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fish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8초

한식 간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특성 - 대기업 시판 제품과 경기지역 소규모 농가 생산 제품의 비교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f Mass-Produced vs. Small Scale Farm Produced in the Gyeonggi Area)

  • 최남순;정서진;최지연;김혜원;조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53-564
    • /
    • 2013
  • The core ingredient of traditional Korean style soy sauce is soy bean without any wheat or rice incorporated. National brands as well as regional micro-brewed companies constitute the soy sauce market in Kore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 sauces produced by small-scale or mass-production. Additionally, the key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fficiently representing the critical sensory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Ten types of soy sauce brewed by the Korean traditional method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mong these samples, seven types were brewed in small-scales in the Gyeonggi-do region whereas the other 3 types were mass-production products of major national brands. The total solid, reducing sugar, salinity, sugar content, amino nitrogen, CIELAB, acidity, and pH of soy sauc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 generic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using six trained panelists. The descriptive panel developed 21 sensory attribute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NOVA, PCA and PLSR. Overall, the micro-brewed produ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salinity and acidity but lower content of reducing sugar than the mass-production products. The micro-brewed soy sauces elicited stronger fermented flavor, sourness, and bitterness whereas the national brand products elicited stronger alcoholic odor, sweetness and umami taste. Sugar content, acidity, and amino nitrogen showed strong relationships with fish sauce flavor, umami taste, and rich flavor. Salin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overall flavor intensity.

Changes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in Eoyukjang,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sauce Prepared under the Ground in a Pot or an Incubator

  • Park, Yong-Woo;Lee, Seung-Wook;Chang, Pahn-Shick;Lee, Jong-Mee;Kim, Young-Suk;Lee, Jae-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48-52
    • /
    • 2009
  • Eoyukjang is a traditional Korean sauce made of cooked soypaste or meju supplemented with fish and meats at least 1 year of fermentation period. Eoyukjang was recover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and stored under the ground in a pot without plastic packaging (13G: 13 month fermentation under the ground) or in an incubator wrapped with plastic packaging (6I, 12I, and 18I: 6, 12, and 18 month fermentation, respectively). Distribution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were monito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GC), respectively. Total isoflavones in 13G, 6I, 12I, and 18I were 3.792, 0.387, 0.460, and $0.510{\mu}mol/g$, respectively. Samples of 13G had at least 8.24 times higher isoflavone contents than samples from 12I. Aglycones were the major isoflavones in eoyukjang and were found more than 92% in 13G and 39-63% in incubated samples. In fatty acid analysis, the ratios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from 13G were higher than those from 6I, 12I, and 18I.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using a pot may allow more migration of air and moisture than samples wrapped with plastic packaging, which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isoflavones and fatty acids.

젓갈에서 분리한 Lactococcus lactis SA72에 의한 Lacticin SA72의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for Lacticin SA72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SA72 Isolated from Jeot-gal.)

  • 백현동;구경모;김진곤;이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6-50
    • /
    • 2003
  • 젓갈에서 분리된 Lactococcus lactis SA72균주로부터 유용 박테리오신인 lacticin SA72의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양용 배지 및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유산균의 대표적인 배양 배지인 BHI, MRS, Ml7배지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이중 MRS배지가 최적 배지로 결정되었다. 이 MRS배지에 0.5% glucose를 첨가한 경우, 더 높은 활성을 얻을 수 있었다. pH의 영향을 검토하였을 때는, 초기 pH에서는 pH 7이었고, 발효조에서의 배양기간 동안 pH 6으로 조절할 때가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배양온도는 $32^{\circ}C$로 유지할 때가 활성이 우수하였다. 회분식 배양에서는 최대 3,200AU/m1을 얻을 수 있었으며, 유가식 배양으로 10g/1 glucose를 주기적으로 공급하였을 때 , 약 6,400 AU/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얻을 수 있었다.

울릉도산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관능 및 영양 특성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z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Korea)

  • 임양재;조현수;정경숙;황보규;강상인;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3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the sensor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caught off Ulleung Island (U-MS), Korea, with those caught off Daecheong Island (D-MS). Based on their trichloroacetic acid-soluble nitrogen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and taste value, the taste of intermediate weight female U-MS was superior to that of both other U-MS and D-MS. The urea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heavy>intermediate>light individuals.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 in urea content between U-MS and D-MS. The taste and flavor characteriz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ammonia, which was converted from urea, influenced the quality of fermented U-DS. With the exception of the light U-DS, the other U-MS exhibited no difference in terms of hardnes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in the order intermediate > heavy > light individual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U-M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D-MS. The major amino acids of all MS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Docosahexaenoic acid의 모유두세포 증식 효능 및 기전 (Effect and mechanism of docosahexaenoic acid on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 고지연;오일중;강정일;최윤경;윤훈석;유은숙;고창익;안용석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84-89
    • /
    • 2019
  • Docosahexaenoic acid (DHA), a principal of mackerel-derived fermented fish oil, increases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DPCs) via the upregulation of cell cycle-associated proteins such as cyclin D1 and cdc2 p34, and might promote hair-growth. However, the intracellular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action of DHA in the proliferation of DPCs have not been investigated fully. In this study, we addressed the action mechanisms of DHA to trigger the activation of anagen in DPCs. DHA activated β-catenin signaling by the increased phosphorylation at serine 552 and serine 675 as well as the translocation and accumulation of activated β-catenin into the nucleus. In the other hand, DHA inhibited canonical TGF-β/Smad signaling by the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Smad2/3.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DHA might stimulate anagen signaling via the activation of Wnt/β-catenin pathway, while the inactivation of canonical TGF-β signaling pathway in DPCs.

된장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Doenjang (Soybean Paste) on the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Fermentation)

  • 임용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9-143
    • /
    • 2008
  •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젓갈 대신에 된장을 첨가하여 김치의 품질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김치 제조원료에 된장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28일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 그리고 기호성을 검사하였다. 된장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pH 변화는 전 발효 기간 동안 된장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의 변화는 발효 초기 유사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될수록 대조구에 비해 된장 첨가 김치의 산도의 변화가 완만한 증가 현상을 나타내 pH 변화와 유사하였다. 유산균수와 총균수는 대조구, 첨가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성장이 억제되었다.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된장 첨가구 모두 백색두 적색도, 황색도가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된장 5% 첨가 김치가 맛은 물론, 풍미, 색상, 종합적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된장을 첨가 김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홍해삼 첨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및 기호도 변화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 박수영;임희경;박상규;조문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135-140
    • /
    • 2012
  • 양식의 성공으로 생산되는 다량의 홍해삼의 이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해 홍해삼 김치를 개발 연구하였다. 김치 숙성 정도의 지표인 총산도와 pH는 7일째 까지 감소현상이 심하였으나, 숙성후기에는 pH의 변화가 느려지고, 적정 pH인 4-4.5에 머물렀다. 환원당 함량은 초기에 다소 높게 나타났다가 저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생홍해삼을 넣은 김치와 삶은 홍해삼을 넣은 김치의 발효과정에 따른 유산균 변화는 저장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고 삶은 해삼보다는 생해삼에서 더 많은 유산균 발육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생해삼과 삶은 해삼 그리고 젓갈이 홍해삼 김치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해삼을 첨가한 김치는 일반 김치에 비하여 색, 향, 질감, 맛, 뒷맛, 기호도 모두 뒤떨어짐이 없었다.

Lactococcus lactis NK34에 의해 생산된 소 유방염 원인균에 효과가 있는 lacticin NK34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in NK34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NK34 against Bovine Mastitis)

  • 이나경;박여랑;김현욱;박용호;임성렬;김종만;김재명;남향미;정석찬;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7-462
    • /
    • 2008
  • Lactococcus lactis NK34, isolated from jeotgal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ish), produces bacteriocin against bovine mastitis pathogen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7, S. aureus 8, Staphylococcus chromogenes 10, S. chromogenes 19, Staphylococcus hominis 9, Streptococcus uberis E290, Enterococcus faecium E372, 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 Pseudonocardia autotrophia KCTC 9455, and Staphylococcus simulans 78. Lacticin NK34 was inactivated by protease XIV but not by protease IX, protease XIII, proteinase K, $\acute{a}$-chymotrypsin, trypsin, and pepsin. Also, lacticin NK34 was stable over a pH range of 2 to 9 for 4 hr and withstood exposure to temperatures of 30-$100^{\circ}C$ for 30 min. Lacticin NK34 showed bactericidal effects against S. simulans 78. This bacteriocin was purified using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ultrafiltration, and hydrophobic chromatography. Tricin-SDS-PAGE of purified bacteriocin gave the same molecular weight (3.5 kDa) as nisin. The gene encoding this bacteriocin was amplified by PCR using nisin gene-specific primers. It showed similar sequences to this nisin Z ge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acticin NK34 is a nisin-like bacteriocin, and could be used as an antimicrobial alternative for livestock.

대체농업자재에 의한 과수의 품질 및 주요병해방제 효과 (Effect on Fruit Quality and Tree's Main Disease Control by Agro-chemical alternatives)

  • 남기웅;김승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7-77
    • /
    • 2002
  • 과수농가에서 시용하고 있는 대체농업자재들을 대상으로 과실수량 및 품질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 또한 이들 자재들이 사과에서 발생하는 주요병해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료와 농약을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과수원에서는 과실 수확량이 관행농법의 56%수준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며, 과일의 크기도 적어 상품성 있는 과실 생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면에서 처리간 과실중의 당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비타민C 함량은 환경농법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농약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초액, 유산균, 천혜녹즙, 현미식초, 키토산을 사과원에서 처리한 결과 키토산 처리구에서 사과병해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 외 처리는 관행농법구보다 병해발생이 많았다. 키토산, 현미식초, 천혜녹즙과 아미노산처리구에서 생산된 과실중에 당함량이 다소 많았으며 키토산, 현미식초, 활성탄과 목탄처리구에서는 비타민C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과수원에서 농약을 전혀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에 의존한 과수원 경영은 매우 곤란한 것으로 생각되며, 대체농업자재는 비료와 농약 사용량을 줄이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영년생인 과수의 경우는 장기간 동안 대체농업자재를 처리한 후에 토양의 비옥도 변화, 토양미생물상 변동, 천적 생물의 변동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효과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젓갈 및 수산물 첨가 김치에 대한 주부의 기호도 및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s and Fermented Seafoods Add Kimchi)

  • 김은미;김영명;조진호;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1998
  • 본 연구는 김치첨가용 수산부재료(젓갈류 포함)의 사용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등을 조사하여 수산물 첨가김치의 과학적 제조기술 및 산업화를 위한 김치조미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져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주로 $30{\sim}50$세 연령대의 가정주부였으며 가족형태는 핵가족 형태로 월평균소득이 $100{\sim}200$ 만원대의 중간소득층이었다. 김치의 기호도는 조사대상자의 65.3%가 매우 좋아 하는 필수식품으로 아직은 우리나라 부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일 먹지 않아도 크게 불편하지 않다 6.0%, 싫어한다 0.5%로 나타나 향후 상용식품으로서의 김치의 입지가 변할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를 담글 때 젓갈과 수산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김치의 맛과 냄새를 좋게 하기 때문에, 김치의 영양가를 높여주기 때문에가 각각 79.5%와 54.2%로 나타났으며 첨가하지 않는 이유는 주로 맛과 냄새를 좋지 않게 하기 때문에, 젓갈이 위생상태가 불안해서, 김치를 오래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가 각각 13.5%, 1%, 12.8% 로 나타났다. 김치첨가용 수산부재료중 가장 선호하는 젓갈은 멸치젓(84.9%)과 새우젓(69.1%)이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수산물(해조류 제외)은 생굴(76.4%)과 작은 생새우(54.7%)이었고 가장 선호하는 해조류는 청각(58.8%)으로 나타났으나 수산물(해조류 제외)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15.3%로 해조류를 사용하지 않는다가 31.4%로 나타났다. 김치의 국제적 발전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한국김치의 식품학적 특성을 살리되 풍미를 국제감각에 맞도록 발전(86.5%)시키고 위생적 안정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50.9%)고 응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