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root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5초

적변인삼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of Rusty Root of Ginseng)

  • 이태수;목성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7-8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of rusty root for seeking the cause of rust. Na, Fe contents were higher in various tissues of six-year-old rusty root than healthy root. Contents of total sugar in epidermis of rusty root was low but crude lignin and suborn contents were high. Crude lipid content increased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in each part of root respectively. Pentadecanoic, stearic, oleic, lignoseric acid contents increased in cortex of tap root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but decreased in pith. Total ginsenoside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creased , in pith and cortex of tap root with the rate of rusty symptoms but decreased in lateral and fine root.

  • PDF

인위적 온난화 및 강수 조절에 따른 소나무 묘목 세근 생산량과 고사율의 계절적 변화 (Short-term Effects of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on Seasonal Changes in Fine Root Production and Mortality for Pinus densiflora Seedlings)

  • 한승현;장한나;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43-49
    • /
    • 2018
  • 본 연구에서 33개월생 소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인위적 온난화 처리와 강수 조절에 의한 계절별 세근 생산량과 세근 고사율의 변화를 2년에 걸쳐 분석하였다. 온난화 처리는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대조구 대비 대기온도가 $3.0^{\circ}C$ 높게 유지되도록 설정하였고, 강수 조절은 투명 판넬과 펌프를 이용하여 대조구(PC) 대비 30% 감소(PD) 또는 30% 증가(PI) 되도록 설정하였다. 온난화 처리는 세근 생산량 및 고사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강수 조절은 세근 생산량($mm\;mm-2\;day^{-1}$)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PC: 3.57, PD: 4.59, PI: 3.02). 한편 온난화 처리 및 강수 조절과 계절간의 상호작용은 세근 생산량 및 고사율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온난화 처리 여부에 따라 토양 온도와 토양 수분이 각각 세근 생산량과 세근 고사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온난화 처리구는 세근 생산량의 계절적 변화가 주로 토양 온도에 영향(양의 상관관계)을 받았고, 세근 고사율은 주로 토양 수분의 영향(음의 상관관계)을 받았다. 반면에 온도 대조구에서는 세근 생산량은 주로 토양 수분의 영향(양의 상관관계)을 받았고, 세근 고사율은 토양 온도 및 수분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근 생산량과 세근 고사율에 영향을 주는 기후인자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물의 공학적 특성을 고려한 토사사면 보호공에서의 식생선정기법 연구 (A Study about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Vegetation, One of All Factors to Select Vegetation Species for Soil Slope Protection)

  • 유전용;김현태;강병윤;반창현;양영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9-466
    • /
    • 2002
  • This study reviews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vegetation as one of all factors to select vegetation species for slope protection. The vegetation species mainly applied in domestic soil slope protection were inspected, and the root properties such as root pattern, root length, root weight, were analyzed. And then direct shear tests on undisturbed fine sand including roots were performed to review the effect of root reinforcement. From these analyses, it was concluded that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veget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select vegetation species for slope protection.

  • PDF

울산(蔚山) 공단주변(工團周邊)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가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양료(養料)와 중금속(重金屬)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in Forest Ecosystem near Ulsan Industrial Estate)

  • 이승우;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286-298
    • /
    • 1995
  • 본 연구는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가 토양내 치환성 양이온($Ca^{2+}$, $Mg^{2+}$, $Al^{3+}$) 및 중금속(Cu, Zn, Mn, Pb, Cd)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러한 토양내 화학적 특성과 임목의 세근과 엽내 양료 및 중금속 분포와의 관계(關係)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울산(蔚山)과 온산공단(溫山工團) 주변의 6개 조사구와 개발제한지역내(開發制限地域內) 2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토양 pH의 장기적(長期的) 변화(變化)와 토양(土壤), 세근(細根) 및 엽(葉)내 양료(養料)와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산지역 산림의 토양 pH(A층)는 1987년에 활엽수림(闊葉樹林)과 침엽수림(針葉樹林)에서 각각 4.45와 4.78이었던 것이 1994년에는 각각 3.73과 3.86으로 감소하여 토양산성화(土壤酸性化)의 정도가 심화되었다. 1994 년 현재 개발제한지역내 침엽수림인 동천이 4.57로 가장 높은 반면 온산공단에 인접한 당월의 활엽수림이 3.19로 가장 낮았다. 2. 공단지역(工團地域)에 비해 토양 pH가 높았던 개발제한지역 산림의 토양내 치환성(置換性) $Ca^{2+}$함량은 공단지역보다 활엽수림에서 3.5배, 침엽수림에서 11배나 높았고, 치환성(置換性) $Mg^{2+}$ 함량 또한 각각 4.5배와 5배나 높았다. 그러나 공단지역에서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치환성(置換性) $Al^{3+}$함량은 오히려 개발제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세근내(細根內) Ca과 Mg 함량은 개발제한지역이 공단지역보다 활엽수(물오리나무, 상수리나무)의 경우 각각 3.6배와 1.7배 높았고 침엽수(리기다소나무, 곰솔)에서는 각각 4.6배와 1.5배 높았다. 엽(葉)에 있어서도 개발제한지역 산림의 활엽수가 공단지역보다 각각 1.1배와 2.2배 높았고, 침엽수는 각각 1.8배와 2.3배나 높았다. 그리고 세근과 엽내 Al 함량 역시 토양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토양산성화도(土壤酸性化度)와 임목(林木)에 대한 Al 독성(毒性)을 평가하기 위한 토양과 세근내 Ca/Al 몰비가 동천을 제외한 오든 조사구의 토양과 세근에서 1 이하로써 토양산성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양료흡수(養料吸收) 및 근계발달(根系發達)의 피해(被害)가 예상되었다. 침엽수림(針藥樹林)의 경우 토양 pH와 토양 및 세근내 Ca/Al 몰비간에 서로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5. 토양, 세근 및 엽내 Cu, Zn, Pb 함량은 활 침엽수림 모두에서 공단지역(工團地域)이 개발제한지역(開發制限地域)보다 전체적으로 높았지만, 토양중 Mn과 Cd 함량은 반대로 개발제한지역이 더 높았다.

  • PDF

개체별인삼근권(個體別人蔘根圈)의 화학(化學) 및 미생물특성(微生物特性)과 근생육(根生育)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root zone and root growth of gineng)

  • 박훈;이명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7
    • /
    • 1989
  • 고수량(高收量) 삼포(蔘圃)에서 인접(隣接)한 대소편삼(大小片蔘)의 근권(根圈)의 화학성(化學性)과 미생물(微生物)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근생육(根生育)과의 관계(關係)를 살폈다. $NO_3-N$, $NH_4-N$ 인산이 대편삼(大片蔘)에서 적었고 Ca은 대편삼(大片蔘)에서 높았다. 미량성분(微量成分)은 Cu와 Zn은 지근수(支根數)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으나 Fe는 부상관(負相關)이었다. $NH_4-N$, $NO_3-N$는 세근발달(細根發達)과 유의부상관(有意負相關)을 보였다. 유기물특성(有機物特性)에서는 휴민산의 침전비율(PQ)이 유의성은 없으나 대편삼(大片蔘)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근권미생물(根圈微生物)은 세균밀도(細菌密度)가 근중(根重)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곰팡이와 방선균(放線菌)은 저해하는 방향이며 세균중(細菌中) 우점세균밀도(優占細菌密度)는 대편삼(大片蔘)에 유의성(有意性)있게 많았다. 세균(細菌)과 곰팡이 또는 방선균(放線菌)의 비율(比率)이 세균발달(細菌發達)과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을 보였다.

  • PDF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Limestone Area

  • Kwak, Young-Se;Lee, Choong-Il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89-196
    • /
    • 1999
  • The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a limestone area located in Maepo-up, Chungbuk province in Korea were estimated quantitatively. Seven species including a small proportion of Quercus dentata were identified in the tree layer, 26 species including Ulmus macrocarpa in the shrub layer, and 79 species including Carex lnceolata in the herb layer of the Thuja stand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fine root phytomass exhibited a power functional decrease relative to the soil depth. The seasonal changes in the fine root phytomass at a soil depth of 5 cm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ecipitation in the study area. The productivity of the stand of stems, branches, leaves, and roots were 10.72, 0.82, 0.45 and 6.46 ton DM. $ha^{-1}$ .$yr^{-1}$, respectively. The Thuja stand had a high foliage(25%) and low rate of production per unit of foliage. The annual turnover rate of the fine roots int he Thuja stand was 6.71 $yr^{-1}$. The net primary production of the overstory including the understory was estimated at 19.48 ton DM.$ha^{-1}$.$yr^{-1}$ including an underground section of 6.46 ton DM.$ha^{-1}$.$yr^{-1}$(33%). The allocation ratio of net production to root was lower in the limestone Thuja communities than at the nearby non-limestone ones, whereas the production efficiency to leaf weight was higher in the limestone communities. These results would seem to indicate that the limited production capacity is due to the calcium toxicity and low availability of iron and phosphorus in a limestone soil with a high pH, calcium, and bicarbonate content with a strategy for survival in a hostile habitat.

  • PDF

Effect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Extracts on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s and Proliferation of β-cells

  • Cha, Ji-Young;Park, Eun-Young;Kim, Ha-Jung;Park, Sang-Un;Nam, Ki-Yeul;Choi, Jae-Eul;Jun, Hee-So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92-197
    • /
    • 2010
  •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beta$-cel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on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s and proliferation of $\beta$-cells. Extracts of the fine roots of Taegeuk ginseng significantly enhanced glucose uptak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te ginseng lateral root extracts enhanced insulin-induced glucose uptake. Proliferation of $\beta$-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aegeuk ginseng main and lateral root extracts and by red ginseng lateral and fine root extracts. In conclusion, different root parts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differentially affect glucose uptake and pancreatic $\beta$-cell proliferation.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에서의 토양 호흡 분석 (Analysis of Soil CO2 efflux across three age classes of plantation Pinus koraiensis)

  • 남기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6-123
    • /
    • 2018
  • 산림생태계에서 대기로의 토양의 이동은 토양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기 동안의 토양 호흡값과 토양 내 뿌리의 양, 미생물 개체군 생물량을 측정하여, 토양호흡량이 임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뿌리와 미생물 개체군이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은 임령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여 7월까지는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였다. 산림의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호흡량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토양 내 뿌리와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내 존재하는 지름 2 mm 이하인 세근의 양이 많았으며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생물량이 많았다. 토양에서 뿌리를 제거하였을 때 70년 숲은 변화가 없었으나, 40년 숲에서는 토양 호흡값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산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토양 호흡량이 커지며, 식물 뿌리와 특히 토양 미생물이 토양 호흡값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년 근 인삼재배 시 파인버블(Fine bubble)처리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ne Bubble Treatment on the Growth of Two-year-old Ginseng)

  • 안철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9-555
    • /
    • 2017
  • 재배지 부족과 기후변화로 인하여 인삼재배의 생산량이 적어지고 있어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에는 환경산업 및 식품포장, 가공에 활용되고 있는 파인버블을 우리나라 대표 작물인 인삼재배에 적용하여 변화되는 생리적,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2년 근 인삼에 파인버블수를 적용한 결과 Table 2에서 보듯이 줄기 길이와 잎이 증가되었고 뿌리에서는 주근이 커지면서 무게가 증가되었다. 특히 잎이 커지면서 뿌리의 무게가 증가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총엽록소 함량을 확인한 결과 높게 나와 광합성 효율 증대와 연계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파인버블수를 사용한 인삼 재배시 인삼의 성장 저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리적 특성 및 세분화된 결과를 통해 인삼의 전체적인 생육이 약 10%에서 15% 생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인삼 재배시 파인버블수를 적용함으로써 인삼이 생육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후 파인 버블수를 적용된 3-5년 근의 고년 근 인삼에서도 특징을 유지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송이(松栮) 균환(菌環)에서의 근계(根系) 동태(動態) (Dynamics of Root Systems in the Fairy Rings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태철;박현;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54-461
    • /
    • 1999
  • 송이 균환을 균환통과부, 자실체발생부, 활성균환부, 균환전진예정부로 나누어 근계 동태를 조사하였다. 균환내에서 상층수관의 70%를 점유하는 소나무의 뿌리가 전체 뿌리량의 약 60% 내외, 살아있는 뿌리 중 87%를 점유하고 있었다. 세근 함량조사에서는 다른 뿌리의 세근이 평균 13%를 차지한 것에 비하여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평균 4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높았다. 소나무의 뿌리량은 특히, 자실체발생부와 활성균환부에서 전체 뿌리의 약 7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이두 부위에서는 소나무 뿌리가 송이 균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활성균환부에서의 소나무 세근의 비율이 평균 60.7% (1,087mg/100g soil)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약 2배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활성균환부에서 소나무 세근이 활발한 성장을 할 수 있으며 송이 균환의 발달에 따른 균근의 형성으로 인하여 세근 발달이 촉진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이 부위는 소나무 세근의 함량이 소나무 중근의 함량보다 3배에서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송이 균환부는 소나무 뿌리의 생장이 왕성한 곳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