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print image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8초

이진화된 지문이미지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정합알고리즘 (Matching Algorithms for processing Binarized Fingerprint Image efficiently)

  • 박종민;김용훈;조범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1-38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이진화된 지문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자료 구조인 Union and Division을 이용하여 이진화와 잡음 제거, 그리고 특이점 추출 단계로 이루어진다. Union and Division을 사용하는 경우에, 융선을 추적 가능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동일 융선 상에 있는 두 개의 특이점을 잇는 선분을 기준점으로 하는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Low-pass 필터가 장착된 법과학 광원을 이용한 지문의 형광 이미지 개선 효과에 대한 논의 (Discussion 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age of a Fingerprint Shape Using a Forensic Light Source with Low-pass Filter)

  • 이아람;서보길;김주비;김덕후;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27-534
    • /
    • 2019
  • 범죄현장에 남겨진 지문은 대부분 잠재지문의 형태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쉽게 식별되지 않으므로 눈에 잘 보이도록 현출해야 한다. 그러나 잠재지문을 현출한 이후에도 배경으로부터 지문이 잘 보이도록 추가적인 증강이 필요하며 주로 사용하는 방법에는 광학적 방법이 있다. 광학적 방법은 일부 분말 또는 시약에 적절한 광원을 비췄을 때 형광을 보이는 성질을 이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파장의 광원과 필터를 사용하면 지문 이미지를 증강할 수 있으므로 광원과 필터의 조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적용한 기법과 사용한 광원에 따라서 배경에서 반사된 빛의 파장 대역과 필터가 가진 파장 대역이 서로 겹쳐서 반사광을 잘 차단(cut-off)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이상적인 증강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450 nm 파장의 녹색 광원과 505 nm 파장의 청색 광원에 low-pass 필터를 광원에 장착함으로써 광원의 파장을 개선한 결과 더 좋은 품질의 지문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보안 인증 시스템 (Digital Holographic Security Identification System)

  • 김정회;김남;전석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2호
    • /
    • pp.89-9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랜덤 위상 암호화된 기준빔을 이용한 광 보안 기술과 생체 인식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디지털 홀로그래픽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일반적인 광보안 시스템의 암호화된 아날로그 영상이 아닌 지문 및 얼굴사진, 문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가 홀로그래픽 메모리의 다중화 기술에 의해 저장되었다. 랜덤 위상 마스크는 기준빔을 암호화하여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복호화 키로 사용되었고, 64×64 크기를 갖는 2차원 위상 마스크를 통해 3.6×10-4의 Raw BER과 4㎛의 매우 높은 위치 선택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간 정보 추출을 위해 위치 제어 센서가 필요 없는 저가의 판독기 구현에 적합한 기록패턴과 영상 신호처리를 개발하였으며, 홀로그램 지문 정보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 검증함으로서 타인에 의한 불법 도용의 위험성을 제거하였다.

Android malicious code Classification using Deep Belief Network

  • Shiqi, Luo;Shengwei, Tian;Long, Yu;Jiong, Yu;Hua, S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호
    • /
    • pp.454-475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ndroid malware classification model planned to classify and categorize Android malicious code at Drebin dataset. The amount of malicious mobile application targeting Android based smartphones has increased rapidly. In this paper,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and Deep Belief Network are used to classify malware into families of Android application. A texture-fingerprint based approach is proposed to extract or detect the feature of malware content. A malware has a unique "image texture" in feature spatial relations. The method uses information on texture image extracted from malicious or benign code, which are mapped to uncompressed gray-scale according to the texture image-based approach. By studying and extracting the implicit features of the API call from a large number of training samples, we get the original dynamic activity features set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lgorithm on the features selection, on the basis of which, it combines the implicit features of the texture image and API call in malicious code, to trai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and Back Propagation. In an evaluation with different malware and benign samp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the usability of this method---using Deep Belief Network to classify Android malware by their texture images and API calls, it detects more than 94% of the malware with few false alarms. Which is higher than shallow machine learning algorithm clearly.

WWW 기반 지문을 이용한 미아방지시스템 구축 (WWW based on Missing-Child Prevention System Construction using Fingerprint)

  • 송영옥;김성영;조용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64-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사회문제 중 하나인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미아발생부분에서 미아발생시 보호자를 손쉽게 찾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WWW를 기반으로 어느곳에서나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문인식을 비롯한 생체인식기술은 이미 오랜 시간동안 연구가 계속되고 있고 많은 분야에서 생체 인식을 이용한 개인 인증이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인식 중 가장 일반화되고 있고 사람마다 고유의 특성차이를 나타내는 지문을 영상 처리 방법으로 인식하여 본인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미아나 장애인 보호를 위한 WWW 기반 미아방지시스템(NomiaSys)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문 인식을 위한 체적 홀로그래픽 광상관기 (Volume holographic correlator for fingerprint recognition)

  • 이승현;김은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85-38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합필터의 데이터 베이스로써 체적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상관기를 구성하였다. 광상관 시스템은 광학의 고속 및 병렬처리 특징을 지니며, 공간정합필터가 기록된 체적홀로그램은 방대한 저장 능력과 실시간 랜덤 엑세스의 장점을 갖는다. 데이터 베이스로 사용되는 영상들은 각가 공간광변조기에 디스플레이 되어 퓨리에 변환 렌즈를 통과한 후 퓨리에 변환된 공간정합필터의 형태로 광굴절 매질에 기록된다. 대용량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다중화 방법으로 스텝 모터를 이용하여 광굴절 매질을 회전하는 각다중화 기술을 사용하였다. 체적홀로그래픽 광상관 실험을 통하여 지문인식에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지문인식 세선화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구현 (A Hardware Implementation of Fingerprint Identification Thinning Algorithm)

  • 우연희;하미나;정승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3-4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2비트 명령어축약 형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용하는 지문인식시스템에서 알고리즘 처리시간의 40%를 점유하는 세선화 단계를 위한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세선화는 특정 사이즈의 윈도우 마스크를 적용하여 같은 연산을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소규모의 하드웨어에서 처리함으로써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부담을 덜고 처리속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DL을 이용하여 RTL 수준으로 설계한 뒤 시뮬레이션 결과와 기존의 알고리즘 처리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물 묻은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프리즘 광학계의 설계 및 실험적 고찰 (Design and Experiment of an Optical System using a Prism with a High Enough Refractive Index for Wet Fingerprint Identification)

  • 강명훈;김진수;정진우;고은미;김재규;조관식;송한정;황재문
    • 한국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95-400
    • /
    • 2007
  • 본 연구는 지문 인식 시스템 중에서 프리즘을 이용한 광학계의 설계에 대한 것이다. 이는 프리즘, 렌즈, 그리고 CMOS 이미지 센서(혹은 CCD)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학계이다. 종래의 프리즘을 이용한 지문인식 광학계에서는 지문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 영상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에 프리즘의 굴절률을 높임으로써 영상의 품질을 충분히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프리즘과 렌즈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대칭 축소 왜곡(anamorphic distortion)과 상면의 지를 최소화되는 프리즘 꼭지각 $\alpha$를 제안한다.

웨이블렛을 이용한 생체정보의 강인한 워터마킹 알고리즘 (A Robust Watermarking Algorithm using Wavelet for Biometric Information)

  • 이욱재;이대종;문기영;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32-63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얼굴, 지문 등의 생체특징을 안전하게 은닉하고 효과적으로 은닉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웨이블렛 기반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웨이블렛을 이용하여 워터마크 삽입위치를 결정하고 배경영상의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가중치설정방법에 의해 워터마크를 효과적으로 은닉하였다. 은닉된 워터마크 데이터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에 웨이블렛 역변환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생체특징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워터마크 데이터인 생체특징의 은닉 전과 후의 특성분석과 워터마크 알고리즘이 생체 인식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얼굴과 지문으로 구성된 다중생체 인식실험을 한 결과 인식률이 98.67%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제안된 방법은 효과적으로 생체정보를 은닉하고 생체인식률의 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생체정보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vMOS 기반의 DLC와 MUX를 이용한 용량성 감지회로 (Design of a Capacitive Detection Circuit using MUX and DLC based on a vMOS)

  • 정승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3-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용량성 지문센서의 회색조 이미지를 얻기 위한 새로운 회로를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회로는 회색조 이미지를 얻기 위해 많은 칩 면적을 차지하는 DAC를 적용하거나 전력소모가 많고 전역 클럭을 적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적용되는 승압회로를 픽셀별로 적용하였다. 개선된 전하분할 방식의 용량성 지문센서 감지회로는 뉴런모스(vMOS) 기반의 DLC(down literal circuit) 회로와 단순화된 아날로그 MUX(multiplexor)를 적용하였다. 설계된 감지회로는 0.3V, $0.35{\mu}m$ CMOS공정을 적용하여 동작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기존의 비교기와 주변회로를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단위 픽셀의 레이아웃 면적을 줄이고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