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led teeth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3초

구치부 복합레진의 변연누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RGINAL LEAKAGE OF THE POSTERIOR COMPOSITE RESTORATIONS)

  • 권병구;이정석;박동수;이승종;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44-56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degree of the marginal leakage of posterior composite restorations with glass ionomer cement base and Scotchbond$^{(R)}$ by means of the dye penetration at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160 cavities of class V were prepar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80 extracted premolar and molar teeth,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buccal cavities of one group were filled with GC lining cement$^{(R)}$, Scotchbond$^{(R)}$ and P 50$^{(R)}$ and the lingual cavities were filled with Scotchbond$^{(R)}$ and Heliomolar$^{(R)}$. The Buccal cavities of other group were filled with Logobond$^{(R)}$, Scotchbond$^{(R)}$ and Heliomolar$^{(R)}$ and lingual cavities were filled with Scotchbond$^{(R)}$ and P 50$^{(R)}$. After finishing,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manually to 50 thermal cycles at $4^{\circ}C$ and $60^{\circ}C$. They were immersed in 0.5%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and buccolingually sectioned with diamond disc. The sectioned specimens were examin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group filled with glass ionomer cement base showed less marginal leakage than the group filled without glass ionomer cement base. 2. The enamel margins showed less microleakage than the dentinal margins in both of the two groups.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microleakage, irrespective of two glass ionomer cement base and posterior composite resin.

  • PDF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Dental Health Behaviors of Elderly People in Community)

  • 강형구;윤현숙;조영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3호
    • /
    • pp.263-277
    • /
    • 2005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과 구강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공주시 6개면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2005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2개월 동안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서 치과검진을 받은 206명(남자 100명, 여자 106명)으로 하였다. 조사는 구강보건행동과 잇몸출혈 자각증상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치과의사에 의해 구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구강보건행동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지표(우식치, 처치치, 상실치, DMFT 및 CPITN)를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구강보건행동을 보면 "년 1회 이상 치과진료를 받는다"는 군이 24.3%, "주 1회 이상 구강 내 관찰을 한다"는 군이 20.4%, "1일 3회 이상 잇솔질을 한다"는 군이 15.5%, "3분 이상 잇솔질을 한다"는 군이 24.3%, "주당 2~3회 이상 보조용품을 사용한다"는 군이 7.8%, 비흡연군이 68.9%, 감미음료 및 감미식품을 "섭취하지 않는다"는 군이 23.3% 이었다. 2.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구강건강상태를 보면 잇몸출혈의 경우 "항상 있다" 8.7%, "가끔 있다" 28.2%, "거의 없다" 32.0%, "없다" 31.1%의 비율이었다. 우식치는 평균 1.2개 이었으며, 처치치는 9.9개, 상실치는 7.4개, DMFT는 18.4개, CPITN은 2.4이었다. 3. 구강보건행동별 구강건강상태를 보면, 년 1회 이상의 치과진료를 받지 않은 군은 받은 군보다 상실치(p=0.002), DMFT(p=0.002) 및 CPITN(p=0.018)이 유의하게 많았고, 주 1회 이상 구강 내 관찰을 하지 않는 군은 하는 군에 비해 처치치는 유의하게 적은 반면(p=0.002), 상실치(p=0.000)와 CPITN(p=0.000)은 유의하게 많았다. 잇솔질 횟수별로는 "1일 3회 미만 군"이 "1일 3회 이상 군" 보다 우식치(p=0.000), 상실치(p=0.000), DMFT(p=0.000) 및 CPITN(p=0.000)이 유의하게 많았고, 잇솔질 시간별로는 "3분 미만군"이 "3분 이상 군" 보다 상실치(p=0.002)와 DMFT(p=0.041)가 유의하게 많은 반면, 처치치는 유의하게 적었다(p=0.036). 보조용품 사용여부별로는 "사용하는 군"보다 "사용하지 않는 군"에서 DMFT(p=0.041) 및 CPITN(p=0.018)이 유의하게 많았고, 흡연습관 별로는 흡연군이 비흡연군보다 우식치(p=0.035) 와 CPITN (p=0.001)이 유의하게 많았다. 4.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우식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잇솔질 횟수, 성별 및 구강 내 관찰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고(설명력 14.2%), 처치치수에는 성별, 구강 내 관찰, 보조용품사용, 잇솔질 횟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감미음료섭취 여부(설명력 18.2%)가, 상실치수에는 잇솔질 횟수와 연령(설명력 13.9%)이, DMFT에는 잇솔질횟수, 성별, 치과진료여부, 연령(설명력 13.5%)이, CPITN에는 흡연여부, 치과진료여부, 보조용품사용여부(설명력 10.8%)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은 매우 저조한 상태로 보이며, 따라서 구강건강상태도 양호하지 못한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구강건강상태는 여러 구강보건행동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됨으로 구강보건행동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근관와동형태에 따른 근관치료된 하악절치의 파절강도 (THE INFLUENCE OF DIFFERENT ACCESS CAVITY DESIGNS ON THE FRACTURE STRENGTH IN ENDODONTICALLY TREATED MANDIBULAR ANTERIOR TEETH)

  • 이영균;신혜진;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6호
    • /
    • pp.515-519
    • /
    • 2004
  • Straight access cavity design allows the operator to locate all canals, helps in proper cleaning and shaping, ultimately facilitates the obturation of the canal system. However, change in the fracture strength according to the access cavity designs was not clearly demonstrat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access cavity designs on the fracture strength in endodontically treated mandibular anterior teeth. Recently extracted mandibular anterior teeth that have no caries, cervical abrasion, and fractur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 conventional lingual access cavity, Group 2 : straight access cavity, Group 3 : extended straight access cavity) according to the cavity designs. After conventional endodontic treatment, cavities were filled with resin core material. Compressive load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teeth were applied at a crosshead speed of 2mm/min until the fracture occurred. The fracture strength analyzed with ANOV A and the Scheffe test at the 95% confide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fracture strength decrease in following sequence Group 1 (4558.90{\;}\pm{\;}77.40{\;}N$), Group 2 ($494.07{\;}\pm{\;}123.98{\;}N) and Group 3 ($267.33{\;}\pm{\;}27.02{\;}N).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3 and other groups (P = 0.00). Considering advantage of direct access to apical third and results of this study, straight access cavity is recommended for access cavity form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Effects of different calcium-silicate based materials on fracture resistance of immature permanent teeth with replacement root resorption and osteoclastogenesis

  • Gabriela Leite de Souza;Gabrielle Alves Nunes Freitas;Maria Tereza Hordones Ribeiro;Nelly Xiomara Alvarado Lemus;Carlos Jose Soares;Camilla Christian Gomes Mour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2호
    • /
    • pp.21.1-21.15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Biodentine (BD), Bio-C Repair (BCR),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plug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simulated immature teeth with replacement root resorption (RRR) and in vitro-induced osteoclastogenesi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bovine incisors simulating immature teeth and RRR were divided into 5 groups: BD and BCR groups, with samples completely filled with the respective materials; MTA group, which utilized a 3-mm apical MTA plug; RRR group, which received no root canal filling; and normal periodontal ligament (PL) group, which had no RRR and no root canal filling. All the teeth underwent cycling loading, and compression strength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RAW 264.7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1:16 extracts of BD, BCR, and MTA containing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 for 5 days.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was assessed by staining with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he fracture load and osteoclast number were analyzed using 1-way ANOVA and Tukey's test (α = 0.05).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cture resistance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p > 0.05). All materials similarly inhibited osteoclastogenesis (p > 0.05), except for BCR, which led to a lower percentage of osteoclasts than did MTA (p < 0.0001). Conclusions: The treatment options for non-vital immature teeth with RRR did not strengthen the teeth and promoted a similar resistance to fractures in all cases. BD, MTA, and BCR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with BCR yielding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the other materials.

정신지체장애인과 정상인의 우식경험도 비교 조사 연구 (COMPARISON OF CARIES EXPERIENCE BETWEEN THE MENIALLY RETARDED AND THE NORMAL)

  • 맹준남;이광희;김대업;배상만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2-207
    • /
    • 2000
  • 연구목적은 우식발생률이 높은 시기인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연령군의 정신지체장애인과 정상인의 우식경험도를 비교 조사하는 것이었다. 서울시와 평택시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장애인 250명과 성남시의 정상인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강검사를 통해 우식경험도를 조사하고, 보호자를 대상으로 연간 치과방문 횟수, 우식예방진료 경험, 칫솔질 행동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우식경험치 수(dmft+DMFT)는 정신지체장애인이 3.28로서 정상인의 4.66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우식치 수(dt+DT)는 정신지체장애인이 2.24로서 정상인의 1.50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나, 충전치 수(ft+FT)는 정신지체장애인이 0.71로서 정상인의 3.06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충전치율(ft+FT rate)은 정신지체장애인이 19.78%로서 정상인의 58.89%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정신지체장애인의 연간 치과방문 횟수는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경우가 51.2%로서 가장 많았고 평균은 1.15회이었으며, 우식 예방진료를 받은 경우는 38.0%이었다. 정신지체장애인의 1일 칫솔질 횟수는 평균 2.16회이었고, 1회 칫솔질 시간은 1분이 41.0%, 2분이 37.3% 등이었으며, 스스로 칫솔질을 하는 경우가 51.2% 보호자가 칫솔질을 대신해 주는 경우가 35.5%, 보호자의 도움을 받으며 하는 경우가 13.3%이었다.

  • PDF

상아질 접착 지각과민 처치제에 대한 치수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MAN PULPAL RESPONSE TO DENTIN BONDING DESENSITIZER)

  • 유희승;이성복;우이형;박남수;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83-49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uman pulpal response to Dentin Bonding Desensitizer.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s of the first premolars and Dentin Bonding Desensitizer(ALL-BOND Desensitizer, Bisco, Inc. U.S.A.) was applicated in ten experimental teeth, or ZOE(PROPAC, GC Co. TOKYO, JAPAN) cement in eight control teeth and cavities were filled with light curing glass ionomer(Fuji II LC, GC Co., TOKYO, JAPAN). At 3-day and 25-day postoperative interval. pulpal response was observed and evaluated histologically with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t 3-day postoperative interval, the control teeth were grade 1 inflammatory cell response and grade 1 connective tissue response. 2. At 25-day postoperative interval, all control teeth were grade 1 inflammatory cell response and in three control teeth grade 1 connective tissue response were observed, and one teeth showed grade 2 connective tissue response. 3. At 3-day postoperative interval, the experimental teeth were grade 1 inflammatory cell response and grade 1 connective tissue response. Below the cavity, a few inflammatory cell(PMNs) in odontoblastic layer, increased blood vessels and pulpal cells were seen and this pulpal response was similar to control teeth. 4. At 25-day postoperative interval, in four experimental teeth grade 1 inflammatory cell response and grade 1 connective tissue response were observed, and one experimental teeth showed mild inflammatory response. 5. At 3-day and 25-day postoperative interval, no reparative dentin deposition was seen. 6.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ulpal response showed difference between 3 and 25-day of postoperative interval. In control teeth, increased predentin and pulpal cells were seen and in experimental teeth, congestion of blood vessels and increased pulpal cells were seen. In conclusion, the pulpal irritation due to this Dentin Bonding Desensitizer was not severe,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agent was not harmful to the human pulp.

  • PDF

구강보건 지식과 실천이 우식경험치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on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Index and Quality of Life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영수;배성윤;지재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3
  •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구강건강의 관점에서도 구강질환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구강질환의 예방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천 정도, 구강건강상태, 그리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치과,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1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한달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실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치과의사 11명이 치경과 탐침으로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우식경험치아수(DMF index)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에, 구강보건실천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치아수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강보건지식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아니라, 구강보건실천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구강보건실천 수준과 우식경험영구치아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마련이 절실히 요구됨을 말해주고 있다. 즉 우식경험치아수는 구강보건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단순히 구강건강관련 지식만을 전달하기보다는 태도의 변화와 실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구강질환의 예방과 조기치료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구지역 조사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 전은숙;안서영;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7
    • /
    • 2011
  • 이 연구는 일부 대도시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개별면접조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상태, OHIP-14를 측정하였다. 최종 수합된 189명의 자료로 t-검정 및 분산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우식치아는 2.23개, 상실치아는 1.48개, 처치치아 5.58로 필리핀에서 온 여성이 기타 다른 나라에서 온 여성보다 상실치아수가 많았으며, 중국에서 온 여성이 충전영구치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가 많을수록 낮았다.3. 상실치아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적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영역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월 가구 수입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와, 월수입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 및 우식치아가 많을수록 낮아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Microleakage of the smooth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using SEM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techniques

  • Yang, In-Seo;Shin, Dong-Ho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17-617
    • /
    • 2003
  • I.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microleakage of the class 5 composite restoration that were filled at the smooth surface and the proximal surface respectively. In addition any differences between small and large-sized restoration were also studied. II. Materials and Methods Total sixty-four class 5 resin restorations, sixteen per group, were made in the permanent teeth. Two-sized cavities, small ($2{\;}{\times}{\;}2{\;}{\times}{\;}1.5{\;}mm$) and large ($4{\;}{\times}{\;}2{\;}{\times}{\;}1.5{\;}mm$), were filled at the smooth surface and the proximal surface each.(omitted)

  • PDF

유한요소법에 의한 전위치차의 강도해석 (Strenth analysis gear by finite element method)

  • 조선휘;박종근
    • 오토저널
    • /
    • 제3권2호
    • /
    • pp.27-33
    • /
    • 1981
  • In the paper, it was attempted to verify how the strength around fillet area of shifted gear would be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number of teeth, shifted value, and diametral pitch. Thereafter, the Lewis' tooth factor of the shifted gear was computed in terms of previously mentioned variables in order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change related from tooth factor and tooth number with the parameter of shifted values and diametral pitches. From the results of quasi-theoretical values by Finite Element Method(F.E.M.)and experimental values through the photo-elastic tests, the followings were identified. The more the number of gear teeth increased, the more the profile of the tooth became close to that of rack, and accordingly the stresses in the fillet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in certain range. Furthermore, as the shifted value and pressure angle increase the stresses tend decrease. Moreover, the stresses analyzed by F.E.M. in the filled area became around 1.22 times larger than the stresses computed by Lewis' form factor, and this is supposed as on influence of the stress concentration in fillet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