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information management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5초

An Exploratory Study on 3D-based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for Multi-User Fire Protection System

  • Kim, Dahee;Cha, Heesu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62-1169
    • /
    • 2022
  • As buildings become more and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managing facility management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a building fire situation, various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needed to be quickly shared among participants. However, the current fire response system fails to monitor the relevant information in a real time bas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 prototype for fire protection management which can quickly and accurately manage and effectively deliver the pertinent information to the target participant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 efficiency of fire protection endeavors by interpreting both dynamic and static fire information in an appropriate manner.

  • PDF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시설의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Fire Protection System Utilizing Urban Spatial Information)

  • 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98-104
    • /
    • 2019
  •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소방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관련 소방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시설 관리의 오동작과 관리부실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공간정보를 소방시설 분야에 도입하고자 관련 법규와 소방시설의 공간정보 구축방안을 논의하였다. 소방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공간정보 기술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관련 법률의 개정과 소방시설 공간정보의 표준화와 유효성,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3D/BIM 기반 기존 건축물 실시간 건물 화재 정보 관리 방안 (A Method on Developing 3D/BIM-Based Real Time Fir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 배수빈;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12
    • /
    • 2023
  •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는 주변에서 빈번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문제이다. 건축물의 화재사고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적·물적 자원의 피해가 커지고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됨으로 신속한 화재 진압·구조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현재 사회적으로도 화재 사고에 관한 관심은 주목되고 있으나 실제 화재 상황에 대처하는 부분에 미흡함이 존재해 안전사고에 관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본 연구는 건물 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화재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아두이노 센서 및 Excel, Revit-Dynamo 툴을 연동하여 새로운 화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발 및 실시간 3D 시각화 Model을 개발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화재 관리의 우수성을 보였다. 추후 활용방안으로 화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여 실시간 스마트 화재 관리시스템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바이다.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rduino Sensor

  • Cheong, Ha-Young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24-629
    • /
    • 2016
  • Recently various types of disaster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phones are under active study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the disaster and fire detection. Additionally we implement the Arduino-based smart image sensor system in the web platform. When a fire is detected, an SMS is sent to the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In order to improve fire detection probability, we proposed a smart Arduino fire detection sensor simulation which searches the smart sensor inference algorithm using fuzzy rules.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수관화확산확률식의 개발 (Development of Crown Fire Propagation Probability Equ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 유계선;이병두;원명수;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14
  • 수관화는 대형산불의 주된 확산유형으로 빠른 확산속도와 높은 산불강도의 특성을 보이며 많은 피해를 입힌다. 이 연구에서는 수관화 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 수관전소 피해를 입은 지역의 지형 임상 기상 특성을 분석하여 수관화확산확률식을 개발하였다. 영덕 울진 고령 예천에서 일어난 4개의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8개의 공간 변수를 구축한 뒤 기타연소지에 대한 수관전소지의 비를 이용하여 각 변수별 구간 가중치를 구하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변수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관화확산확률은 임상이 침엽수림일 때, 250m 이상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복이 심할수록, 사면향은 남서 또는 남동사면일 경우, 능선일수록, 일사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고도와 경사가 낮은 곳에서는 교란현상이 많이 나타나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이 확률식을 통해 수관화 위험지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고, 산불방지 숲가꾸기 지역 선정 및 진화 우선 지역 선정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재에 대비한 지하공간의 안전관리 요소분류 및 화재위험성 평가방안 (Categorizing Safety Management Elements for Fire Preparation and Assessemnt of Fire Hazard)

  • 배윤신;박지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96-1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 안전체계 확립을 위하여 위험상황별 5 가지 안전관리요소(시설 구조, 피난, 인명구조 소화활동, 성능기반의 화재 안전계획 운영 관리)를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안전관리 요소로 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평가항목을 분류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화재위험성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항목에 대한 배점은 중요도에 따라 3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차등 부여하였고, 평가항목별 점수 평가기준은 소분류의 평가항목 점검결과를 통해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The Development of Forest Fire Statistical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 Jo, Myung-Hee;Kim, Joon-Bum;Kim, Hyun-Sik;Jo, Yun-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83-190
    • /
    • 2002
  • In this paper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constructed on web environment using web bas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Th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easily access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obtain them in visual method such as maps, graphs, and text if they have web browsers. Moreover, officials related to forest fire can easily control and manage all information in domestic by accessing input interface, retrieval interface, and out interface. In order to implement this system, IIS 5.0 of Microsoft is used as web server and Oracle 8i and ASP(Active Server Page) are used for database construction and dynamic web page operation, respectively. Also, Arc IMS of ESRI is used to serve map data using Java and HTML as system development language. Thr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obtain the whole information related to forest fire visually in real time also recognize forest fire prevention. In addition, Forest officials can manage the domestic forest resource and control forest fire dangerous area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by analyzing and retrieving huge forest data through this system. So, they can save their manpower, time and cost to collect and manage data.

  • PDF

GS1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소화기구 모니터링 시스템 (Smart Fire Fighting Appliances Monitoring System using GS1 based on Big Data Analytics Platform)

  • 박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7-68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smart firefighting appliances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tics platform using GS1 for Smart City. Typical firefighting appliances are fire hydrant, fire extinguisher, fire alarm, sprinkler, fire engine, etc. for the fire of classes A/B/C/D/E. Among them, the dry chemical fire extinguisher have been widely supplied and 6 millions ones were replaced for the aging ones over 10 years in the past year. However, only 5% of them have been collected for recycling of chemical materials included the heavy metals of environment pollutio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trace of firefighting appliance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for the public open service. In the paper, we suggest 1) a smart firefighting appliances system using GS1, 2) a big data analytics platform and 3) a public open service and visualization with the analyzed information, for fire extinguisher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It can give the information and the visualized diagrams with the analyzed data through the public open service and the free Apps.

U-건물 화재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Building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 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6
  • 유비쿼터스 컴퓨터 기술은 현재도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기기의 소형화, 저가격화, 성능향상, 지능화 등은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소방분야에 대한 응용은 화재안전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특징과 이를 응용하여 보완할 수 있는 소방 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적 운영체계와 단위체계의 설계를 수행해보았다. 이 시스템은 평시 운용되는 U-소방시설관리시스템, U-재실자안전정보시스템, U-건물소방교육시스템, 그리고 화재 시 운용되는 U-화재상황대응시스템과 각 단위건물의 상황을 관리하는 U-지역화재안전관리시스템 등 5개의 단위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설계의 결과는 시작품으로 제작, 실제 건물에 설치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 조정윤;송주일;장문엽;장초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20
  •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