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properties

검색결과 1,202건 처리시간 0.031초

Suitabil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SPC-SNU 72-2 as a Probiotic Starter for Sourdough Fermentation

  • Park, Da Min;Bae, Jae-Han;Kim, Min Soo;Kim, Hyeontae;Kang, Shin Dal;Shim, Sangmin;Lee, Deukbuhm;Seo, Jin-Ho;Kang, Hee;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1호
    • /
    • pp.1729-1738
    • /
    • 2019
  • In sourdough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perform important roles in the production of volatile and antimicrobial compounds, and exerting health-promoting effect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probiotic properties and baking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PC-SNU 72-2 isolated from kimchi. This strain is safe to use in food fermentation as it does not carry genes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i.e., hdc, tdc, and ldc) and shows no β-hemolytic activity against red blood cells. The strain is also stable under simulated human gastrointestinal conditions, showing tolerance to gastric acid and bile salt, and adheres well to colonic epithelial cells. Additionally, this strain prevents pathogen growth and activates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by inducing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 (IL)-6, and IL-12. Furthermore, the strain possesses good baking properties, providing rich aroma during dough ferment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bread texture. Taken together, L. plantarum SPC-SNU 72-2 has the properties of a good starter strain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it improves bread flavor and texture while also providing probiotic effects comparable with commercial strains.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by Lactic Acid Fermentation)

  • 최윤희;김상범;조용식;김은미;박신영;김태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5
    • /
    • 2010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lactic acid fermented rice flour prepared using ABT-L(mix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illus long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were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deproteinizing of lactic acid fermentated rice was higher than soaking fermented ric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flour showed slightly decreased inner particle size but maintained regular structural form. Molar mass and molar size after being treated with soaking or lactic acid fermentation were decreased. Amylograms except for pasting temperature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flours or soaking fermented rice flours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control sample. The ratio of flours passed through 100 mesh and 150 mesh sieves of lactic acid fermented rice flours were higher than soaking fermented rice flours. Lactic acid fermented rice flours being passed through 100 mesh sieves showed finer particle flours than those treated with soak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lactic acid fermentation, which can have a high efficiency on the deproteinizing of rice, contributed to the changes of particle size and its distribution of rice flour.

김치발효에서 Weissella 속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Importance of Weissella Speci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Future Works)

  • 이강욱;박지영;천지연;한남수;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1-348
    • /
    • 2010
  • Weissella 종들은 김치발효중 가장 흔히 검출되는 유산균 들이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새로운 속으로 비교적 최근에 정립된 점이 연구가 미흡한 한 이유이고 생화학적 특성들에 기초한 동정법의 부정확성도 다른 이유가 된다. 현재 14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새로운 종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Weissella들의 특성과 김치발효중 역할을 상세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김치 제조를 위해 Weissella 균주들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하려할 경우 중요하다.

고초균을 이용한 조직대두단백의 고체 발효 기간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물성 평가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xtured Vegetable Protein Fermented by Solid Culture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 김지은;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72-879
    • /
    • 2010
  • 조직대두단백을 이용하여 B. subtilis HA에 의한 장기간 동안 고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물의 품질, 항산화 활성 및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라 발효물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고 a, b 값은 증가하였으며 수용성 추출물의 갈색도는 발효 48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나 그 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VP 발효물의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 24시간째 70% 에탄올 추출물의 $ IC_{50}$값이 0.99 mg/mL로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고 발효시간이 길어져도 활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70% 에탄올 추출물이 발효 72시간째 $ IC_{50}$값이 1.68 mg/g으로 가장 높았다. TVP 발효물의 점조도는 발효 48시간째 7.89 $Pa{\cdot}s^n$으로 가장 높았고 그 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질물 함량은 발효 24시간째 26.4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물의 점탄성은 발효 48시간째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고 탄성(G')보다 점성(G")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amma$-PGA 함량은 발효시간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68시간에 37.72% 생산되었고, 분자량은 발효시간이 경과될수록 감소하였다. Levan 함량은 발효 초기인 12시간째 7.83%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분말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Helianthus tuberosus Powder)

  • 박병배;게렐튜야 렌친핸드;남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96-205
    • /
    • 2019
  • 본 연구는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의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돼지감자를 식품소재로써 활용하고자 첨가량에 따른 발효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 분말 1%, 3%, 5% 첨가 발효유 중 5% 첨가구가 산 생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유산균 수도 가장 높게 생장하였다. 또한, 유산 생성이 활발하였고,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도 높았다. 점도는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는데, 물성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돼지감자분말 첨가 발효유 생산이 유가공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효모에 따른 참다래 'Hayward' 와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 도코삭;박양균;박용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4-181
    • /
    • 2010
  • 참다래로 만든 'Hayward' 와인 제조에 적합한 효모 선발을 위해서 3종의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Gervin No.5 strain (GVN), S. bayanus Lavin strain EC1118 (EC1118), 그리고 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796 (No.796)은 와인 발효에 가장 적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효모이다. 이 세 효모에 의해 발효된 샘플의 당도 함량은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나, 알코올 생산량만 발효 첫 주에 큰 차이가 있었다. 효모중 GVN이 13.8%로 알콜농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No.796과 EC1118은 각각13.0%와 12.5%로 상대적으로 알콜함량이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GVN은 높은 산과 높은 알콜함량을 가지고 있고, 강한 풍미와 쓴맛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No.796은 GVN과 유사하지만 낮은 알콜함량과 함께 단맛이 있었다. EC1118은 높은 풍미, 단맛과 낮은 알콜함량으로 부드러운 맛으로 평가되었다. EC1118에 의해 발효된 와인 의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다른 효모보다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EC1118이 최적의 효모로 선발되었다. 다른 2종의 효모를 사용한 참다래 발효 와인은 각각 다른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EC1118효모는 참다래 발효에 가장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과 같은 건강기능성과 높은 관능적 기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잠재적 사료첨가제로서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생균제 특성 및 면역활성 효과 (Probiotic Properties and Immunomodulator Evaluation of the Potential Feed Additive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

  • 신수진;하광수;정수지;류명선;김진원;양희종;곽미선;성문희;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96-90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면역증강용 생균제 개발을 위하여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및 면역활성을 조사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하였고, 분리 유산균을 대상으로 가축유해 미생물 5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5종의 유산균을 1차 선별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생균제 소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혈성, 담즙산염 분해효소, 항산화 활성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SRCM102607을 선별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로 명명하였다. SRCM102607의 pH 2 조건에서 내산성은 1.54×105 CFU/ml의 생균수를 보였으며, 0.5% 이상의 oxgall이 포함된 조건에서도 105 CFU/ml 이상의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발균주의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항생제 내성 및 분해 효소능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유해 효소를 생성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면역 증강제로서의 활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NF-α 생성능(171.86±4.00 ng/ml)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SRCM102607은 가축 생균제 소재로 활용 가능성과 면역활성이 뛰어난 유산균으로 생균제 산업에서의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젓갈의 종류 및 첨가수준에 따른 배추 김치의 발효기간 중 특성변화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 김광옥;김원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0
    • /
    • 1994
  • 소금만으로 짠맛을 낸 김치를 대조군으로 하고 염도가 동일하도록 소금과 새우젓 또는 멸치액젓을 각각 두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추 김치를 제조하여 $20^{\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감소하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그 정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발효 초기에 새우젓군의 pH 감소가 현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 발효기간을 통해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고젓가군, 저젓갈군의 순서로 감소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lactic acid는 젓갈군이 대조군보다, 고젓갈군이 저젓갈군보다 그리고 새우젓군이 멸치젓군보다 측정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균수와 Leuconostoc속 미생물 수는 발효가 계속될수록 증가하다가 4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탄산미, 짠맛, 신맛, 군덕내는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이 점점 더 강하고 경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점점 더 약하게 평가되었으며, 젓갈군의 신맛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간 강한 경향이 있었다.

  • PDF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famycin B Fermentation Using Nocardia mediterranei

  • Rho, Yong-Taek;Gyun, Nam-Kung;Lee, Kye-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70-74
    • /
    • 1991
  •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rifamycin B fermentation broth using Nocardia mediterranei were characterized in concomitance with the chemical changes of the fermentation broth. The data were interpreted with various rheological models.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heological behaviour at the early growth phases of the culture was the Newtonian fluid, but it was changed to the non-Newtonian fluid (Casson plastic behaviour) at the later phases of the culture. Rheological parameters viz., apparent viscosity ($\mu_a$), yield shear stress ($\tau_o$), and Casson constant ($K_c$) were changed through the fermentation where cell concentrations were changed and mycelia were greatly branched. Those results indicated that cell concentration and cell morphology played important roles to determine the rheological characters.

  • PDF

치아시드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on Chia seed Powder)

  • 이승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23-736
    • /
    • 2013
  •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of different amounts of chia seed powder,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this study made bread by adding chia seed powder by 1%, 3%, and 5% of the flour weight. When bread dough properties were determined using mixograph, all doughs were appropriate for bread-making. In the evaluation of fermentation rate, the dough with 3% of chia seed powder CS 3 showed the most favorable fermentation rate during the first 60-min fermentation of the bread. According to CrumbScan, the fineness of bread pores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bread loaves containing chia seed powder. The volume of bread in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highest when chia seed powder was added by 3%. According to preference analysis, appearance and taste was best in CS 3, showing the highest overall score in preference. Therefore, the optimum amount of chia seed powder is identified to be 3% in bread-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