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ality rat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1초

2009년 유행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한약 및 기타 비전형적 치료에 대한 고찰 (An Overview of the Herbal Remedies and other Non-conventional Therapies for 2009 Novel Influenza A(H1N1))

  • 선승호;장인수;백유상;배선재;한창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8-570
    • /
    • 2009
  • Background : Since March 2009, when the first patient of novel influenza A (H1N1) was reported, many deaths have occurred in North and Central America. The start of the 2009 influenza pandemic was declared by WHO Director-General Dr. Margaret Chan on 11 June 2009, and the level of influenza pandemic alert raised from phase 5 to phase 6. There was no vaccine yet developed, and many experts worried that the novel H1N1 virus could kill as many or more as did the influenza pandemic in 1918-1919. Objective :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for 2009 novel influenza A (H1N1) using herbal remedies and other non-conventional therapies. Methods : We researched the clinical studies for novel H1N1 influenza virus-related herbal medicine or non-conventional medicine treatment using internet search engines including PubMed and CNKI. In addition, we reviewed many report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 for influenza A (H1N1). Results : Two case seri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701 papers, and two CPG publish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Jilin province identified. They reported that the clinical symptoms were no more significant than seasonal influenza, and the condition of patients more than 45 years old was milder than those less than 45 years old. There are no patients with gastric problems, and oseltamivir has been used at the same time in all patients. Conclusion :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and other non-conventional treatments for the novel influenza A (H1N1) is questionable, and more studies are needed to draw a firm conclusion. However, in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experience in 2002/2003, it was demonstrated that herbal medicine can relieve all symptoms of SARS patients, promote absorption of lung inflammation, improve the degree of blood oxygen saturation, regulate immunological functions, reduce the required dosage of glucocorticoid and other medicines, and reduce case fatality rate. In light of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re is no vaccine or conventional treatment yet available, the study of herbal medicine and other non-conventional therapies are also necessary for appropriate evaluation.

  • PDF

Brain abscess in Korean children: A 15-year single center study

  • Lee, Cha-Gon;Kang, Seong-Hun;Kim, Yae-Jean;Shin, Hyung-Jin;Choi, Hyun-Shin;Lee, Jee-Hun;Lee, Mun-Hy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5호
    • /
    • pp.648-652
    • /
    • 2010
  • Purpose: A brain abscess is a serious disease of the central nerve system. We conducted this study to summariz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brain abscesse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brain abscesses from November 1994 to June 2009 was performed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Results: Twenty-fiv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 average, 1.67 cases per year were identified and the median age was 4.3 years. The common presenting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fever (18/25, 72%), seizure (12/25, 48%), altered mental status (11/25, 44%), and sign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9/25, 36%). A total of 14 (56%) patients had underlying illnesse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8/25, 32%) as the most common cause. Predisposing factors were identified in 15 patients (60%). The common predisposing factors were otogenic infection (3/25, 12%) and penetrating head trauma (3/25, 12%). Causative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64% of patients (16/25). The causative agents were $S$ $intermedius$ (n=3), $S$ $aureus$ (n=3), $S$ $pneumoniae$ (n=1), Group B streptococcus (n=2), $E.$ $coli$ (n=1), $P.$ $aeruginosa$ (n=1), and suspected fungal infection (n=5). Seven patients received medical treatment only while the other 18 patients also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The overall fatality rate was 16% and 20% of patients had neurologic sequelae. There was no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outcomes and the factors studied. Conclusion: Although uncommon, a brain abscess is a serious disease. A high level of suspicion is very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o prevent serious consequence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한약 치료에 관련된 WHO 임상논문 보고에 대한 개관 (An Overview o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in WHO Clinical Reports)

  • 장인수;형례창;한창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40-452
    • /
    • 2005
  • Objective: In the winter of 2002,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world. More than 5,000 cases were reported in China, including over 1,700 cases in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Hong Kong SAR). The total number of cases reported from Canada and Singapore was more than 200. The total number of SARS cases world-wide reached 8,437 with incidences in 29 counties. Mortality from SARS is estimated at $10{\sim}12%$. When the SARS outbreak occurred in China, the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f China immediately initiated clinical research projects on the use of integrated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for treating SARS. and, in Hong Kong SAR, research on the use of herbal medic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ARS. Reports were released during convalesc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welve clinical SARS reports of WHO on the treatment of SARS with herbal medicine and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 of SARS with herbal medicine, and further to share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the treatment of SARS. Methods: Twelve clinical reports about SARS from the WHO were selected, overviewed and evaluated for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s of SARS. Results and Conclusion: Twelve clinical reports about SARS showed that the integrated treatment may have advantages, and the advantages are reflec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herbal medicine is not targeted only at a specific etiology or a certain pathological link, but also at the path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at that particular time. Therefore, comprehensive readjustment was made through various angles, targets and channels to restore the balance of the body. Secondly, there are advantages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Based on the various symptoms, herbal medicine enables the physician to adopt the most suitable principle, provide individual treatment, and to administer medicine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process and nature of the illness. Thirdly, there are advantages in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herbal medicine can relieve symptoms, promote absorption of lung inflammation, improve the degree of blood oxygen saturation, regulate immunological functions, reduce the required dosage of glucocorticoid and other Western medicines, and reduce case fatality rate, in addition to lowering the cost of treatment.

  • PDF

환경영향인자를 고려한 강교의 생애주기비용 최적설계 (Life-Cycle Cost-Effective Optimum Design of Steel Bridges Considering Environmental Stressors)

  • 이광민;조효남;차철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통권75호
    • /
    • pp.227-24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생애주기동안 발생하는 부식이나 일평균교통량 및 중차량의 통행량와 같은 사용환경에 의존하는 강교의 생애신뢰성에 기초한 생애주기비용(Life-Cycle Cost: 이하 LCC) 최적설계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강교 최적설계를 위한 LCC는 초기비용, 생애주기 기대유지관리비용, 생애주기 기대직접복구비용과 인적 혹은 물적손실비용, 도로이용자비용, 그리고 사회-경제 손실비용을 포함하는 간접복구비용을 현재가치의 합으로 정식화하였다. 이러한 LCC비용항목 중에서 생애주기 복구비용의 산정을 위해서는 하중과 저항이력에 의존하는 누적손확률로부터 산정되는 연파손확률이 고려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Nowak의 활하중 모델(1993)과 부식개시, 부식률, 그리고 재도장영향을 고려한 수정된 부식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와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된 LCC 최적설계 방법론은 3 경간연속(40m+50m+40m= 130m)의 실제 강박스거더교에 적용되었고, 사용환경에 대한 LCC의 효율성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적용예를 통해 부식환경, 일평균교통량, 그리고 중차량의 통행량는 강교 LCC최적설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교량의 사용환경인자들은 경우에 따라 LCC 최적설계에 대한 주요 변수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도로 선형 동질구간 기반의 안전성능함수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 Based on Expressway Alignment Homogeneous Section)

  • 서임기;강동윤;박제진;박신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97-405
    • /
    • 2015
  • 과거 고속도로는 이동성 중심의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으나, 삶의 질 향상과 의식 수준의 향상에 따라 '빠른 고속도로'에서 '안전한 고속도로'로 고속도로 기능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2012년 기준 3,550건이 발생하였으며, 371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치사율은 일반국도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주요 6개 노선을 대상으로 교통사고건수와 교통량 기반의 사고예측모형(안전성능함수)을 개발하였다. 안전성능함수는 각 노선별로 도로의 선형 및 규모 등이 달라 정확하게 각 노선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6개 노선의 통합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로 교통사고를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노선별 교통안전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고속도로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각 노선별 특성에 따른 그룹별 통합모형을 통한 노선별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신뢰성 있는 사고 예측값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대면교행터널에서 배연시스템의 구축과 화재모형실험에 의한 적정성 평가 (Construction of the Smoke Exhaust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by the Fire Model Test for a Bidirectional Tunnel)

  • 이상은;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6호
    • /
    • pp.452-461
    • /
    • 2005
  • 대면 교행 터널의 경우 차량의 교행으로 사고 위험성이 일방향 터널에 비해 1.5배 정도 높으므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도 커지게 되며, 터널내 화재시 입출구로 이용객이 대피하므로 인명 대피 완료전까지 제트팬을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장대터널의 경우 연기확산으로 인하여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터널내에 별도의 인명 대피 통로와 배연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및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여 터널내에 구축된 배연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대피 통로만 설치시는 최종 인명 대피 시간이 335초가 소요되었으나, 배연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185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화재원 부근의 온도가 $60^{\circ}C$ 정도 감소되었으며, 연기 확산 속도는 배연 시스템 미가동시 $0.36\~0.82\;m/sec$이고, 가동시는 $0.27\~0.58\;m/sec$로 현격히 감소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대피자의 이동속도가 $0.7\~1.0\;m/sec$인 점을 고려할 때, 150 m 간격으로 설치된 피난문을 통해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배연시스템에 대한 화재모형실험 분석을 통해 향후 대면 교행 터널의 방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 (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 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20
  • 2019년 12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 미상 폐렴이 무리 지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환자의 하기도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로 명명되었다. 세계보건기구는 SARS-CoV-2에 의한 질병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명명하였다. 2020년 3월 11일에 COVID-19는 전세계 최소 114국으로 퍼졌으며 약 4,000명이 사망하여 세계보건기구는 COVID-19가 세계적 대유행임을 선언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두 번의 유행이 있었다. 2002-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유행 시에는 8,098명의 확진 환자와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2012년에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주로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는 2019년까지 총 2,499명의 환자와 858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본 종설의 목적은 2020년 3월 12일까지 알려진 SARS-CoV-2의 특징과 전파 양상 및 COVID-19의 임상 증상을 알아보고 SARS와 MERS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복어독에 의한 식중독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Poisoning Outbreaks in Korea (1991-2002))

  • 김지회;궁경례;목종수;민진기;이태식;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38
    • /
    • 2003
  • 우리나라에서 1991년부터 2002년 사이의 복어독 중독 발생상황에 대하여 신문에 보도된 내용을 검색하여 정리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우리나라에서는 총 32건의 복어독 중독사고가 발생하여, 111명이 중독되었고 그 중 30명이 사망하여 27.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라 중독건수, 환자수 및 사망자수의 변동이 심하였다. 사망자는 29세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중독 발생건별 환자수를 보면 4인 이하의 소규모 중독사건이 전체 발생건수의 75.0%인 24건을 차지하였고, 식중독 통계 집계기준인 5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은 8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복어독 중독 발생건수의 59.4%(19/32)가 11월부터 익년 1월 사이에 발생하였고, 이 시기의 환자수 및 사망자수 또한 각각 65.8%(73/111), 66.7%(20/30)로 나타나 복어중독은 겨울철에 집중되었다. 지역적으로는 발생 건수의 75.0%(24/32)가 부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섭취장소별로는 총 32건 중 18건(56.3%)이 선박에서 발생하였고, 가정에서 8건(25.0%)이 발생하였으며, 음식점에서 발생한 것은 5건(15.6%)이었다. 복어독 중독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음식물은 국(탕 포함)으로 발생건수의 68.8%(22/32), 환자수의 64.0%(71/111), 사망자의 66.7%(20/30)를 차지하였고, 그 외 찜, 회, 내장탕, 알 등도 원인이 된 경우가 있었다.

차량 간 통신 기반 전방추돌 및 연쇄추돌 방지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Prevention Effects of Forward and Chain Collision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 정성대;김태오;이상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6-43
    • /
    • 2011
  • 차량의 고속주행 중 발생하는 전방추돌사고는 치사율이 높으며 연쇄추돌사고를 야기한다. 대부분의 전방추돌사고는 안전거리 미확보와 운전자의 늦은 인지반응에 따라 충분한 제동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발생되고 사고 후 운전자누적 인지반응시간은 연쇄 추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은 전방차량과 자차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키고 운전자의 인지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전방차량추돌을 예방한다. 하지만 전방차량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한 급정지 시 전방차량과 자차의 거리 정보에만 의존하는 이 시스템은 운전자 인지반응시간의 누적으로 인해 연쇄추돌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극한의 주행환경에서 일반 차량과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 차량의 전방추돌 및 연쇄추돌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현재 주행 안전 시스템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 되고 있는 차량 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 차량을 설명하고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한다. 차량 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은 기존의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과 같이 운전자의 인지반응시간을 감소 시 킬 뿐만 아니라 후방 차량들에게 동시에 긴급 사항을 방송함으로써 운전자 누적 인지반응시간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긴급 상황에 사전 대처하여 연쇄 추돌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효과 분석 결과 일반 차량은 뒤따르는 전 차량이 연쇄 추돌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 차량은 12대중 3~4대가 연쇄추돌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차량 간 통신 기반의 전방차량추돌경고 시스템을 장차한 차량은 연쇄추돌의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 임형철;이동헌;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6-73
    • /
    • 2019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덕분에 산업과 건설업 전반에 걸쳐 재해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에서의 추락재해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달비계에 의한 추락재해는 매년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작업자의 사망과 직결한다는 측면에서 재해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의 달비계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달비계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달비계 작업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달비계를 가지고 불안전한 작업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5년간 달비계에서 기인한 242건의 사고사례들을 분석하여 추락재해 발생 주요 원인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발생률이 높아서 작업대 안착 시, 안전난간을 넘어가는 과정, 몸의 불균형 등에서 사고가 많으며 설비개선 및 작업방법개선으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KOSHA Guide에서 제시하는 작업순서 상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재해는 없었으며, 다만 작업 순서를 따르지 않아 안전대를 안전대 걸이용 로프에 미설치 및 미부착에 의한 사망으로 이르는 재해가 다수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작업방법의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수직구명줄 및 안전대의 설치 및 착용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