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3초

Kerne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for Indoor Localization

  • Ngo, Nhan V.T.;Park, Kyung Yong;Kim, Jeong 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177-185
    • /
    • 2015
  • In this paper we introduce Kerne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KFDA) to transform our database of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measurements into a smaller dimension space to maximize the difference between reference points (RP) as possible. By KFDA, we can efficiently utilize RSS data than other method so that we can achieve a better performance.

Development of Discriminant Analysis System by Graphical User Interface of Visual Basic

  • Lee, Yong-Kyun;Shin, Young-Jae;Cha, K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2호
    • /
    • pp.447-456
    • /
    • 2007
  • Recently,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used to analyze meaningful information for various data. In this paper, we develope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combined with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using visual basic 6.0.

  • PDF

Generalization of Fisher′s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via the approach of sliced inverse regression

  • Chen, Chun-Houh;Li, Ker-Chau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0권2호
    • /
    • pp.193-217
    • /
    • 2001
  • Despite of the rich literature in discriminant analysis, this complicated subject remains much to be explored. In this article, we stud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supports Fisher's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by setting up the classification problem under the dimension reduction framework as in Li(1991) for introducing sliced inverse regression(SIR).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SIR and LDA, our theory helps identify sources of strength and weakness in using CRIMCOORDS(Gnanadesikan 1977) as a graphical tool for displaying group separation patterns. This connection also leads to several ways of generalizing LDA for better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nonlinear data patterns.

  • PDF

포톤 카운팅 선형판별법을 이용한 저해상도 얼굴 영상 인식 (Low Resolution Face Recognition with Photon-count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 염석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6호
    • /
    • pp.64-69
    • /
    • 2008
  • 얼굴영상의 인식 기술은 보안과 감시를 비롯하여 머신 인터페이스와 콘텐츠 검색 등에서 활용이 광범위 하다. 그러나 주로 고해상도 영상이 연구의 대상이었고 원거리에서 획득된 저해상도 표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드물게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포톤 카운팅(Photon-counting) 선형판별법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환경에서 얼굴영상의 인식을 수행한다. 포톤 카운팅 선형판별법은 Fisher 선형 판별법에서 발생하는 특이행렬 문제없이 Fisher의 최적화 기준을 실현한다. 즉, 차원의 축소나 특징 추출 과정 없이 고차원 공간에서 최적화된 투영을 위한 선형판별함수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판정하므로 저해상도 환경을 비롯한 얼굴영상의 왜곡의 극복에 효과적이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주성분 분석을 활용하는 Eigen face 또는 주성분 분석과 Fisher 선형판별법이 결합된 Fisher face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집적 영상의 복원과 통계적 패턴분석을 이용한 왜곡에 강인한 3차원 물체 인식 (Three-dimensional Distortion-tolerant Object Recognition using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and Statistical Pattern Analysis)

  • 염석원;이동수;손정영;김신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B호
    • /
    • pp.1111-111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집적 영상의 획득과 복원을 이용하여 왜곡에 강인한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해당 화소들의 확률적 특성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물체를 복원하고 거리를 추정한다. 표적인식은 Fisher 선형판별법(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과 주성분 분석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기술을 결합한 통계적 분류기(statistical classifier)로 수행한다. Fisher 선형판별법은 클래스 간의 판별력을 최대로 하고 주성분 분석법은 Fisher 선형판별법을 수행하기 위한 차원축소를 실행한다. 주성분 분석법은 차원축소 후 복원된 벡터와 원 벡터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면외(out-of-plane) 회전된 표적을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분류한다.

Photon-count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or face recognition at a distance

  • Yeom, Seok-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250-255
    • /
    • 2012
  • Face recognition has wide applications in security and surveillance systems as well as in robot vision and machine interfaces. Conventional challenges in face recognition include pose, illumination, and expression, and face recognition at a distance involves additional challenges because long-distance images are often degraded due to poor focusing and motion blurr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photon-count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Pc-LDA) to face recognition in harsh environments. A related technique, Fisher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has been found to be optimal, but it often suffers from the singularity problem because the number of available training images is generally much smaller than the number of pixels. Pc-LDA, on the other hand, realizes the Fisher criterion in high-dimensional space without any dimensionality reduction. Therefore, it provides more invariant solutions to image recognition under distortion and degradation. Two decision rules are employed: one is based on Euclidean distance; the other, on normalized correlation. In the experiments, the asymptotic equivalence of the photon-counting method to the Fisher method is verified with simulated data. Degraded facial images are employed to demonstrate the robustness of the photon-counting classifier in harsh environments. Four types of blurring point spread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test images in order to simulate long-distance acquisi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Eigen face and Fisher face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Pc-LDA is better than conventional facial recognition techniques.

Kerne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for Natural Gait Cycle Based Gait Recognition

  • Huang, Jun;Wang, Xiuhui;Wang, J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4호
    • /
    • pp.957-966
    • /
    • 2019
  • This paper studies a novel approach to natural gait cycles based gait recognition via kerne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KFDA), which can effectively calculate the features from gait sequences and accelerate the recognition process. The proposed approach firstly extracts the gait silhouettes through moving object detection and segmentation from each gait videos. Secondly, gait energy images (GEIs) are calculated for each gait videos, and used as gait features. Thirdly, KFDA method is used to refine the extracted gait features, and low-dimensional feature vectors for each gait videos can be got. The last is the nearest neighbor classifier is applied to classify.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on the CASIA and USF gait databases, and the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algorithm can get better recognition effect than other existing algorithms.

서베일런스에서 피셔의 선형 판별 분석을 이용한 사람 검출의 성능 향상 (Improve the Performance of People Detection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in Surveillance)

  • 강성관;이정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95-302
    • /
    • 2013
  • 사람 검출은 정지된 영상 혹은 동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움직임이나 자세를 추정하고, 사람이 찾아질 경우 영상 내 사람의 좌표, 동작 인식, 보안관련 인증 등을 알아내는 기술로 정의된다. 이러한 사람 검출은 다른 객체의 검출이나 사람과 컴퓨터와의 상호작용, 동작 인식 등의 기초 기술로서 해당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영상 내의 사람은 움직임, 자세, 크기, 빛의 방향 및 밝기, 다른 객체와의 중복 등의 환경적 변화로 인해 사람 모양이 다양해지므로 정확하고 빠른 검출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셔의 선형 판별 분석을 이용하여 몇 가지 환경적 조건을 극복한 정확하고 빠른 사람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람 움직임 및 자세와 배경에 무관하게 빠른 시간 안에 사람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계층적인 방법으로 사람 검출을 수행하며, 휴리스틱한 방법, 피셔의 판별 분석을 이용하여 사람 검출을 수행하고, 검색 영역의 축소와 선형 결정의 계산 시간의 단축으로 검출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였다. 추출된 사람 영상에서 사람의 자세를 추정하고 사람의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사람 정보의 사용에 있어 보다 많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상 움직임에 대한 실시간 뇌전도 뇌 컴퓨터 상호작용, 큐 없는 상상 움직임에서의 뇌 신호 분류 (Real-time BCI for imagery movement and Classification for uncued EEG signal)

  • 강성욱;전성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642-645
    • /
    • 2009
  •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is a communication pathway between devices (computers) and human brain. It treats brain signals in real-time basis and discriminates some information of what human brain is doing. In this work, we develop a EEG BCI system using a feature extraction such as common spatial pattern (CSP) and a classifier using Fisher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LDA). Two-class EEG motor imagery movement datasets with both cued and uncued are tested to verify its feasibility.

  • PDF

화상분석을 이용한 소프트 센서의 설계와 산업응용사례 2. 인조대리석의 품질 자동 분류 (Soft Sensor Design Using Image Analysis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s Part 2. Automatic Quality Classification of Engineered Stone Countertops)

  • 류준형;유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4호
    • /
    • pp.483-4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화상분석(image analysis)에 기반한 소프트 센서를 설계하고, 이를 색상-질감 특성을 가진 제품의 외관품질 자동분류에 적용하였다. 색상과 질감(texture)을 동시에 가진 화상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해상도 다변량 화상분석(Multiresolutional Multivariate Image Analysis, MR-MIA)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자동 분류를 위한 감독 학습법(supervised learning)으로는 Fisher의 판별분석(Fisher's discrimina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잠재변수법의 하나인 Fisher의 판별분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을 서로 다른 불연속적인 부류로의 분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적인 외관 변화를 일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추정함은 물론, 외관의 특성 해석 또한 가능하였다. 이 방법은 인조대리석 제조 공정에서 중간 및 최종 제품의 외관 품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데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