 발라스트 순서도를 작성하여 모의 작업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인한 뒤 실제 작업 시 이 순서대로 작업을 하여 플로팅도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한 것이다.

초대형 부유식 해양구조물 탑재 플로팅 도크 계류안전성 연구 (Study on the Mooring Stability of Floating Dock with Ultra Large Offshore Structure)

  • 양승호;조진욱;김현조;김부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509-519
    • /
    • 2015
  • Mooring stability of floating dock for construction of Ichthys CPF (central processing facilities), an ultra large offshore structure, was studied. Normal and typhoon conditions were considered for mooring analysis. There have been changes in construction stages of the CPF as project progresses. These changes were reflected on the mooring stability analysis for both conditions. In order to secure the mooring stability of the floating dock for Ichthys CPF under typhoon, maximum loads of mooring chains and maximum offset of the floating dock with Ichthys CPF were examined. Also the shapes of the catenary mooring were investigated to check interferences among mooring chains.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oring loads were within SWL (safe working load) of mooring chains and underwater sinkers, the mooring stability of the floating dock for construction of Ichthys CPF was secured. By achieving security of mooring stability of the floating dock, it is assured that Ichthys project is on its way to success.

소형선박 유지 ${\cdot}$ 관리용 Floating Dock시스템 개념설계 (Concept Design of Floating-Dock System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mall Boat)

  • 박충환;심상목;추경훈;이경환;진종룡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419-424
    • /
    • 2006
  • 최근, 국민소득 증대와 주5일제 근무 확산으로 낚시를 포함한 레저수요가 가일층 증가하고 있고 더불어 낚시어선을 포함하는 소형선박의 척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소형 선박의 수리, 유지관리 등을 목적으로 해상에서 육상으로 선박을 끌어올리는 상가작업은 소형조선소의 작업공간, 예인비용, 작업공기, 안전측면에서 많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안 소형 선박 수리, 유지관리를 위한 Floating dock 시스템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Floating dock 시스템 개념정립 및 소형선박의 도크내 유입 ${\cdot}$ 출, 계류기능 등을 모형시험 ${\cdot}$ 검증 등을 통해 개념설계 도서를 작성함으로서 향후, 소형조선소의 작업공간, 인력 및 공기단축 등에 따른 경상비용 절감과 소형선박 유지관리용 Floating dock 개발, 보급을 통한 신규물량 창출로 경영수지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태풍 시 플로팅도크 안벽 계류 로프 설계 (Design of quay mooring rope of Floating Dock against Typoon)

  • 김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69-574
    • /
    • 2020
  • 플로팅도크는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해상으로 진수하기 위한 주요한 설비이다. 2000년대 초반 국내에서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을 플로팅도크를 이용하여 진수할 수 있는 육상 건조 공법이 개발 적용됨에 따라 드라이도크에 대한 투자 없이 신조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대폭 확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육상 건조 공법을 활용하여 드라이도크를 보유하지 않은 중소업체에서 건조한 선박을 진수시킬 수 있는 플로팅도크의 안전한 계류를 위한 기본 계산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적재 중량 4,000 Ton급 플로팅도크를 대상으로 하여, 플로팅도크가 설치되어 운영될 대불부두의 환경 요건 중 가장 심각한 상황인 태풍 상황을 고려하여 수행되었다. 설계 하중의 계산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따라 풍하중, 조류하중, 파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였다. 대불 부두의 기존 계류 설비를 활용하여 플로팅 도크의 계류 로프 초기 배치를 수행한 후 주어진 하중에 따라 계류 로프별로 최소 파단 강도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최소 파단 강도를 줄일 수 있도록 계류 배치를 일부 수정하였으며 최종 계류 라인의 규격을 선정하였다.

방파제용 대형 케이슨 운반에 따른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during Transportation of Caisson for Breakwater)

  • 석준;박종천;허재경;강헌용;배윤혁;김무현;강윤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22
    • /
    • 2010
  • While a caisson used for breakwater is carried by a floating dock, accompanying stability problem by its existing motions in the dock is quite important and should be pre-checked against sea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stability analysis, the acceleration, velocity, angle of roll and pitch motions are important to calculate frictional force and separation force. If separation force becomes bigger than frictional force, serious collision may be occurred between caisson and floating dock. In this study, stability evaluatio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a caisson on floating dock for breakwater was performed by using a commercial program, HydroD and CHARM3D/HARP.

노후화된 플로팅도크의 잔류 구조강도 평가 (Estimation of Residual Strength for an Aged Floating Dock)

  • 서광철;홍태호;박주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129
    • /
    • 2019
  • 신조 방식의 제조업의 특성상 경기 사이클이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이를 대처할 동반 산업이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분야가 수리조선업 분야이다. 수리조선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플로팅도크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대부분 노후화된 플로팅도크를 해외로부터 수입한 후, 개/보수를 통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연한이 최소 30년 이상이고, 운용 시 특정 선급에 입급을 시키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지침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플로팅도크의 계측한 두께 정보를 활용하여, 구조강도 검토를 수행하고, 운용중인 플로팅도크의 잔류 구조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결과들은 유사 설비의 구조 안전성 검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개/보수 시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최적 해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