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frui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초

과일즙 및 발효 포도즙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ome Selected Fruit Juices and Fermented Grape Juices)

  • 남진희;주광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1-507
    • /
    • 2004
  • Some selected fruit juices and fermented red grape juice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phenolic components by the Folin-Ciocalteu method and antioxidant capacity using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 method. Commercial red grape beverages and red wines were also analyzed as control groups. In the juice, kiwi fruit had the highest phenolic components followed by orange(summer), red grape(Cambell Early:Yonng-Chun), mandarin orange(autumn), apple(Hong-Ok), cherry tomato, tomato and water melon. Whereas, on the antioxidant efficiency, tomato showe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ollowed by orange(summer), cherry tomato, mandarin orange(autumn), apple(Aori) red grape(Cambell Early:Sung-Ju), kiwi fruit and water melon. The amount of pheonlic components of red wine was 2 times of that of fermented sugar added grape juice, however, the antioxidant efficiency of fermented sugar added grape juice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red wine. It was found that no clear relationship could be shown between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n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 juices and fermented red grape juices. The fruit juices from tomato, orange, cherry tomato, mandarin orange, red grape and fermented sugar added red grape juice showed hig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should be regarded as a valuable source of antioxidant.

  • PDF

수분조건 및 송풍처리가 참외의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Condition and Air Circulation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연일권;도한우;최충돈;박소득;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7
    • /
    • 2007
  • 토양수분 조건 및 송풍처리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수분이 과다한 조건(-10kPa)에서 뿌리로부터 수분흡수는 많고 저온다습의 기상조건으로 증산이 억제될 때 흡수된 수분이 삼투압이 낮은 과실부위 특히 당 농도가 높은 태좌부로 이동하여 물찬 참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외 발효과는 신토좌, 엘리트 등 세력이 강한 대목에서 많이 발생하고 세력이 약한 홍토좌 대목에서는 적게 발생하고 자근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과실부위 송풍처리로 신토좌, 엘리트, 홍토좌, 자근묘 등 대목의 종류와 관계없이 발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과육 및 태좌부의 칼슘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송풍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cetaldehyde, ethanol, ethylacetate 등 발효산물의 함량도 적었다.

과실(果實)이 첨가(添加)된 우유(牛乳) 및 Yogurt중(中)의 Vitamin C 함량(含量) 측정(測定)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in Fruit Milks and Fruit Yogurts)

  • 박귀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4호
    • /
    • pp.195-198
    • /
    • 1980
  •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in milk and fermented milk, yogurt added with fruits were determined by 2.6-dichlorophenol indophenol method using a Spectrophotometer. Threes sample of fruit milks and three of fruit yogurts were collected from the several markets in Busan City. The amounts of the vitamin as the reduced form were 0.16 mg/100m1 of strawberry milk, 0.31mg/100m1 of orange milk, and 0.08mg/100m1 of banana milk. The vitamin was not detected from the fermented fruit yogurt samples.

  • PDF

참외 재배법 및 대목 종류에 따른 병해 및 발효과 발생 (Diseases Occurrence rind Fermented Fruit Development by Culture Methods and Rootstocks of Oriental Melon(Cucumis mezo L.))

  • 연일권;신용습;배수곤;도한우;박종욱;박소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2
    • /
    • 2002
  • 대목종류별 병해는 양액재배에서 토양재배보다 감소하였으며, 특히 토양재배에서 39.9∼53.3%발생하였던 덩굴마름병은 양액재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과 발생은 신토좌에서 가장 높았고, 흥토좌, 자근묘 순이었는데, 양액재배에서의 발효과 발생은 대목 종류와는 관계없이 토양재배보다 급격하게 감소하여, 토양 수분의 급격한 변동이 없이 적절한 수분 관리가 이루어지면 대목 종류와는 관계없이 발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손바닥 선인장(Opuntia humifusa) 발효액의 화학적 성분과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작용 (Anti-tumor Activity of Fermented Liquid Opuntia humifusa in Cervical Cancer Cell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 최화정;박승춘;홍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25-1530
    • /
    • 2005
  • 손바닥선인장(Opuntia humifusa)의 줄기, 뿌리 그리고 잎 발효액의 화학성분 비교 및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줄기 발효액의 열량, 조단백, 조지방 그리고 조탄수화물의 성분비율은 86.21 kcal, $0.92{\%}$, $0.12{\%}$ 그리고 $20.34{\%}$로 분석되었다. 열매에서는 65.32 kcal, $0.08{\%}$, $1.04{\%}$ 그리고 $15.15{\%}$로 각각 구성되었다. 무기물 분석에서 줄기와 열매의 발효액에 칼슘(calcium)과 철(ferrous)의 농도는 100g 당 1,800 mg과 388 mg 그리고 21 mg과 10 mg으로 분석 되었다. 발효 전에 물, 메탄올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Caski, SiHa 그리고 HaCaT에서 어떠한 항암활성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손바닥선인장(Opuntia humifusa)의 열매를 효모균으로 발효한 발효액에서 HaCaT를 제외한 CaSki와 SiHa에 대해서는 항암활성을 보여주었다.

과실부위 송풍이 참외의 품질 및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ced-air circulation of ambient Fruit on the Occurrence Fermented-fruit and Fruit Qual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연일권;최성국;최부술;신용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9-107
    • /
    • 1999
  • 참외 과실부위 송풍이 칼슘흡수와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풍속 0.3m/sec로 10시부터 13시까지 1일 3시간 과실부위에 송풍을 하였다. 송풍은 착과 10일후, 20일후, 30일 후부터 수확까지 송풍처리구와 무송풍구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과중은 착과 30일후 송풍처리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육두께는 착과 30일후 송풍구에서 가장 두꺼웠다. 과실의 경도는 착과 10일후 송풍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 및 태좌의 당도는 착과 20일 후 송풍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의 L값은 착과 10일후 송풍구, a값 및 Y. I값은 착과 30일후 송풍구에서 좋아 무송풍에 비하여 송풍 처리에서 과실의 착색이 우수하였다. 과육 및 태좌의 Ca 함량은 송풍처리에 비하여 무송풍처리에서 많았으나, 발효과 발생은 송풍처리구에서 적었다. 특히 착과 20일후 송풍처리구에서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의 발생이 적었고 상품과율은 증가하였다.

  • PDF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정동선;이영경;임경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58-1364
    • /
    • 2000
  • 생산량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높지 않은 농산물인 무, 감자, 생강, 사과, 대추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를 순행하고, 발효액의 유기산 농도와 향기성분, 박테리오신의 생성 및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저장성을 지닌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인 Lc. lactis를 이용한 과채 젖산발효액의 pH는 4.07, 산도는 0.36%이며,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박테리오신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발효중에 생성된 박테리오신의 항균역가는 냉장저장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젖산발효액에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한 효모를 접종하여 후발효시킨 효모발효액에서는 일부 유기산의 소모로 인해 산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cid의 함량은 1.5배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발효액에서 검출된 ester의 종류는 불쾌하고 쓴맛을 내는 phthalate 종류가 많은 반면, 효모 접종구에서는 과일향을 내는 ester 종류가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종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젖산발효액의 풍미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Cl2의 엽면처리(葉面處理)가 참외의 이상발효과 발생억제 및 과실성분(果實成分)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Cl2 Foliar Application on Inhibition of Abnormally Fermented Fruit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정희돈;윤선주;최영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15-218
    • /
    • 1998
  • 참외 '금싸라기은천'의 이상 발효과 발생억제에 미치는 $CaCl_2$의 엽면처리 효과를 실험하였다. $CaCl_2$(0.3~0.7%)를 개화후 10일부터 5일간격으로 3회 엽면처리하므로써 발효과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유효농도는 0.3~0.5%였다. 과실성숙기의 관수는 $CaCl_2$효과를 감소시켰다. 당함량은 정상과가 발효과에 비하여 높았고 $CaCl_2$처리는 당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과실내 Ca함량은 정상과가 발효과 보다 높았으나 K와 Mg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질소시용량이 적든가(10kg/10a) 또는 많으면 (25kg/10a) 발효과 발생이 많았으나 질소시용량은 과실내 Ca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을 이용한 항충치 활성을 지닌 발효이온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ermented Isotonic Beverage with Anticariogenic Activity using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정동선;이영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9-404
    • /
    • 2002
  •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을 이용하여 과실채소 혼합발효액을 제조하고, 발효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특성을 조사하여 항균 이온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시 발효종균으로 Leu. mesenteroides와 Lc. lactis ATCC l1454를 동시 접종하였을때는박테리오신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Leu mesenteroides에 의한 젖산발효 후에 pH를 조정하고 박테리오신 생성균을 접종하였을 때 적정량의 산과 항균물질이 생성되었다. 발효액의 당함량과 무기염류를 분석한 결과, 발효액에는 시판되고 있는 이온음료에 비해 Na과 P의 함량은 높은 편이나, K,Ca, Mg 등의 농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함량도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액은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안정된 항균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발효액의 색상은 저장 중에도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채소 혼합발효액의 무기질 발란스와 기호도를 고려한 당농도 조절 등의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우리고유의 이온음료로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Analysis of γ-Aminobutyric Acid Content in Fermented Plant Products by HPLC/UV

  • Lee, Dong Gu;Cho, Sunghun;Lee, Jamin;Cho, Seon Haeng;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03-309
    • /
    • 2015
  •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fermented plant products and their main plant materials (aerial part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and whole plant of Morus alba) w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GABA was quantified using a reverse-phase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program (water:acetonitrile =90:10 to 0:100 for 40 min). UV detection was conducted at 280 nm. GABA content was measured in fermented plant products (15.07 mg/g), aerial part of A. sessiliflorus (4.49 mg/g), fruit of C. pinnatifida (10.59 mg/g), and whole plant of M. alba (2.31 mg/g). The presence of GABA in fermented plant products, including A. sessiliflorus, C. pinnatifida, and M. alba is important in industrial application for health supp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