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at shape

Search Result 846, Processing Time 0.114 seconds

인쇄회로 기판의 전기검사에서의 미세 탐침과 패드의 동적 거동 현상 관측 (Observation of Dynamic Movement of Probing Pin on PCB Pad Using Electrical Reliability Test)

  • 송성민;차강일;김명규;전승호;유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3호
    • /
    • pp.245-251
    • /
    • 2015
  • 인쇄기판의 양산 신뢰성 확인을 위한 전기검사에서는 다수의 미세 탐침들이 기판의 패드와 접점을 유지하며 회로의 전기적 신뢰성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 때 다수의 탐침들이 모두 정 정렬 될 수 없으므로 탐침의 충돌하는 위치와 각도는 기판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탐침이 패드와 충돌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탐침의 미끄러짐 현상을 관측하고자 한다. 탐침은 접촉부가 둥근형상과 평평한 형상의 두 종류를 선정하였고, 탐침 돌출 길이, 탐침 직경, 이송 속도 등이 탐침의 미끄러짐에 주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전기 검사 시 탐침의 경사에 따라 기판의 패드에 작용하는 수평 인가력과 탐침 경사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또 전기 검사 후 미끄러진 탐침의 복원시 발생할 수 있는 탐침과 패드 사이의 역학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경사각은 탐침의 접촉부가 평평하면서 돌출길이가 짧고, 직경이 크며, 검사 속도가 느린 경우에 작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성인여성의 치수규격선정을 위한 체간부 체형분류 (Classification of Upper Body Typ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ize Standard for Chinese Women)

  • 장희경;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1호
    • /
    • pp.103-114
    • /
    • 2011
  •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clothing fitness necessary to develop apparel products for Korean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or have already made inroads into the Chinese market. In an effort to serve this purpose, a standard upper torso body model for Chinese women was established by applying the Rohrer Index and Size Designation of Clothes - Women of GB/T 1335.2-1997 to Chinese women in their 20s to determine body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Rohrer Index to categorize body types, Type 1 showed the longest vertical body length and a short horizontal length with the lowest degree of flatness. Type 2 was a standard body type with a height of 158.73cm, weight of 53.02kg and the Rohrer Index of 1.32. Type 3 had a thick and flat body shape that had the highest degree of flatness and the shortest vertical length in its upper torso among all three types of body. Second, F-test was conducted on 4 distinctive body types obtained from comparing obesity scores to verify differences in body shapes for different degree of obesity. The test resul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of the 4 body types and showed different structural components for different degree of obesity. Third, the result of comparing correlational distributions of body types and height range, and body types and degree of obesity for all and specified age groups revealed that about 33.30% of the body types appeared in Type2-A followed by 20.18% in Type1-A, 18.40% in Type2-Y and 7.91% in Type1-Y respectively. Body types and degree of obesity for two different age groups were most frequent in Type2-A. For the group of young women in their early 20s appeared the most in Type2-A, Type1-A, Type2-Y and Type 1-Y respectively and young women in late 20s were frequent in the order of Type2-A, Type2-Y, Type1-A and Type1-Y.

희렴의 Nitric Oxide 유리를 통한 평활근세포에서의 Apoptosis유도 (Production of Nitric Oxide by Siegesbeckia Glabrescens is Associated with Apoptosis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 전수영;신동훈;손창우;신흥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55-1060
    • /
    • 2004
  • Apoptosis is the ability of cells to self-destruct by the activation of an intrinsic cellular suicide program when the cells are no longer needed or when they are seriously damaged. Morphologically, apoptosis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embrane blebbing, cell shrinkage, chromatin condensation, DNA cleavage,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cell membrane-bound apoptotic bodies.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Siegesbeckiae Herba, SG) has been widely used as treatments for arthritis, and fever, as well as detoxification properties.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if SG has an anti-apoptotic property.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XTT and tryphan blue st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HASMC) were visualized with a phase-contrast microscope. SG significantly reduced HASMC, but not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HUVEC),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fluent untreated cells at 24hrs showed normal morphology, flat with a uniform polygonal shape. SG-treated cells (0.5㎎/㎖) at 24hrs showed apoptotic morphology. Cells became irregular with elongated lamellipodia, and exhibited condensed chromatin in nuclei with occasional endoucleatio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rounding-up and being detached from the substrate. TUNEL staining of SG-treated cells showed dark-brown stains in nuclei and cytosol. Caspases are central components of the machinery responsible for apoptosis and are general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initiator caspases, which include caspases-2,-8,-9, and -10, and the effector caspases, which include caspases-3,-6, and -7. SG decreased anti-caspase-3 protein expression, which means activation of caspases-3 activit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NO formation and apoptosis. NO production was accelerated by SG treatment in HASMC. L-NNA, NOS inhibitor, inhibited SG-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therefore, indicated that both caspases-3 and NO production are involved in apoptosis in smooth muscle cells. According to these results, SG may have a potent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atherosclerosis.

금강사지 출토 대형 토기의 보존 - 대형 토기접합에 사용된 순간 접착제에 대한 연구 - (Conservation Process of Large-earthen ware in Geumgangsa Temple Site - A Study on the Cyanoacrylate Adhesive Used for Large-earthen Ware Joining -)

  • 이다혜;황현성;신민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1-11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수장고에 보관 중이던 미등록 유물들을 연차적으로 등록하는 사업을 진행하던 가운데 복원 작업이 시작된 금강사지 출토 대형 토기편을 설명하고 전반적인 보존처리과정을 소개하고자한다. 대형 토기는 총 600여점을 40여개의 유물상자에 파손된 상태로 별도 보관하고 있었으며 형태나 크기, 사용 용도, 그리고 몇 개의 토기인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상태였다. 수 많은 토기 조각과 토기 무게로 인해 우선 재질별, 토기 두께와 표면 색감, 그리고 유약 광택도 등 가시적 특징만으로 크게 6개의 토기 편으로 가분류하였으나, 가접합 해 본 결과, 실제로는 한 개의 토기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복원 과정에서는 매우 크고 무거운 기형의 토기를 접합할 때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간접착제가 과연 안전한지를 알아보고자 먼저, 예비 실험을 통해 저점도~고점도별 접착속도와 접착강도, 그리고 용해속도를 조사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접합 후 결손된 부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복원하였으며 저부가 편평하지 않고 동그란 형태여서 제대로 서있지 않아 유물을 안정하게 보관하면서도 전시에 바로 사용하도록 전시받침대까지 제작하였다.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第)56보(報)) -영지(靈芝)의 성분(成分) 및 면역촉진작용(免疫促進作用)-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LVI) -General Constituents and lmmunostimulation of Ganoderma lucidum-)

  • 이명희;김하원;심미자;도상학;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9-163
    • /
    • 1986
  • 1. 한국에서 재배된 영지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14.6 %, 회분 2.0 %, 조 지방 3.3 %, 조 단백 질 23.6 %, 조 섬유 59.0 %이었다. 9 종의 환원당 중 maltose가 9.2 mg/g으로써 가장 많았다. alanine을 비롯한 17 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열수 추출액의 pH는 $4.1{\sim}4.2$ 이었다. 2.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2 종류의 재배 영지의 포자 표면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본 결과, 차이점이 없었으며 그 크기는 장경(長 徑) $6.3{\sim}7.1\;{\mu}m$, 단경(短徑) $3.5{\sim}4.3\;{\mu}m$, 두께 $2.0{\sim}2.5\;{\mu}m$이었다. 표면의 오목한 부분은 직경(直徑) $0.4{\sim}0.5\;{\mu}m$의 원형이다. 3. Sarcoma-180을 이식한 마우스에 대한 영지의 수명 연장 효과는 Fraction A가 131.7 %, Fraction B가 162.5 %, Fraction C가 141.7 %이었다. 4. Fraction B를 40 mg/kg의 용량으로 5 일간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지연형 과민만응이 대조군에 비하여 66.7 %로 회복되었다.

  • PDF

Fe/Au 이중층의 응집현상을 이용한 FePd 나노 점 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of FePd Nano-dot Using Agglomeration of Fe/Au Bilayer)

  • 구정우;김재민;류동훈;최범진;김동우;이두헌;김은일;미타니 세이지;가미코 마사오;하재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1
  • 자기조립화된 Fe/Au 이중층 위에 $L1_0$형 구조를 갖는 FePd 나노 점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AFM를 이용하여 초기에 편평한 Fe/Au 이중층 박막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응집되어 나노 점 구조로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성된 이중층위에 FePd 다층막을 $300^{\circ}C$, $350^{\circ}C$, $400^{\circ}C$, $450^{\circ}C$에서 각각 증착하였다. 초격자 구조를 갖는 FePd 다층막의 표면형상은 응집현상에 의하여 자기조립화된 이중층의 형상과 유사하였다. XRD 측정결과, $350^{\circ}C$ 이상에서 열처리된 FePd 다층막은 $L1_0$형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박막두께에 따른 XPS 측정결과는 전체 박막의 화학적 조성이 증착순서와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식각공정 없이 화학적으로 규칙화된 FePd 초격자 나노 점의 제작에 성공하였다.

Corrugate-rib를 활용한 무내화피복 CFT공법의 구조 및 내화성능 확보 (Procur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ructure of Non-Refractory Coating CFT with Using the Corrugate-rib)

  • 이동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47-754
    • /
    • 2017
  • 본 논문은 강관과 콘크리트가 함께 축력에 저항하는 합리적인 콘크리트 강관구조형식에 대해 무피복상태에서 내화성능을 높이는 연구이다. 콘크리트 강관구조는 내부 콘크리트로 인한 열저항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국내에서는 일정시간 동안 내화성능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내화구조시스템으로 피복처리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활발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충전 강관구조 기둥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관 내측면에 부착하는 리브요소를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적인 형상을 개발하는 연구로서 콘크리트 강관기둥 내측면에 Corrugated Rib를 부착하여 구조적압축 및 좌굴 저항능력을 향상시키는 CFT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 강관 내면 부착 리브의 적용으로 내화시 CFT 기둥의 내력상승에 의한 좌굴방지를 확인하였고, 내화성능기준 또한 만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강재리브(Corrugate rib)구조 보강재를 활용한 CFT의 공법은 내화피복 없이 구조 및 내화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rib의 다양한 형태를 변수로 하는 연구와 공장생산에서 공정을 효율화 시키고, 경제성 있는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박판의 Z-굽힘가공에서 외측 굽힘반지름 치수의 최소화(샤프에지) 가공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ocessing Method to Minimize the Outer Radius(Sharp edge) in Sheet Metal Z-bending Work)

  • 윤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49-355
    • /
    • 2017
  • 프레스금형(press dies)에 의한 굽힘가공(bending work) 이라는 것은 평평한 블랭크(blank)를 필요로 하는 각도(角度)로 굽히는 것이다. 굽힘가공을 하면 굽혀진부분(flange)과 굽혀지지 않은 부분(web)으로 구분되며, 굽힘라인(bending line) 부분에는 굽혀진 각도(bending angle)와 굽힘반지름(bending radius)이 내측과 외측으로 성형된다. 이때, 내측 굽힘반지름의 크기는 제품의 재질별로 최소치수가 제시 된다. 제시된 최소치수 보다 작게 굽히면 절단면 굽힘부위에 덧살이 발생 하거나 외측 굽힘반지름 부위에는 균열(crack)이 생긴다. 굽힘가공에서의 외측 굽힘반지름은 자연적으로 생긴다. 그래서 외측 굽힘반지름 치수를 굽힘펀치와 다이블록으로 조정하면서 필요한 치수로 굽힐수 없다. 굽힘가공에는 V-굽힘, U-굽힘, Z-굽힘, O-굽힘, P-굽힘, 에지굽힘(edge bending), 트위스트굽힘(twist bending), 크림핑(crimping) 등이 있다.이 중에서 Z-굽힘은 굽힘라인이 2개로써 블랭크의 상면(上面)과 하면(下面)에 설정하여 상향(上向)굽힘이나 하향(下向)굽힘으로 작동되는 금형을 사용한다. Z-굽힘을 크랭크굽힘(crank bending) 이라고도 한다. 이런 구조의 금형으로 Z-굽힘가공을 하면 내측반지름은 표준치수로 굽혀진다. 표준치수라는 것은 굽힘가공에서 굽힐 수 있는 최소 굽힘반지름 치수로서 굽힘펀치의 각(角)반지름(Rp)를 뜻한다. 그런데 산업현장에서는 외측 굽힘반지름 치수를 굽힘펀치와 다이블록으로 굽힐수 없는 미세한 샤프에지(sharp edge) 형상인 매우 작은 치수(R=0.2mm)를 필요로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외측 굽힘반지름 치수를 0.2mm 이하로 굽힐수 있는 Z-굽힘가공 공법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The Effect of Transverse Magnetic field on Macrosegregation in vertical Bridgman Crystal Growth of Te doped InSb

  • Lee, Geun-Hee;Lee, Zin-Hyoung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1996년도 The 9th KACG Technical Annual Meeting and the 3rd Korea-Japan EMGS (Electronic Materials Growth Symposium)
    • /
    • pp.522-522
    • /
    • 1996
  •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ransverse magnetic field and Peltier effect on melt convection and macrosegregation in vertical Bridgman crystal grosth of Te doped InSb was been carried out by means of microstructure observation, Hall measurement,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and X-ray analysis. Before the experiments, Interface stability, convective instability and suppression of convection by magnetic field were calculated theoretically. After doping 1018, 1019 cm-3 Te in InSb, the temperature of Bridgman furnace was set up at $650^{\circ}C$. The samples were grown in I.D. 11mm, 100mm high quartz tube. The velocity of growth was about 2${\mu}{\textrm}{m}$/sec. In order to obtain the suppression of convection by magnetic field in the middle of growth, 2-4KG magnetic field was set on the melt. For searching of the shape of solid-liquid interface and the actual velocity of crystal growth, let 2A current flow from solid to liquid for 1second every 50seconds repeatedly (Peltier effect). The grown InSb was polycrystal, and each grain was very sharp. There was no much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 with and without magnetic field at a point of view of microstructure. For the sample with Peltier effect, the Peltier marks(striation) were observed regularly as expected. Through these marks, it was found that the solid-liquid interface was flat and the actual growth velocity was about 1-2${\mu}{\textrm}{m}$/sec. On the ground of theoretical calculation, there is thermosolutal convection in the Te doped InSb melt without magnetic field in this growth condition. and if there is more than 1KG magnetic field, the convection is suppressed. Through this experiments, the effective distribution coefficients, koff, were 0.35 in the case of no magnetic field, and 0.45 when the magnetic field is 2KG, 0.7 at 4KG. It was found that the more magnetic field was applied, the more convection was suppressed. But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calculation and the experiment, the cause of the difference was thought due to the use of some approximated values in theoretical calculation.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e sample with Peltier effect showed unexpected result about the Te distribution in InSb. It looked like no convection and no macrosegregation. It was thought that the unexpected behavior was due to Peltier mark. that is, when the strong current flew the growing sample, the mark was formed by catching Te. As a result of the phenomena, the more Te containing thin layer was made. The layer ruled the Hall measurement. The values of resistivity and mobility of these samples were just a little than those of other reference. It was thought that the reason of this result was that these samples were due to polycrystal, that is, grain boundaries had an influence on this result.

  • PDF

뒷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의 형태적 특징, 온도별 발육기간, 발생소장 및 고구마 섭식량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velopmental Period, Seasonal Occurrence, and Sweetpotato Consumption of Aedia leucomelas (L.) (Lepidoptera Noctuidae))

  • 이건휘;백채운;김두호;최만영;나승용;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03
  • 고구마를 가해하는 됫날개흰밤나방(Aedia leucomelas)의 형태적 특징과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 그리고 발생소장 및 고구마 가해양상을 1999부터 2000년까지 실내와 고구마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성충은 흑갈색으로 체장은 암컷이 20.2mm,수컷이 18.9mm이었고, 날개 편 길이는 각각 33.7mm, 29.4mm이었다. 난은 납작한 원형이며, 유충은 엷은 황녹색-짙은 회색으로 체장은 3.3-53.5 mm이고, 번데기는 진한 갈색으로 체장은 15.1 mm이었다. 난부터 우화까지의 평균발육기 간은 15, 20, 25, 3$0^{\circ}C$ (60$\pm$5% RH, 16L : 8D)에서 각각 108.5, 70:7, 40.2, 29.1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각 태별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난은 10.7$^{\circ}$C와 67.5일도, 유충은 11.0$^{\circ}$C와 275.1일도, 번데기는 9.3$^{\circ}$C와 244.6일도 이었다. 암컷의 수명은 위 조사온도에서 각각 14.6, 12.8, 11.1, 10.3일이었고, 산란수는 각각 43, 189,244,265개로 성충수명은 고온일수록 짧아졌지만 산란수는 증가하였다. 됫날개흰밤나방 유충은 고구마 포장에서 6월 중순부터 10월까지 발생되었는데 9월 상-중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유충의 섭식량은 20-$25^{\circ}C$에서 가장 많았고, 25$^{\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5령 유충의 1일 섭식량은 각각 0.4, 3.6, 19.6, 40.7, 78.9$\textrm{cm}^2$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