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ces pH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3초

불용성 함초 식이섬유의 섭취가 흰쥐 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Salicornia herbacea L. on Large Intestinal Function in Rats)

  • 김수환;김숙자;이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48-654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Normal군, Control군, 5% ${\alpha}$-cellulose군, SHDF 5%, SHDF 10%군으로 나누었다. AIN-93 기본식이에 다른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4주 동안 식이하여 혈청 중 지질 성분의 생화학적 분석, 대변량과 수분 함유량의 변화, 장 통과시간 측정, 분변 중 pH와 담즙산 측정, 대장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 SHDF 10%군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여 주었고 심지어, 5% ${\alpha}$-cellulose군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서 모든 군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여 주었다. 채집한 분변의 wet weight와 dry weight는 모두 Control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배출된 대변에서의 수분양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분변의 장 통과시간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변의 pH는 Control군에 비해 함초의 식이에 의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모였으며, 담즙산은 유의성 있게 증가했다. 조직의 염색상을 통해 장샘의 길이와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하여 함초식이군에서 조직의 손상이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함초의 불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triglyceride의 감소와 HDL-cholesterol을 증가시키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장 통과시간을 단축하여 손상된 장관내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장점막층의 빠른 회복을 통하여 변비 등과 같은 장기능 저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인체 분변에서 Bifidobacterium species의 선택적 분리를 위한 배지 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Bifidobacterium Species in Human Fecal Sample)

  • 신새연;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9-1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MRS-C (0.05% L-cystein; pH 5) and BHI-CM (0.05% L-cystein, 0.5% mucin) agars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bifidobacteria in fecal samples compared to blood-liver-NPNL (BL-NPNL) agar. Over 200 isolated colonies were characterized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ure cultures of the isolated strains, followed by PCR amplification of the 16S rRNA gene. Bifidobacterium longum and B. animalis were selectively isolated from MRS-C agar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Enterococcus avium were also isolated. B. longum, B. faecale, and B. animalis were isolated from feces on BHI-CM agar; however, different Bacteroides strains (including Bac. fragilis, Bac. kiribbi, Bac. ovatus, Bac. koreensis, and Bac. salyersiae) were also detected. BL-NPNL agar successfully isolated B. longum and Bacillus, while other Bifidobacterium and Bacteroides species could not grow owing to the presence of antibiotics in the medium. The use of antibiotics in a medium can enhance the selectivity; however, antibiotics may inhibit the growth of certain bacteria in a sample. Hence, adjusting pH or adding non-antibiotic nutrients to the medium is more advantageous, than relying on antibiotics.

포유자돈에서 돼지써코바이러스 2형이 돼지유행성설사 바이러스 감염에 미치는 영향 - I. 혈청학적 결과, 형광항체검사 및 RT-PCR 검사 - (Effects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on the pathogenesis of porcine epidemic diarrhoea virus infection in piglets - I. Serological result, FA test and RT-PCR -)

  • 김문;김영훈;한정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7-1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subsequent infection of PCV2 on piglets with PEDV.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ntibodies against PCV2 and PEDV were detected at 24, 36, 48, 60 and 72h postinfection. And the antibody titers of alone infections with PEDV were gradually reduced and increased from 60 hpi to 72 hpi. Whereas, the antibody titers of dual infections with PCV2 and PEDV were gradually reduced all the time. PEDV antigens were detected at 24, 36, 48, 60 and 72 hpi, being seen almost exclusively in feces and small intestines from PEDV-infected piglets and PCV2-coinfected piglets. The detection rate of PEDV in feces and jejunum tissues by RT-PCR were 94.9% and 91.1% in dual infections and 87.1% and 83.6% in alone infections with PEDV, respectively. In dual infected piglets, significantly more PEDV antigens were detected in the feces and small intestines tissues at 24 hpi (P<0.05) than in the same feces and tissues of the alone infected piglets. Thereafter, at 72 hpi significantly more PEDV antigens (P<0.05) was detected in the jejunal tissues of the dual infected piglets with than of alone PEDV-infected piglets. The detection rate of PEDV antigen in the duodenum, jejunum and ileum by IFA were 91.3%, 91.3% and 83.3% in dual infected piglets and 75.0%, 83% and 75% in alone infected piglets, respectively. Intense and specific fluorescence signals were more often seen within jejunal villous enterocytes in dual infected piglets than alone infected piglets.

Screening of Immunostimulator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Chicken Feces as Animal Probiotics

  • Lee, Eun-Kyung;Lee, Na-Kyoung;Lee, Si-Kyung;Chang, Hyo-Ihl;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4-640
    • /
    • 2010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creen and select acid-tolerant Lactobacillus strains from chicken feces, feeds, and other sources. Fourty six strains evidencing acid tolerance (pH 3.5) were isol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nine strains exhibited marked immunostimulatory effects. Therefore, nine candidate strains were characterized for probiotic use. In order to evaluate macrophage activation, NO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RAW 264.7 cells. In particular, three strains (FC812, FC222, and FC113) evidenced the highest levels of NO production measured at $38.39{\pm}20.01,\;35.06{\pm}27.73$, and $33.88{\pm}15.99{\mu}M$,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0^{8}CFU/mL$. The majority of strains, with the exception of strain FC322, evidenced marked resistance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with 1%(w/v) pepsin). Additionally, strains FC222, FC421, FC511, and FC721 were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bile acid (0.1%(w/v) oxgall), whereas strains FC113, FC322, FC422, FC621, and FC812 were the least resistant to bile. All nine strains exert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chickenrelated pathogens. Additionally, all nine strain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several antibiotics. The isolated strains, except for strain FC322,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using an API 50 CHL ki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ome probiotic organisms may potentially probiotic properties, and thus may serv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animal applications.

홀스타민 착유우의 분뇨배설량과 이화학적 제특성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Manure by Holstein Milking Cow)

  • 최동윤;강희철;최희철;곽정훈;김태일;김재환;한정대;최홍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2
    • /
    • 2001
  • 축산기술연구소 유우사에 있는 계류식 우사에서 홀스타인 착유우 6두를 공시하여 1998년 9월 2일부터 9월 11일까지 10일간 개체별로 계류하여 배합사료를 NRC 사양표준에 기준하여 급여하고 조사료로 옥수수 싸일 레지 및 목건초를 자유채식토록 하여 분뇨배설랑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기간중 착유우의 평균체중은 550.0kg 이었으며 평균 사료섭취량은 건물기준 16.7 kg이었다. 산유량은 평균 24.4kg이었으며, 음수량은 85.4l였다. 분뇨배실량은 평균 63.5 kg으로, 분이 42.3, 뇨가 21.2kg이있다. 분뇨의 특성에서 분과 뇨의 수분 함량은 각각 83.9, 96.9%였고, pH는 각각 6.6, 7.6으로 나타났다. 분의 $BOD_5,\;COD_{Mn}$, SS, T-N, T-P는 각각 16,560, 40,329, 78,500, 2,854, 577mg/$\ell$였고, 뇨의 $BOD_5,\;COD_{Mn}$, SS, T-N, T-P는 각각 4.580, 7.575, 370, 4,164, 7mg/l로 나타났다. 분뇨중의 중금속 함량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Mixed organic acids improve nutrients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intestinal microbiota in growing-finishing pigs fed high-fiber diet

  • Li, Miao;Long, Shenfei;Wang, Qianqian;Zhang, Lianhua;Hu, Jiangxu;Yang, Jie;Cheng, Zhibin;Piao, Xiang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56-864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ixed organic acids (MOA) on nutrient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s composition and intestinal microbiota in growing-finishing pigs fed high wheat bran diet. Methods: Six crossbred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average body weight $78.8{\pm}4.21kg$, fitted with T-cannulas at the distal ileum, were allotted to a double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ith 3 periods and 3 diets. Each period consisted of a 5-d adjustment period followed by a 2-d total collection of feces and then a 2-d collection of ileal digesta.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corn-soybean-wheat bran basal diet (CTR), mixed organic acid 1 diet (MOA1; CTR+3,000 mg/kg OA1), mixed organic acid 2 diet (MOA2; CTR+2,000 mg/kg OA2). Results: Pigs fed MOA (MOA1 or MOA2) showed improv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gross energy,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and pigs fed MOA2 had increased (p<0.05) ATTD of neutral detergent fiber compared to CTR. Dietary MOA supplementation decreased (p<0.05) pH value, and improved (p<0.01)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TVFA) in ileum compared to CTR. Pigs fed MOA showed higher (p<0.05)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and lower (p<0.05) content of formic acid in feces compared to CTR. Pigs fed MOA1 had increased (p<0.05) concentration of TVFA and butyric acid in feces. Pigs fed MOA1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Lactobacillus and lower concentration of Escherichia in feces compared to CTR.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MOA 1 or 2 could improve nutrients digestibility, TVFA concentration and intestinal flora in growing-finishing pigs fed high fiber diet.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리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a Breast-Fed Infant)

  • 홍성문;소병천;윤승원;김철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5-53
    • /
    • 2012
  • 본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째 신생아의 분변으로부터 L. acidophilus를 분리 및 동정하고, 이들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pH 5.5에서 생장하는 lactobacilli 43균주를 분리하고, 그 중 pH 2.5에서 생존율이 약 80% 이상이고, homo 젖산 발효를 하는 lactobacilli 14균주를 1차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lactobacilli 14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당 이용성 및 균체 지방산 조성의 확인을 통해 동정된 L. acidophilus 9균주(NB 201~NB 209)를 시험 균주로 선발하였다. 내산성 실험 결과, 시험 균주를 pH 2.5에서 2시간 배양하였을 때 모든 시험 균주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L. acidophilus NB 204는 pH 2.0에서도 71%의 생존율을 보여 내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즙산 내성은 73%의 생존율을 보인 L. acidophilus NB 206을 제외한 8균주가 bile extract가 1%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담즙산 내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균주 모두가 단백질 분해 활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ast extract 0.1%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0.2% 첨가 시 또는 24시간 배양과 비교하여 48시간 배양 시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높았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또는, yeast extract의 첨가량 및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CA 가용성 펩타이드 및 유리 아미노산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L. acidophilus NB 204와 NB 209가 높은 생성량을 보였다). 시험 균주들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1.97~2.45 unit/m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홀스타인 젖소 분뇨의 특성과 비료성분 및 오염물질 부하량 추정 (Characteristics of Manure and Estimation of Nutrient and Pollutant of Holstein Dairy Cattle)

  • 최동윤;최홍림;곽정훈;김재환;최희철;권두중;강희설;양창범;안희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37-146
    • /
    • 2007
  • 2005년 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농림업 생산액은 총 36.3조원으로 이중 축산업 생산액은 11.8조원으로 전체 생산액의 32.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을 점유하고 있으며(농림부, 2006), 유제품의 소비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1인당 63.6kg의 우유․유제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농촌경제연구원, 2005). 이 같은 성장은 축산농가들이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그동안 보여준 각고의 노력과 꾸준한 투자의 결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제는 축산물이 국민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가축사육두수는 1970년대부터 해마다 계속 증가하여 2005년 말 현재 한우 1,819천두, 젖소 479천두, 돼지 8,962천두, 닭 109,628천수가 사육되고 있으며 사육농가의 전업화로 인하여 농가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농가당 사육두수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농림부, 2005). 농가당 평균 가축사육두수는 한우 8.8두, 젖소 51.7두, 돼지 671.4두, 닭 813.0수이며, 이중 부업이 아닌 전업농으로 볼 수 있는 한우 50두 이상의 사육농가가 전체 한우농가의 2.9%, 젖소 50두 이상 사육농가가 46.8%, 돼지 1,000두 이상의 농가가 21.6%, 닭 30,000수 이상의 농가가 1.0%를 차지하고 있어, 젖소가 다른 축종에 비해 전업농의 규모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농림부, 2005). 따라서 매년 축산농가로부터 발생되는 분뇨의 양도 증가되고 있으며, 1990년초부터는 가축분뇨가 작물의 비료원으로 쓰이는 순기능보다는 환경오염의 한 요인으로 지목되면서 토양, 수질 및 대기오염이라는 역기능이 더 부각됨에 따라 도시근교의 낙농가, 초지나 사료작물포를 확보하지 못한 목장, 상수원 보호구역내에 위치한 목장에서는 분뇨처리에 고심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체격이 크고 방목지 및 운동장 등의 야외에서 사육되는 경우가 많은 젖소는 다른 가축에 비해 분뇨배설량이 많을 뿐 아니라, 운동장 등 축사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지목을 받아 왔다. 또한 조사료 생산기반인 동시에 생산된 분뇨를 환원해야 할 경지면적이 협소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젖소의 규모확대는 가축분뇨의 토양에 대한 부하를 높이게 되었고,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같은 대내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낙농가들은 목장의 규모에 관계없이, 분뇨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목장관리에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가축분뇨는 2, 3차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는 그 성격 자체가 판이하게 달라 제도적 접근 방식도 나라와 환경에 따라 현격하게 다르다. 미국과 EC의 경우는 가축분뇨 자체를 환경보전재(Natural Resource)로 규정하고 적정한 사용방법을 정립하여 계도(Guide) 하므로서 환경을 보전하는 적극적인 환경보전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방류수의 수질을 규제하는 소극적 환경보전 제도로 출발했으나 1993년부터는 환경보전형 농업(축산)으로 정책방향을 전환하여 실행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1981년부터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제도(법)가 시행되어 왔으나 법의 시행으로부터 25년이 경과한 현재까지도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은 사회로부터 계속 지탄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가축분뇨의 처리방식은 축종이나 농가 경영여건별로 크게 다르나, 궁극적으로는 경작지에 퇴비․액비 형태로 살포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정화하여 방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젖소분뇨 또는 슬러리 처리에 필요한 시설 또는 활용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젖소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의 특성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및 비료성분 배출량 추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젖소분뇨를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가단위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a metalloprotease from an isolate Bacillus thuringiensis 29-126 in animal feces collected from a zoological garden in Japan

  • Lee, Eun Seok;Lee, Hyun Woo;Lee, Dong-Hyun;Kim, 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73-377
    • /
    • 2016
  • An extracellular metalloprotease, Btmp, was partially purifi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acillus thuringiensis 29-126, isolated from animal feces collected in a zoological garden in Japan, by ultrafiltratio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 set of chromatography on Sephadex G-75 and High-Q. The molecular mass of the protease was estimated to be 60 kDa by SDS-PAGE. The enzyme showed optimum activity at $50^{\circ}C$ and pH 6.0, and had a half-life of 14 min at $50^{\circ}C$. The enzyme activity was not influenced by $Na^+$, $K^+$, $As^+$, $Mg^{+2}$, $Ca^{2+}$, $Ba^{2+}$, and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but it was moderately inhibited by $Zn^{+2}$ at a concentration of 1.0 mM, while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to less than 50 % by $Cu^{2+}$, $Co^{2+}$, $Cd^{2+}$, and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Interestingly, the enzyme was activated to 178 % by 1.0 mM of $Mn^{2+}$.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protease is a novel extracellular manganeseactivated metalloprotease.

식이 뽕잎분말이 흰쥐의 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ulberry Leaf Powder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of Rat)

  • 이희삼;김선여;이완주;이상덕;문재유;류강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65-869
    • /
    • 2000
  • 흰쥐에게 뽕잎을 4주동안 투여하여 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료이용효율은 10% 투여구에서 14% 감소되었고, 장 통과시간은 1% 투여구에서 16%, 10% 투여구에서 21% 빨라졌다. 장의 길이는 1% 투여구에서 10%, 10% 투여구에서 11% 증가되었고, 장 통과속도는 1% 투여구에서 30%, 10% 투여구에서 40% 빨라졌다. 변의 pH는 대조구가 6.91인데 비해 1% 투여구는 6.07, 10% 투여구는 5.95로서 뽕잎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변의 pH는 점차 낮아졌다. 변량은 1% 투여구에서 57%, 10% 투여구에서 91% 증가되었다. 변중의 무기성분 중에서 K의 함량이 50% 증가하였으나, 이는 뽕잎 중에 K함량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