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explosion preven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산소소모열량계를 이용한 분진의 입경과 농도에 따른 분진폭발의 효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Dust Explosion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of Dust Using the Cone Calorimeter)

  • 김윤석;문성웅;우인성;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16-119
    • /
    • 2011
  • 분진의 입경과 농도의 변화에 의한 분진의 폭발압력과 압력상승속도 및 그에 따른 분진폭발지수(Kst), 최소점화에너지(MIE) 및 폭발범위 등 분진폭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폭발 메커니즘의 이해와 이를 통한 예방을 위해서는 분진폭발의 폭발효율과 열방출률(Heat Release Rate)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소소모열량계를 이용하여 분진폭발 전후의 열방출률의 차이를 통하여 폭발효율과 폭발의 에너지를 정량화하고, 이를 통해 분진폭발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카본블랙 제조공정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of Carbon Black Manufacturing Process)

  • 주종율;정필훈;이성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3-161
    • /
    • 2023
  • Carbon black is a material in the form of fine black powder obtained by incomplete combustion or pyrolysis of hydrocarbons, and is composed of 90-99% carbon, and the rest is composed of hydrogen and oxyge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during the manufacture of carbon black, the generated tail gas should be safely discharged through an emergency line to prevent fire, explos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caused by the tail gas. If the pressure continues to rise, the pressure control valve shall operate and the rupture plate shall be ruptured sequentially and the tail gas shall be discharged to the vent stack through the emergency line. As an emergency emission system, even if some untreated substances in the tail gas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ey are lighter than air, so it is safe to discharge them to a safe place through the Vent Stack. If the gas pressure is rising or worse, it is discharged from the Vent Stackine, and discharging fuel.

제조공정상 발생하는 비산분진의 화재·폭발 위험성에 대한 열적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Fire.Explosion Hazard of Fugitive Dust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Sun, Ko J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1-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이 있는 밀가루 제조공정에서의 분진 및 기능성 비누제조공정에서의 살리실산분진, 합판 제조공정에서 목분, 폐타이어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들을 채집하여 열적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DSC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활석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 유속은 감소하고 온도는 감소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분해속도가 줄어드는 것이고, 위험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시료 모두 승온속도가 증가 할수록 흡열개시온도가 낮은 온도 부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흡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의 분해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TGA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무게감량의 비율은 활석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 무게감량이 줄어들어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분진폭발메커니즘의 지속적 연구와 보완이 효과적인 분진폭발예방 대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소배기장치의 규제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ulation Improvement of Local Ventilation System)

  • 김남석;김영석;우인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4-83
    • /
    • 2018
  •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려는 경우 환경부 허가를 받더라도 고용노동부 허가를 새로 받아야 한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뿐만 아니라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2에 따른 제조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착공 15일 전까지 제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행 환경부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국소배기장치의 오염원을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부분만 규제하고 산업현장 내에서의 근로자 안전보건에 관한 내용은 산업안전보건법 등 고용노동부 소관 법률로 관리된다. 환경부의 승인을 받은 것임에도 고용노동부의 불승인 사례가 증가하여 생산지연 및 추가 개선비용에 따른 사업장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또한, 화재 폭발의 위험성이 큰 국소배기장치의 경우 화재 폭발에 의한 중대산업사고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원인은 배풍량, 제어속도, 반송속도, 덕트구경, 화재폭발 위험성 등의 설계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이는 국소배기장치 승인기준 및 절차는 대동소이 하나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근로자의 안전보건 및 화재 폭발에 대한 심사항목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와 고용노동부에서 이원화 되어 있는 국소배기장치 설치 승인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합리적인 제도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스티렌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Styrene)

  • 하동명;나병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0-76
    • /
    • 2013
  • 스티렌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폭발한계는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인화점과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티렌의 폭발하한계는 0.9 Vol.%, 상한계는 8.0 Vol.%를 추천하고, 밀페식 장치에 의한 스티렌의 하부인화점은 $29^{\circ}C{\sim}31^{\circ}C$로 측정되었으며, 개방식에서는 $32^{\circ}C{\sim}36^{\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를 사용하여 자연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스티렌의 최소자연발화온도는 $460^{\circ}C$로 측정되었다.

화재사고사례를 통해서 본 건설현장 지하공간에서의 유기용제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Organic Solvents for Underground Area under Construction Site through a Fire Accident Case)

  • 안병준;정기혁;이정석;임종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7
    • /
    • 2018
  • 건설현장은 다른 산업분야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공정을 동시에 진행하는 작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고를 예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소방설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화성물질과 화기작업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큰 화재사고로 이어지고는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발생한 김포 화재사고를 통해서 작업자가 물질의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도와 유증기 분석으로 보다 합리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ire protection covering for high strength concrete)

  • 송영찬;이세현;김우재;양완희;박동철;백병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9-432
    • /
    • 2006
  • In this study a board was made with good fireproof materials of which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reproof test for KS F 2257 construction members, and the temperature in coated steel which has a possibility to explode with concrete surface was measured.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normal mortar or mortar covering mixed with P.P. fiber to take a measure to prevent the explosive splalling of high-strength concrete. To finalize an Al-Si (aluminosilicates) board-requires over 30mm in thickness at the minimum for the requir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explosion prevention.

  • PDF

장대해상교량의 방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Long Span Bridge over the Sea)

  • 공병승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9-64
    • /
    • 2009
  • Bridge types such as the suspension bridges and the cable stayed bridges maintained by cables present the dangerous possibility of a ship runn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bridge. Due to hangers and main cables in the upper structural system, the bridge is also susceptible to disasters. However, these cable bridges are usually used for long span bridges over the sea. This structure is relatively more exposed to disasters, such as wind, hail, and earthquake, than other structures. This structure also has the potential to cause car accidents on account of the poor visibility due to foggy conditions. If a fire breaks out because of a car accident due to wind, a car explosion will likely occur.

제약회사 여과 공정중 스플래쉬 필링에 의한 화재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on of Fire Accidents by Splash Filling in the Filtration Process of Pharmaceutical Companies)

  • 김상길;이대준;양승복;임종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34
    • /
    • 2021
  • 제약회사에서 제조하는 의약품의 원재료에 인화성물질이 종종 존재한다. 이런 경우 과량의 인화성 물질을 투입하여 중간체를 만들고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인화성물질을 여과 및 건조단계를 통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여과 공정에서 분리된 인화성 액체가 여액받이 통에 스플래쉬 필링 형태로 쌓이게 된다. 이런 경우 인화성 액체의 증기 및 미스트가 생성되어 폭발 하한 값, 최소점화에너지가 더욱 낮아지게 되며 복합 대전이 발생하여 화재·폭발의 위험이 증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제약회사 여과공정 중 발생한 화재 사고를 분석하여, 화재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질소 공급설비 설치, 용량 개선, 도전성 여과포 및 정전기 축적 방지대책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