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s according to Dental Health Behaviors of Elderly People in Community

  • 강형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 윤현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ang, Hyeong-Ku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Hyun-Su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12.31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과 구강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공주시 6개면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2005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2개월 동안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서 치과검진을 받은 206명(남자 100명, 여자 106명)으로 하였다. 조사는 구강보건행동과 잇몸출혈 자각증상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치과의사에 의해 구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구강보건행동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지표(우식치, 처치치, 상실치, DMFT 및 CPITN)를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구강보건행동을 보면 "년 1회 이상 치과진료를 받는다"는 군이 24.3%, "주 1회 이상 구강 내 관찰을 한다"는 군이 20.4%, "1일 3회 이상 잇솔질을 한다"는 군이 15.5%, "3분 이상 잇솔질을 한다"는 군이 24.3%, "주당 2~3회 이상 보조용품을 사용한다"는 군이 7.8%, 비흡연군이 68.9%, 감미음료 및 감미식품을 "섭취하지 않는다"는 군이 23.3% 이었다. 2.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구강건강상태를 보면 잇몸출혈의 경우 "항상 있다" 8.7%, "가끔 있다" 28.2%, "거의 없다" 32.0%, "없다" 31.1%의 비율이었다. 우식치는 평균 1.2개 이었으며, 처치치는 9.9개, 상실치는 7.4개, DMFT는 18.4개, CPITN은 2.4이었다. 3. 구강보건행동별 구강건강상태를 보면, 년 1회 이상의 치과진료를 받지 않은 군은 받은 군보다 상실치(p=0.002), DMFT(p=0.002) 및 CPITN(p=0.018)이 유의하게 많았고, 주 1회 이상 구강 내 관찰을 하지 않는 군은 하는 군에 비해 처치치는 유의하게 적은 반면(p=0.002), 상실치(p=0.000)와 CPITN(p=0.000)은 유의하게 많았다. 잇솔질 횟수별로는 "1일 3회 미만 군"이 "1일 3회 이상 군" 보다 우식치(p=0.000), 상실치(p=0.000), DMFT(p=0.000) 및 CPITN(p=0.000)이 유의하게 많았고, 잇솔질 시간별로는 "3분 미만군"이 "3분 이상 군" 보다 상실치(p=0.002)와 DMFT(p=0.041)가 유의하게 많은 반면, 처치치는 유의하게 적었다(p=0.036). 보조용품 사용여부별로는 "사용하는 군"보다 "사용하지 않는 군"에서 DMFT(p=0.041) 및 CPITN(p=0.018)이 유의하게 많았고, 흡연습관 별로는 흡연군이 비흡연군보다 우식치(p=0.035) 와 CPITN (p=0.001)이 유의하게 많았다. 4.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우식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잇솔질 횟수, 성별 및 구강 내 관찰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고(설명력 14.2%), 처치치수에는 성별, 구강 내 관찰, 보조용품사용, 잇솔질 횟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감미음료섭취 여부(설명력 18.2%)가, 상실치수에는 잇솔질 횟수와 연령(설명력 13.9%)이, DMFT에는 잇솔질횟수, 성별, 치과진료여부, 연령(설명력 13.5%)이, CPITN에는 흡연여부, 치과진료여부, 보조용품사용여부(설명력 10.8%)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노인들의 구강보건행동은 매우 저조한 상태로 보이며, 따라서 구강건강상태도 양호하지 못한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구강건강상태는 여러 구강보건행동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됨으로 구강보건행동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oral health conditions based on the dental health behaviors of a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206 rural dwellers(100 men & 106 women) aged over 65 years old, who received dental health check-ups in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and its branches attached to 6 respective Myons of Chunchongnamdo Province, during the 2-month period from Jan. 1st to Feb. 28th, 2005. They were examined by dentists and giv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king about their dental heaith behaviors and subjective symptoms of gingival bleeding. Results: The oral health conditions based on dental health behavior showed that those who have not taken dental health service a year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missing teeth(p=0.002), DMFT(p=0.002) and CPITN(p=0.018), and those who have not observed intra-oral conditions a week to have significantly less number of filled teeth(p=0.002) an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missing teeth(p=0.000) and CPITN (p=0.000)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In terms of brushing, those who brushed their teeth below "3 times/da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decayed teeth(p=0.000), missing teeth(p=0.000), DMFT(p=0.000) and CPITN(p=0.000) than their counterparts. In terms of time spent in brushing, those who spends "below 3 minutes" ha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missing teeth(p=0.002) and DMFT(p=0.041), and significantly less number of filled teeth(p=0.036). According to the use of aid tools for cleaning teeth, the group who don't use them ha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DMFT(p=0.041) and CPITN(p=0.018) than its counterpart. Classified by smoking habits, smoking groups ha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decayed teeth(p=0.035) and CPITN(p=0.001) than non-smoking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tudy data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number of decayed teeth were number of brushing, sex and intra-oral observation (explanatory power of 14.2%). The significant factors for number of filled teeth were sex, intra-oral observation, use of aid tools, frequency of brush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drinking of sweet beverages(explanatory power of 18.2%), those for number of missing teeth, number of brushing and age(explanatory power of 13.9%) those for DMFT, number of brushing, sex, use of dental service, age(explanatory power: 13.5%), and those for CPITN included smoking habits, use of dental service, use of aid tools (explanatory power: 10.8%).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dent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 poor conditions and their consequent intra-oral health conditions are not good. To improve their oral conditions, public campaign and education will be needed to modify unhealthy dental health behavior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구강보건의료연구원. 2000년도 국민구강 보건실태조사 심층분석연구보고서. 보건복지부, 2001
  2. 백대일. 6세 구치의 우식예방과 그 관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1: 29: 753-761
  3. 이현옥, 강은주. 전북지역 도시와 농촌학동의 치아우식 경험도에 관한 비교연구. 원광보건전문대학논문집 1991: 14: 239-245
  4. 서현석,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학교 계속 6세 구치사업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2: 16(2): 400-417
  5. 양정승, 조정민. 도시지역과 전원지역 12세 아동의 영구치 우식경험도에 관한 실태 조사. 광주보건대학논문집 1994: 19: 203-212
  6. 한수영, 성진효, 김동기. 교합면 열구전색치아의 우식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6: 19(1): 51-61
  7. 安藤雄一. わが國におけるう蝕治療二一スの推移と將来豫測. 口腔衛生學會 1999:49:9-20
  8. 장분자, 김지영, 송근배, 감신, 이성국. 경상 북도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치과의료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2003: 28(2): 171-182
  9. 美國 豫防醫療研究班, 豫防醫療實踐 guide line . 東京, 醫學書院, 1993:384-391
  10. Marcenes WS, Sheiham A.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oral health status. Soc Sci Med 1992: 35: 1511-1520 https://doi.org/10.1016/0277-9536(92)90054-T
  11. 井手玲子, 溝上哲也, 山本良子, 吉村健淸. 成 における甘味食品攝取と口腔内狀況 との關連. 日本公衛誌 2002:49(4):324-331
  12. 榊 鐵也. 齲蝕 1-病因論と メカニスム. 東京, 學建書院, 1987:10-11
  13. 香林正治. 職域における齲蝕罷患狀況の疫 學的研究. 金澤醫科大學雜誌, 1994:19:243 -254
  14. 久山佳代, 稻葉浩明, 渡辺壽子. 歯學部學生 の食生活を中心としたライフスタイルと 末處置齲蝕數との關連性 口腔衛生學會, 1996:46:233-240
  15. Jamel HA, Sheiham A, Watt RG. Sweet preference, consumption of sweet tea and dental caries: studies in urban and rural Iraqi populations. Int Dent J 1997: 47: 213-217 https://doi.org/10.1111/j.1875-595X.1997.tb00452.x
  16. 宗像恒次. 行動科學からみた健康と病氣. メヂカルフレンド社, 1993:129-130
  17. 전동균. 사무금융직 노동자와 산업체생산직 노동자의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산업구강보건협회지 1993: 2(1): 1-47
  18. 이창협, 고대호. 도시 생산작 근로자와 군 지역주민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산업구강보건협회지 1996: 5(1): 63-81
  19. 고소영. 근로자의 구강보건의식과 구강보건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0. 김일주. 일부 근로자의 구강보건에 관한 실 태조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1. Fukuda H, Shinsho F, Nakajima K. Oral health habits and the number of teeth percent in Japanese aged 50-80 years. Community Dent Health 1997: 14: 248-252
  22. Kwamura M, Wright FAC, Sasahara H. An analytical study on gender differencies in self-reported oral health care and problems of Japanese employees. J Occup Health 1999: 41: 104-111 https://doi.org/10.1539/joh.41.104
  23. 강명신. 구강보건 인식, 태도, 행동 및 지식 도가 치태관련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4. 박광진. 치아상실원인의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1: 5: 52-54
  25. Summers DJ, Obeman A. Association of oral disease with 12 selected variables. J Penodontres 1968: 47:457-463
  26. Preber H, Bregstrom J.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periodontal healing following surgical therapy. J Clin Periodotol 1990: 17: 324-331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0.tb01098.x
  27. Haber J. Smoking is a major risk factor for periodontitics. Current Opinion in Periodoctology, 1994: 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