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dining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와인공급업체와 외식업체간 B2B 관계마케팅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Business to Business Relationship Marketing in Wine Supplier and Food Service Firm Relationship)

  • 전현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8-2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식업체의 와인구매담당자, 즉 소믈리에, 매니저 등을 대상으로 고객장기 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마케팅 요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장기지향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관계의 질인 신뢰와 몰입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내수 경기침체와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와인공급업체의 영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설문조사는 2010년 1월 15일부터 2월 13일까지 30일간 실시하였으며, 서울 시내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 와인바 등의 와인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5.0과 AMO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관계마케팅 요인 중에서 커뮤니케이션과 판매자 전문성 요인은 신뢰와 정서적 몰입을 통하여 장기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소비자의 학력수준이 외식구매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Elderly Consumers' Education Level on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 김태희;서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8-643
    • /
    • 2005
  • As Korea has approached the aging society, older Koreans have become an important force in restaurant sales today. To succeed with this silver market, i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managers to know who they are and what factors influence older Koreans'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ilver consumers' education level on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older consumers above 55 years old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MANOVA,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onsumers' education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etermining where to eat o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blem Recognition Step(Wilks' Lambda=0.817, F=2.991), Information Search Step(Wilks' Lambda=0828, F=2.218), Alternative Evaluation Step II(Wilks' Lambda=0.741, F=3.596), Purchase Decision Step(Wilks' Lambda=0.859, F=2.223), and the Post-Purchase Behavior(Wilks' Lambda=0.885, F=1.780). The higher education level was, the more directly involved in the eating out decision process. The elderly consumers with university education were likely to 'propose to eat out by themselves'(F=9.346), to obtain restaurant information from the 'printed materials'(F=7.452), to go to 'family restaurant'(F=9.057), 'Japanese restaurant'(F=8.7891) and 'fine dining restaurants'(F=3.936), and to directly express their emotion when they had complaints about restaurant service(F=3.206). In conclusion, older Koreans will become more healthy and wealthy which means the dining out activity will be an important part of their life to socialize with people. Therefore, food service operations should consider the elderly consumers' needs and expectation of restaurant services and actively position themselves for this new market segment.

레스토랑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 표현특성과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 상해 소재 중식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Restaurant Design - Focused on Chinese Restaurant in Sang hai -)

  • 이소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61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s composing the cultural identity of Chinese architectural and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ntemporary restaurant design. With these purposes, first,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angible elements observed in intangible elements and space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ming the cultural identity of China.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of Chinese restaurants in Shanghai and to find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 In order to sample the subjects of the case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18 restaurants that were recommended repeatedly in books on Chinese restaurants and tourism and major Internet sites or highly evaluated by visitors, and then choose 15 of them that were found to be fit for the purpose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restaurants were largely grouped by type into 10 cases of fine dining, 3 of middle-class casual dining, 1 of fast food, and 1 of luxury tea house serving traditional tea and snacks. Of these restaurants, 46.7% (7 cases) were of CM-CM-CM type, namely, using contemporary simple elements in all of external spaces, indoor spaces, and decorations, 20% (3 cases) were of CM-CM-CT type, using contemporary and simple external and indoor spaces, and traditional furniture or articles, 20% (3 cases) were of CT-CM-CT type, using traditional external spaces such as traditional buildings, contemporary simple finishing of indoor spaces, and traditional articles such as palace lanterns and traditional doors and windows, and 13.3% (2 cases) were of CT-CT-CT type, using traditional elements in their original forms in general. Through this research and survey, cultural identity showing Chinese traditions observed i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spatial designs was confirmed,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identity was underlain by ideologies, values, lifestyles, etc. that had long accumulated through the long history of the country and exerted a great influence.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Conjoint Analysis of Restaurant Attributes on Customer Intentions to Choose Restaurant)

  • 조미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4-26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스토랑 선택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각 세분 시장별 레스토랑 선택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 및 선호하는 레스토랑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9년 8월 23일부터 9월 4일까지였으며, 조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20~30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2.0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자의 레스토랑 선택 속성은 맛(43.46%), 가격(27.62%), 레스토랑유형(18.49%), 분위기(10.44%) 순으로 나타났다. 세분집단 1은 가격(45.96%), 레스토랑 유형(40.00%), 맛(11.93%), 분위기(2.11%), 세분집단 2는 맛(50.93%), 가격(33.37%), 레스토랑 유형(10.75%), 분위기(4.95%), 세분집단 3은 맛(56.24%), 레스토랑 유형(22.60%), 가격(14.06%), 분위기(7.10%)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레스토랑은 전체 응답자의 경우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20,000원', '조용하고 차분하다',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나타났다. 세분집단 1은 '메뉴가 단순하고 음식이 맛없음', '20,000원 이상', '조용하고 차분하다', '고급 레스토랑'을 선택하였고 세분집단 2는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원 이하', '동적이고 활기차다', '고급 레스토랑'으로 나타났으며 세분집단 3은 '메뉴가 다양하고 음식이 맛있음', '10,000~20,000원', '조용하고 차분하다', '패밀리 레스토랑'을 선택하였다.

  • PDF

홍수시 대청호 유역에 발생하는 탁수의 물리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urbid Flow in the Daecheong Reservoir Watershed dining Floods)

  • 정세웅;이흥수;윤성완;예령;이준호;추창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34-944
    • /
    • 2007
  • Fine suspended solids (SS) induced into a reservoir after flood events play important ecological and water quality roles by presenting persistent turbidity and attenuating light. Thus the origin and physical features must be characterized to understand their transport processes and associated impacts,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watershed based prevention strategies.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S sampled from Daecheong Reservoir and its upstream rivers during flood events. Extensive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turbidity-SS relationships, particle size distributions, settling velocity, and mineral compositions of the SS. Results showed that the turbidity-SS relationships are site-specific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flood events in the system. The turbidity measured within the reservoir was much greater than that measured in the upstream rivers for the same SS value. The effective diameters ($D_{50}$) in the rivers were in the range of $13.3{\sim}54.3{\mu}m$, while those in the reservoir were reduced to $2.5{\sim}14.0{\mu}m$ due to a fast settling of large particles in the rivers. The major minerals consisting of the SS were found to be Illite, Muscovite, Albite, and Quartz both in the rivers and reservoir. Their apparent settling velocities at various locations in the reservoir were in the range of 0.06~0.13 m/day. The research outcome provides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fine suspended particles that cause persistent turbidity in the reservoir, and can be used as basic parameters for modeling study to search watershed based optimal control measures.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서비스 환경과 대기시간이 고객의 품질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vice-environment and Waiting Time on Customers' Quality Perception in Fast-food Type Restaurants)

  • 정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3-423
    • /
    • 2011
  • 본 연구는 경제적인 가격에 간단하고 신속한 음식을 제공함으로써 전략적으로 포지션닝하고 있는 패스트푸드 유형의 레스토랑에서도 고급레스토랑이나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환경이 고객들의 품질인지에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종업원의 외재적 속성인 복장과 청결의 정도와 서비스 대기시간이 품질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고,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 환경과 종업원의 복장 및 청결, 그리고 대기 시간은 서비스 품질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종업원들의 복장 및 청결성이 패스트푸드레스토랑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시간적 요인보다 품질인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뉴욕 소재 일식당의 레스토랑 토탈 코디네이션과 전통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aurant Total Coordination and Traditionality Expression Method of Japanese Restaurant in New york)

  • 이지현;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40-147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fine the concept of restaurant total coordination and establish its components as a design strategy for planning and managing all elements comprising a restaurant, and second, to survey the total coordination of Japanese restaurants in foreign countries and examine how traditionality, which is an element for globalizing Japanese restaurants, is expres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defining the concept of restaurant total coordination and extracting its components and a field survey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restaurant total coordination and traditionality exp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apanese restaurants categorized into Type A with relatively high traditionality expression(3.3 or higher) were 25% of the surveyed restaurants. These restaurants showed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tyle as they are without contemporary adaptation for all components of restaurant. Second, 41.7% of the restaurants were categorized into Type B with traditionality expression between 1.7 and 3.3. They were mostly popular casual restaurants at which people can enjoy Japanese food comfortably. In visual and spatial design elements,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tyles appeared in the equal percentage, and decoration, table setting and food design were styled according to Japanese traditions. Third, 4 cases(33.3%) were categorized into Type C with traditionality expression below 1.7. Because they were fine dining restaurants that sold high priced dishes, formality and consistency were also high. Through all design elements including visual, spatial, table setting and food design elements, elegant and simple contemporary images were domin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otal coordination that views the visual, spatial, table setting and food design elements comprising a restaurant, which were approached separately in previous studies on restaurants, together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ve deigns, and to make design strategies for globalizing Korean restaurants based on Japanese restaurant cases.

노인 소비자의 경제적 독립성이 외식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Elderly Consumers' Financial Independency on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 김태희;서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75-482
    • /
    • 2005
  • As Korea has approached the aging society, older Koreans have become an important force in restaurant sales today. To succeed with this silver market, it is important for restaurant managers to know who they are and which factor influence the older Koreans'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lderly consumers financial independency on restaurant selection pro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older consumers above 55 years old and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MANOVA,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consumers financial independen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etermining where they eat o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income group and low income group in the Problem Recognition Step(Wilks' Lambda=0.776, F=3.796), Information Search Step(Wilks' Lambda=0.779, F=2.959), Alternative Evaluation Step (I :Wilks' Lambda=0.835, F=1.748/ II :Wilks' Lambda=0.764, F=3.212), and Purchase Decision Step(Wilks' Lambda=0.849, F=2.412), except the Post-Purchase Behavior(Wilks' Lambda=0.933, F=1.179). The more financially independent older consumers were, the more directly they were involved in the eating out decision making process. Older consumers with higher income and more personal property were likely to 'propose to eat out by themselves'(F=10.986), to obtain restaurant information from the 'printed materials'(F=9.707), to consider 'convenient location' as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y eat out(F=5.594), and to go to 'family restaurant'(F=7.067), 'Japanese restaurant'(F=7.391) and 'fine dining restaurants'(F-=6.382).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elderly consumers financial independency did influence the eating-out decision making process. Considering that older Korean will become a financially independent consumer and will be eating away from home more often, food service operations should actively position themselves for this market and develop the market-driven menus and services to meet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 PDF

레스토랑 유형별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Service Encounter Quality by Types of Restaurants)

  • 조미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76-10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레스토랑 유형별로 서비스 인카운터가 발생되는 지점 중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을 위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지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레스토랑 유형에 관계없이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 환경 품질 등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의 중요도와 수행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각 요소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수행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해 본 결과, 상호 작용 품질과 물리적 환경 품질의 중요도와 수행도, 결과품질의 수행도는 레스토랑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결과품질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음식의 질을 나타내는 결과품질의 중요도는 레스토랑의 유형에 관계없이 고객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Yoon과 Hwang(41)의 연구 결과와 같은 내용으로, 음식 맛이 좋으면 고객이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재이용 의지를 보이므로, 무엇보다 핵심 제품 및 서비스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레스토랑 서비스 인카운터에서는 레스토랑의 유형에 관계없이 음식의 품질 관리가 가장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호 작용 품질에 대해 살펴본 결과 중요도 및 수행도는 고급 레스토랑,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레스토랑 유형 중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대기 고객 관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고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나타나 원격 서비스 인카운터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불평 고객에 대한 대응도 가장 높은 수행도를 나타내었다. 결과 품질 수행도, 물리적 환경 품질 중요도 및 수행도 또한 고급 레스토랑,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인카운터 품질 중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항목(focus here in IPA matrix)은 고급 레스토랑의 경우 '제공하는 음식의 질이 항상 동일하다', '의자나 테이블의 넓이는 충분하다'로 나타났으며,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의자나 테이블의 넓이는 충분하다', '다른 테이블간의 간격이 충분하다'로 나타났고, 패스트푸드점은 '내부 시설이 매력적이다', '의자나 테이블의 넓이는 충분하다', '다른 테이블간의 간격이 충분하다'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레스토랑의 유형에 관계없이 공간과 관련된 항목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각 레스토랑 유형별로 특히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부분을 살펴보면,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음식의 품질이 동일하게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는 충분한 공간 및 통로 확보가 필요하고, 패스트푸드점은 인테리어 등 내부 시설의 매력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레스토랑의 유형에 관계없이 음식의 품질 관리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레스토랑 유형 중 특히 고급 레스토랑의 경우는 제공하는 음식 품질의 동일성 유지에, 패스트푸드점은 내부 시설 매력도 향상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이에 대한 개선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사원의 적응판매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Adaptive Selling Strategi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cused on the Restaurants of Deluxe Hotels in Seoul)

  • 송흥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4
    • /
    • 2012
  • 본 연구는 특급호텔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종사원의 적응판매가 영업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성과지표를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관계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적응판매는 선행연구의 측정항목을 주요 변수로 채택하고 일부를 보완했는데도 불구하고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각각 설득제안기술, 친절신속기술로 명명하였다. 레스토랑에서의 적응판매는 설득제안기술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응판매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는 친절신속기술만이 미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설득제안기술의 적응판매가 고객만족도에 영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고객충성도에는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적응판매에 의한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관계는 선행연구와 같이 매우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특급호텔 레스토랑의 환경에서 적응판매의 설득제안기술에 의한 고객만족은 단기적인 면에서 고객만족에 매우 유효한 변수이며, 장기적으로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레스토랑에서의 적응판매의 설득제안기술이 영업성과의 지표인 고객만족에 중요한 실천사항임을 확인하였다는 것이고 장기적으로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결과변수로 재확인하였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