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nd shellfish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166초

우리 나라 시판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 평가 (Estimation of Dietary Daily Intake of PCDDs/PCDFs from Korean Retail Food)

  • 김경심;김종국;김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45-1355
    • /
    • 2000
  • 인간은 주로 식품을 통해 다이옥신에 폭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다이옥신의 섭취량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일반 환경시료 중 다이옥신 잔류 농도에 대한 실태파악조차도 매우 적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식품 중 다이옥신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식품을 통한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10종의 식물성 식품과 9종의 동물성 식품을 대상으로 다이옥신 잔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다이옥신 농도는 0.02(우유)~5.39(멸치) pg/g의 범위였으며 TEQ농도는 0.0008~0.3153 pgTEQ/g의 범위로 개별 식품별 농도는 어패류, 육류, 채소류, 곡류, 과일류, 우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국민의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은 37.7 pgTEQ/day로서 우리 나라 성인의 평균체중 50kg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0.75 pgTEQ/kg/day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수치는 외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고 어패류의 섭취가 다이옥신 폭로의 주요한 경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득량만과 가막양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 조창환;박경양;양한섭;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3-240
    • /
    • 1982
  • 남해안 서부에 위치한 득량만과 가막양에서 1981년 하계 중 해수의 클로로필-a양과 저이 중 COD, 강열감대, 파오파이틴양 그리고 황화물양을 측정하였다. 노경노은 약 $300km^2$로서 근래 피조개의 채묘 및 양성이 급증하고 있고, 가업양은 약 $150km^2$로서 수하식에 의한 굴 선성이 많다. 득량만 해수 중 클로로필-a양은 9월에 많아 $1.0\sim5.0{\mu}g/l$로서 평균 $2.5{\mu}g/l$이었다. 양적인 분포에선 득량만의 서북쪽에서 많았다. 저이 중 유기물양은 양서 모두, COD$5.0\sim10.0mg/g$, 강열감양$5.0\sim9.0\%$,체페오파이틴양 $2.0\sim 5.0{\mu}g/g$ 건이이었으며 황화물양은 $0.1\sim0.3mg/g$ 건이이었다. 유기물과 황화물양 모두, 득량만에서는 만입구에서 깊숙히 들어갈수록 증가하였고, 가막양에서는 만의 서편과 서북쪽에 많았다. 상기의 모든 양은 낙산$\cdot$거제만의 양들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었다. 클로로필-a양에 의한 해수의 부영선화는 제산$\cdot$거제만과 같이 중간 수준인데 비해, 저이의 부영양화는 초기단계이었다. 저이중 COD와 페오파이틴양으로부터 산출한 저오염도는$6\sim11$로서, 낙산$\cdot$거제만의 $7\sim18$, 진해서의 $11\sim30$에 비해 낮았다. 이는, COD양이 적다는 이유도 있지만, 굴 양성을 많이 하는 낙산$\cdot$거제만이나 진해만 서부해역과는 달리 페오파인틴양이 COD양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 PDF

식품중의 미량금속에 관한 연구조사 (연안 견류중의 중금속 함유량에 관하여) (Study on the Contents of Trace Elements in Foods (on the Trace Element Contents of Shellfish in Korean coastal Water))

  • 백덕우;권우창;원경풍;김준한;김오한;소유섭;김영주;박건상;성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
    • /
    • 1988
  • 식품중의 중금속 오염물질에 대한 추이를 감시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건강상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수산식품중 견류중의 중금속 분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국내 주요 연안에서 자연서식 또는 인공 양식되고 있는 패류 9종 200건을 대상으로 Hg, Pb, Cd, As, Cu, Sn, Mn의 7개 중금속을 ICP,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g의 전체 함량범위는 ND~0.221 ppm이었고, 각 패류별 평균 함유량은 피조개 0.011 ppm, 꼬막 0.013 ppm, 전복 0.014 ppm, 홍합 0.018 ppm, 바지락과 굴이 0.025 ppm, 백합이 0.056 ppm, 소라고둥 0.074 ppm,골뱅이 0.090 ppm 이었다. 2. Pb의 전체 함량 범위는 0.05~1.15 ppm 이었으며 각 패류별 평균함량은 골뱅이, 꼬막이 각각 0.26~0.28 ppm 피조개, 소라고둥, 전복, 홍합이 0.32~0.33 ppm, 굴이 0.43 ppm, 바지락이 0.52 ppm , 백합이 0.53 ppm이었다. 3.Cb의 전체 함량범위는 0.02~1.86 ppm이었으며, 각 패류별 평균함량은 바지락 0.14 ppm, 홍합 0.19 ppm, 홍합 0.30 ppm, 피조개 0.53 ppm, 골뱅이 0.57 ppm, 전복, 굴 , 소라고둥이 0.78~0.80 ppm이며 꼬막이 1.37 ppm으로 가장 높았다. 4. As의 전체 함량의 범위는 0.50~3.97 ppm이었으며 각 패류별 평균함량은 홍합 0.65 ppm, 백합 0.72 ppm, 피조개 0.77 ppm 꼬막 0.79 ppm, 굴 0.88 ppm, 바지락 10.29 ppm, 전복 1.49 ppm, 골뱅이 2.11 ppm 소라고둥 2.30 ppm이었다. 5. Cu의 전체 함량 범위는 0.16~54.16 ppm 이었으며 패류별 평균함량은 피조개 0.95 ppm, 꼬막 1.10 ppm, 홍합 1.38 ppm, 백합 1.58 ppm, 바지락이 1.78 ppm, 전목이 53 ppm, 골뱅이 9.89 ppm, 소라고둥은 9.73 ppm, 굴에서 13.96 ppm, 골뱅이 9.89 ppm,소라고둥은 9.73 ppm , 굴에서 13.96 ppm으로 가장 높았다. 6.Sn의 전체 함량의 범위는 7.40~207.17 ppm이었으며, 패류별 평균함량은 바지락 12.16 ppm, 꼬막 14.98 ppm, 백합이 15.84 ppm, 피조개 16.58 ppm, 홍합 18.84 ppm, 전복이 21.46 ppm, 골뱅이 29.71 ppm, 소라고둥이 37.77 ppm 굴이 96.58 ppm으로 가장 높았다. 7. Mn의 전체 함량 범위는 0.13~8.72 ppm이었고 각 패류별 평균함량은 전복 0.96 ppm, 소라고둥 1.48 ppm, 홍합 2.25 ppm, 골뱅이 2.46 ppm, 피조개 2.80 ppm 백합 3.04 ppm, 바지락 4.44 ppm, 꼬막 6.06 ppm, 굴 6.66 ppm이었다. 8. 측정된 패류중의 중금속 분포결과와 기타 국내에서 보고된 분석치, 외국의 분석치 및 현제치를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볼 때 최고치에 있어서 다소 높은 것도 있었으나 평균함량과 90%치에 있어서는 문제시 될 수 있는 량은 아니었다. 9. 패류중 산지별로 다소 높은치를 나타낸 것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백령도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caught by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f Baekryeong-do, Korea)

  • 박준;정경숙;김정년;임양재;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306-314
    • /
    • 2018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at Baekryeong-do,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pots in 2016. A total of 42 species, 90,050 individuals and 2,351,666 g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Among them, there were 12 species and 3,826 individuals of fish, 15 species and 51,237 individuals of crustaceans, 2 species and 54 individuals of cephalopods, 7 species and 33,981 individuals of gastropods, 2 species and 757 individuals of echinodea, 2 species and 187 individuals of shellfish, and 1 species and 8 individuals of holothur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agurus ochotensis, Neptunea cuming, Cancer gibbosulus, and Buccinum yokomaruae, which accounted for 70.0% of the total number individual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Neptunea cuming, Portunus trituberculatus, Cancer gibbosulus, and Pagurus ochotensis, which accounted for 65.3% of the total biomass collected.

원료에 따른 젓갈류의 이화학적 성분 및 Biogenic Amine류의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o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fromy Different Raw Materials)

  • 심길보;한형구;안병규;이우진;인정진;송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35-84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89 type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by measuring their physio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All samples had the following measurements; 41.59-89.20 g/100 g of moisture, 1.71-25.70 g/100 g of salinity, 3.21-7.05 of pH, 0.80-2.93 g/100 g of total nitrogen, 87.02-1,296.78 mg/100 g of amino nitrogen, and 7.30-926.34 mg/100 g of volatile basic nitrogen.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differed extensively between samples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including, fish, shellfish, and others. Histamine (0 to 1,072.2 mg/kg), putrescine (0 to 2,536.4 mg/kg), cadaverine (0 to 545.2 mg/kg of cadaverine), tryptamine (0 to 1,287.9 mg/kg), and tyramine (11.3 to 563.3 mg/kg) were the major biogenic amines detected in the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meet the domestic criteria but have different ingredient compositions and most had high biogenic amine cont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the ingredient composition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Rapid and exact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PSP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roducing dinoflagellate genus Alexandrium

  • Kim, Choong-jae;Kim, Sook-Yang;Kim, Kui-Young;Kang, Young-Sil;Kim, Hak-Gyoon;Kim, Chang-Ho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32-133
    • /
    • 2003
  • The marine dinoflagellate genus Alexandrium comprise PSP producing A. acatenella, A. angustitabuzatum, A. catenella, A. fundyense, A. minutum, A. ostenfezdii, A. tamiyavanichii and A. tamarense. In monitoring toxic Alexandrium, rapid and exact species identification is one of the significant prerequisite work, however we have suffered confusion of species definition in Alexandrium. To surmount this problem, we chose DNA probing, which has long been used as an alternative for conventional identification methods, primarily relying on morphological approaches using microscope in microbial field. Oligonucleotide DNA probes targeting rRNA or rDNA have been commonly used in diverse studies to detect and enumerate cells concerned as a culture-indetendent powerful tool. Despite of the massive literature on the HAB species containing Alexandrium, application of DNA probing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detection has been limited to a few documents. DNA probes of toxic A. tamarense, A. catenella and A. tamiyavanichii, and non-toxic A. affine, A. fraterculus, A. insuetum and A. pseudogonyaulax were designed from LSU rDNA D1-D2, and applied to whole cell-FISH. Each DNA probes reacted only the targeted Alexandrium cells with very high species-specificity within Alexandrium. The probes could detect each targeted cells obtained from the natural sea water samples without cross-reactivity. Labeling intensity varied in the growth stage, thi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robe-targeted cellular rRNA decreased with reduced growth rate. Double probe TAMID2S1 achieved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fluorescent intensity than that with single probe TAMID2. This double probe did not cross-react with any kinds of microorganisms in the natural sea waters. Therefore we can say that in whole-cell FISH procedure this double DNA probe successfully labeled targeted A. tamiyavanichii without cross-reaction with congeners and diverse natural bio-communities.

  • PDF

"제민요술(齊民要術)"에 수록된 식품조리가공법 연구보고(5) -정(肥).암(肥).전(煎).소(消), 저(菹).록(綠).적(炙), 신(苞).오(奧).조(槽).포(苞)- (A Study on the Cooking and Processing Methods Presented in CHE MIN YO SUL)

  • 윤서석;윤숙경;조후종;이효지;안명수;안숙자;서혜경;윤덕인;임희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4호통권13호
    • /
    • pp.99-109
    • /
    • 1990
  • The following, Chung, Am, Chun, Seo, Rok, Shin, Oh, Cho, Po, listed in [Che Min Yo Sul] are as follows; 1. Chung means polutry and meat like pork and beef cooked with Ja. Am is flavoring meat in a seasoned broth, which is seasoned with Yeom Shi, green onion and pepper. Chun is stir-fryed fish, beef or pork in a small amount of broth and Apchunbup, a kind of Chun, is stir-fryed with Yeom Shi Juice. 2. Cheo, Rok stands for boiled meat pickled in vinegar. 3. There are twenty kinds of Chuk, which is broiled polutry, fish, shellfish and meat like pork and beef together with vegetables and spices. 4. Shin, Oh, Po, are a type of meat preservation method by using Nurook, salt, alchol or broiling it in Bong Chuk way and then preserving it.

  • PDF

초음파를 이용한 해저면 판독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bed Interpretation System Using Supersonic Waves)

  • 김재갑;김원중;황두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85-391
    • /
    • 2001
  • 본 연구는 해저면의 뻘, 모래, 자갈, 패류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형태별로 신호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바다 현장에서 어군탐지기에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를 컴퓨터에서 가공, 분석한 후 DB에 있는 신호패턴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해저면 목표물을 인식할 수 있는 판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실험을 거친 후(수조 및 현장 실험 등) 침전물의 데이터를 세밀히 샘플링하여 분석하면 해저면의 저질 상태 및 침전물들의 정확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어종별로 어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과, 해저면에서 뻘과 딱딱한 패류 껍질, 모래, 자갈 등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 등을 1차 신호와 2차, 3차 신호들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여, 해저 목표물을 나타내는 1차 신호의 필요한 값은 추출하고, 그 외의 2차, 3차 신호는 필터링 시키는 해저면 판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 PD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부화 및 자어성장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Growth of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

  • 김숙리;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47
    • /
    • 2007
  • 관상가치와 교재생물로서 교육적인 이용도가 높은 흰동가리속 red and black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인공종묘생산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실적인 규모에서 친어를 사육하여 산란과 부화를 조사하였다. 한마리의 암컷이 2004년 4월 19일 부터 2007년 4월 16일 까지 총 48번의 산란을 하였으며, 산란 직후의 수정란의 장경은 $2.6{\sim}2.15\;mm$ (평균$2.32{\pm}0.11\;mm$, n=50), 단경은 $0.94{\sim}0.96\;mm$ ($0.94{\pm}0.001\;mm$, n=50)로 타원형이다. 수정란은 유백색으로 유구를 많이 가진 상태로 난막에 쌓여 배체의 동물극 쪽이 부착사에 의해 산란기질에 부착되어 있었다. 산란상에 대한 선택성은 red clay pot > ceramic pot > volcanic scoria > live rock으로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red clay pot에서 66%로 live rock 3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먹이종류에 대한 산란량은 Tetra bits+바지락육질+진주담치육질+astaxanthin을 혼합하여 먹인 실험구에서 $638{\pm}16.04$개로 Tetra bits만 공급한 구간 $477{\pm}28.96$ 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부화를 위한 배발생의 최적 환경요인은 수온 $28^{\circ}C$, 염분 33 psu, 광주기 6L:18D로 나타났다. 갓 부화한 자어의 전장은 $3.7{\sim}4.8\;mm$ (평균 $4.6{\pm}0.14\;mm$, n=50)로 7일째 까지는 $7.5{\pm}0.60\;mm$, 14일까지는 $11.0{\pm}0.77\;mm$, 20일에는 $12.4{\pm}0.85\;mm$, 30일에는 $18.8{\pm}0.82\;mm$, 70일에는 $37.9{\pm}2.26\;mm$로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변화 추이 - 2007~201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 (Trends in Food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5)

  • 김선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47-458
    • /
    • 2020
  • This study assessed yearly trends of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ged 16 to 18 years (n=2,377)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Yearly trends of food or nutrient intake were analyzed v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ption of sugars & sweets, and beverages & alcohols was increased rapidly during this period (p<0.0001). Intake of meat & meat products, and fish & shellfish also was increased (p=0.0008). Intake of grains and grain products was increased until year 2011 but declined after 2012 (p=0.0025).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milk & milk products was decreased (p=0.0395). Intake of protein, fat,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iron was increased (p=0.0445). Carbohydrate energy ratio was decreased, whereas fat energy ratio was increased (p=0.0235). Most nutrient intakes satisfi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dietary fiber (19.6~26.2%), calcium (46.9~55.2%) and sodium (more than 221.4%)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st food group intakes and most nutrient intakes (p=0.0468). Therefore, it is crucial to increase dietary fiber and calcium intake and decrease consumption of sugars, fats and sodium through diverse eating of food groups to ensure balanced nutrition of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