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ies

검색결과 20,669건 처리시간 0.044초

Occupational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Korean adults: evaluation of urinary 1-hydroxypyrene, 2-naphthol, 1-hydroxyphenanthrene, and 2-hydroxyfluorene using Second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data

  • Dong Hyun Hong;Jongwon Jung;Jeong Hun Jo;Dae Hwan Kim;Ji Young Ryu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6.1-6.15
    • /
    • 2023
  • Backgrou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generated by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organic matter. Exposure to PAHs can occur in various occupations. In this study, we compared PAH exposure levels among occupations based on 4 urinary PAH metabolite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Methods: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exposure to PAHs was conducted using Second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data. The occupational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skill types. Four urinary PAH metabolites were used to evaluate PAH exposure: 1-hydroxypyrene (1-OHP), 2-naphthol (2-NAP), 1-hydroxyphenanthrene (1-OHPHE), and 2-hydroxyfluorene (2-OHFLU). The fraction exceeding the third quartile of urinary concentration for each PAH metabolite was assessed for each occupational group. Adjusted odds ratios (ORs) for exceeding the third quartile of urinary PAH metabolite concentration were calculated for each occupational group compared to the "business, administrative, clerical, financial, and insurance" group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guard and security" (OR: 2.949; 95% confidence interval [CI]: 1.300-6.691), "driving and transportation" (OR: 2.487; 95% CI: 1.418-4.364), "construction and mining" (OR: 2.683; 95% CI: 1.547-4.655),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R: 1.973; 95% CI: 1.220-3.191)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ORs for 1-OHP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No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Rs than the reference group for 2-NAP. The groups with significantly higher ORs for 1-OHPHE than the reference group were "cooking and food service" (OR: 2.073; 95% CI: 1.208-3.556), "driving and transportation" (OR: 1.724; 95% CI: 1.059-2.808), and "printing, wood, and craft manufacturing" (OR: 2.255; 95% CI: 1.022-4.974). The OR for 2-OHFLU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inting, wood, and craft manufacturing" group (OR: 3.109; 95% CI: 1.335-7.241) than in the reference group. Conclusions: The types and levels of PAH exposure differed among occupational group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선형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한 자갈해빈상에서의 쇄파지표 예측 (A Study on the Predictions of Wave Breaker Index in a Gravel Beach Using Linear Machine Learning Model)

  • 안을혁;이영찬;김도삼;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37-49
    • /
    • 2024
  • 지금까지 쇄파는 발생기구의 본질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실내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 등의 쇄파지표 예측을 위한 많은 경험식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자갈해빈에 대한 쇄파의 특성 및 쇄파지표예측을 위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갈해빈을 대상으로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의 예측을 위하여 회귀 또는 분류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 대표적인 선형기반 기계학습기법에 기반한 쇄파지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자갈해빈에 대하여 기존에 제안된 쇄파지표의 경험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기존의 경험식의 자갈해빈의 쇄파지표 예측성능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형기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쇄파지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기계학습모델 중 자갈해빈에서 발생하는 쇄파파고 및 쇄파수심에 대한 높은 예측성능을 보인 모델을 기반으로 손쉬운 계산이 가능한 쇄파지표에 대한 새로운 산정식을 제안하였고 수리모형실험결과 및 기존의 경험식과 비교하고 새롭게 제안한 쇄파지표의 예측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쇄파지표에 대한 경험식은 단순한 다항식임에도 불구하고 자갈해빈에 대한 양호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HPLC 및 Diving-PAM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 저서미세조류의 광합성 특성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Benthic Microalgae Measured by HPLC and Diving Pulse Amplitude Modulated (PAM) Fluorometry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정배;정미희;박정임
    • 생태와환경
    • /
    • 제57권2호
    • /
    • pp.61-74
    • /
    • 2024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대마등은 모래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잘 발달된 조간대 갯벌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대마등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서식환경, 광합성 색소와 광합성률을 알아보았다. 퇴적물 공극수의 무기질소는 주로 암모늄염이고, 상부 수의 무기질소는 주로 질산염+아질산염으로 나타났다. Chlorophyll a 및 Fucoxanthin 농도는 퇴적물 표층이, 전체 퇴적층 평균값보다 현저히 높았다. 전체 조사기간 중 저서미세조류의 최대양자수율의 평균값은 0.52±0.03이었으며, 최고값은 2월(0.61±0.08)에 관측되었다. 최대전자전달률은 봄부터 초가을(4월에서 10월까지)까지는 높고 겨울에서 초봄(1월에서 3월 및 11월, 12월)까지는 낮은 계절적인 경향을 보였고, 최고값은 7월, 최저값은 1월에 나타났다. 시간별 저서미세조류의 최대 양자수율의 평균값은 0.48±0.03이었으며, 최고값(0.61±0.08)은 정오에 관측되었다. 최대전자전달률은 정오에 최고 값과 16시에 최저값을 보였다. 이로써 저서미세조류의 생산성은 조사시간 및 퇴적물 깊이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Diving-PAM을 사용하여 저서미세조류의 생산성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물때를 기준으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퇴적물 층별 색소분석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의 해양 레저 시장 및 28ft급 세일요트의 VPP 성능해석 연구 (Overview of the Korean Marine Industry and VPP Analysis of a 28ft Sailing Yacht)

  • 박영민;장호윤;강민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5-372
    • /
    • 2024
  • 대한민국의 해양레저산업은 세일링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수상레저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세계적으로 신흥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어 세일링 요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2022년 현재 우리나라 요트 문화의 부흥과 보급을 위해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28피트 세일 요트의 설계 및 개발이 착수되었다. 개발 초기 단계에서의 성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설계 인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속도 예측 프로그램 VPP(Velocity Prediction Program)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University of Southampton의 Wolfson Unit사(社)의 WinDesign으로, 속도 예측에 적용된 유체역학적 데이터 모델은 Wolfson Unit사(社) 자체적인 조선공학 및 요트연구 분야에서 수십 년간의 예인 수조 시험 데이터를 회귀 분석한 방법으로 대부분의 현대식 요트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예인 수조 시험이나 CFD 수치해석 등을 통한 실험 결과적인 유체역학적 정보가 없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유체역학적 데이터 회귀 모델의 저항 값은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직 미완료된 무게 중심 추정에 의한 VCG 값은 속도 예측의 입력 변수 중 하나로, 성능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 세일 요트에 대한 최적화된 보트 속도는 풍속 4, 8, 12, 16 및 20노트의 집세일 조합(최대 120° TWA) 및 스피네커 세일 조합(80° TWA부터)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VPP를 활용하여 얻어진 최적화된 속도는 국제적으로 유사한 등급의 요트와 견줄수 있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도농복합도시 도시철도 역세권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광주시 경강선 역세권을 중심으로 (Land Use Changes around Urban Railway Stations in Integrated Urban-Rural Cities: A Case Study of the Gyeonggang Line Stations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 신종범;김찬호;이창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3호
    • /
    • pp.61-77
    • /
    • 2024
  • 본 연구는 도농복합도시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광주시의 경강선 도시철도 4개 역세권에 대해 개통 시기를 3단계로 나누어 토지이용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방법으로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9년간의 건축허가 대장 데이터를 통해 역 중심으로부터 1km내를 250m간격으로 시기별, 거리별, 용도별 분포를 분석하고, 통계적 방법으로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가중케이스)을 통해 건축허가 비중의 차이와, 집중도 분석을 통해 균등하거나 편중되게 분포하는 건축물 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농복합도시 역세권은 시기별로 볼 때 개통 시점에 가장 많은 건축허가가 있었다. 둘째, 거리별로 볼때 역 중심에서부터 500m내 구간 범위에서 토지이용 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용도별로 볼 때 주거용도 건축물이 가장 많았고, 주택공급 위주의 토지이용 변화 특성을 보였다. 넷째, 교차분석 결과 시기별, 거리별, 용도별 건축허가 차이가 p<0.01보다 유의했다. 끝으로, 집중도 분석결과 주거용도 건축물이 가장 균등하게 분포했고, 교육사회용도, 농수산용도의 건축물은 편중되게 분포하는 특징이 있다.

Determination of optimal energy system and level for growing pigs

  • Sangwoo Park;Jeehwan Choe;Jin Ho Cho;Ki Beom Jang;Hyunjin Kyoung;Kyeong Il Park;Yonghee Kim;Jinmu Ahn;Hyeun Bum Kim;Minho S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3호
    • /
    • pp.514-522
    • /
    • 2024
  • This study mainly evaluated the responses i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pigs to different energy systems and energy levels in diets. Subsequently, we compared the nutrient digestibility and digestible nutrient concentrations of each energy level diet. In experiment 1, a total of 144 growing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26.69 ± 7.39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six dietary treatments (four pigs/pen; six replicates/treatment) according to a 2 × 3 factorial arrangement resulting from two energy systems (metabolizable energy [ME] and net energy [NE]) and three energy levels (low [LE], recommended [C], and high energy [HE]). Pig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and were allowed free access to feed and wate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experiment 2, 12 growing pigs with an average initial BW of 27.0 ± 1.8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and fed the six diets in a replicated 6 × 6 Latin square design. The six dietary treatments were identical to those used in the growth trial. Pig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at 2.5 times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per day, and this was divided into two equal meals provided twice per da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nces in energy systems and energy level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performance or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acid-hydrolyzed ether extract [AEE]) of growing pigs in the current study. However, the digestible concentrations of ether extract, AEE, and acid detergent fiber (g/kg dry matter [DM]) in diet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with increasing energy levels. Additionally, there was a tendency (p = 0.09) for an increase in the digestible crude protein content (g/kg DM) as the energy content of the diet increased. Consequently, differences in energy systems and levels did not affect the BW,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growing pigs. This implies that a higher variation in dietary energy levels may be required to significantly affect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when considering digestible nutrient concentrations.

해양 원격의료 지원 개선을 위한 응급처치 담당자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 of Vessel First Aid Managers for Improvement of Marine Telemedicine Service)

  • 서보휘;고대식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7-96
    • /
    • 2023
  • 본 연구는 상급안전재교육을 받은 교육생을 대상으로 상급안전신규교육과 해양원격의료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상급안전재교육을 실시한 교육생 190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상급안전신규교육 교육요구도는 생명징후 측정법이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고, 해양원격의료지도 유형별 교육요구도는 신경계, 순환기계, 외과계가 최우선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바다라는 시·공간적 제약과 선박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응급처치를 결정하기 위해 생명징후 측정법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장시간 근무 및 단조로운 일상생활이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신경계, 순환계 및 외과계의 환자 발생률이 높고 다른 계통에 비해 환자 발생 시 생명과 관련성이 높아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벼 작기중 발생한 El Niño와 국내 벼 작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ice Yield in South Korea and El Niño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Rice Growing Season)

  • 이현석;양서영;백재경;송영서;김주희;조소혜;손지영;장재기;김준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2호
    • /
    • pp.71-77
    • /
    • 2024
  • 1. 2015년 이후 가장 강한 El Niño가 2023년 발생하여 El Niño가 농업부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벼의 작기중에 발생한El Niño가 쌀 수량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기 위해, 추세가 제거된 쌀 수량 자료와 벼 작기중ONI 값이 0.5이상으로 유지된 연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ONI 강도가 높을수록 추세가 제거된 쌀 수량이 높게 나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2. 또한 추세 제거 쌀 수량 지수가 양의 값으로 나오는 연도와 음의 값으로 나오는 연도에는 여름 및 가을의 일조시간 및 강수량이 다를 뿐만 아니라 태풍의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El Niño를 Cold tongue El Niño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분류할 때와 유사하였다. Cold tongue El Niño인 경우에는 추세 제거 수량이 양의 값을 보였으며, Cold tongue El Niño이 아닌 경우에는 모두 음의 값을 보였다. 이를 활용하여 Cold tongue인 해에 ONI강도에 따라 수량의 변화를 일정수준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유등천의 어류군집 특성과 멸종위기어류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Pisces: Cyprinidae)의 서식양상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and Inhabit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Black Shinner, Pseudopungtungia nigra (Pisces: Cyprinidae) in Yudeungcheon Stream, Korea)

  • 곽영호;김강래;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57권3호
    • /
    • pp.134-147
    • /
    • 2024
  • 멸종위기종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서식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등천 내 12개의 조사지점에서 2018년 10월과 2019년 5월에 어류군집을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지점에서 39종 2,554개체가 출현하였고 유등천의 하천건강성은 평균 66.8점으로 "좋음(B)"으로 평가되었다. 고유종은 15종이 출현하였으며 외래이입종은 배스와 블루길 2종이 출현하였다. 감돌고기는 매바위유원지에서 버드내다리까지 약 12 km 구간에서 제한적으로 출현하였다. 5월에 채집된 개체군을 전장빈도분포법으로 연령을 추정한 결과 3개의 그룹을 형성하였고 암컷은 전장 60~76 mm가 만 1세, 전장 82~99 mm가 만 2세, 전장 100~117 mm가 만 3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최초 성숙 개체는 전장 60 mm로 만 1세로 나타났다. 수련교 일대에서 Jolly-Seber 방법을 사용하여 개체군 크기를 추정한 결과, 평균 5,804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등천의 어류군집 특성을 밝히고 하천건강성을 평가하였으며, 나아가 감돌고기 개체군의 서식실태, 성숙체장 등의 기초 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하여 멸종위기종 감돌고기에 대한 보전 및 복원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효율적인 양식 모니터링을 향하여: YOLOv7 및 SORT를 사용한 실시간 물고기 감지 및 추적을 위한 지상 기반 카메라 구현 (Towards Efficient Aquaculture Monitoring: Ground-Based Camera Implementation for Real-Time Fish Detection and Tracking with YOLOv7 and SORT)

  • 노태경;하상현;김기환;강영진;정석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82
    • /
    • 2023
  • 현재 수산업 종사자의 78%를 차지하고 있는 인력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체 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스마트 양식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어류의 크기 분석, 행동 패턴 예측 등의 작업이 가능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 시설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류 검출 및 추적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수중 조건, 암모니아, pH 농도에 따른 카메라 부식 문제로 인한 높은 유지보수 비용 문제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어류 객체 검출을 위해 YOLOv7 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어류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SORT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YOLOv7 훈련 결과 PR Curve 기반의 Recall과 Precision 값의 상충 관계를 밝혀내 조명에 의한 물줄기와 그림자의 오검출을 최소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어류 추적을 위해 우리는 재식별화를 통해 효과적인 추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 양식 산업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양식 시설의 어류 관리 개선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