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of the Smoke Exhaust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by the Fire Model Test for a Bidirectional Tunnel

대면교행터널에서 배연시스템의 구축과 화재모형실험에 의한 적정성 평가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In a bidirectional tunnel, the accident rate is 1.5 times as high as that of one directional tunnel , the risk of a fire is increased. On fi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et fan should not be operated until completion of refuge. To be special, as the great damages occur owing to the expansion of smoke in long tunnels, there is a need to minimize fatality by constructing cross passage and smoke removal system.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iciency of smoke exhaust system through fire propagation simulation as well as scale model test. The results show that completion of escape through emergency exit requires 335 seconds, while addition of smoke exhaust system reduce the escape time to 185 seconds. Also, near the fire source temperature decreased by about $60^{\circ}C$. Without the exhaust system, fire propagation speed was in the range of 0.36 and 0.82 m/s, and it dropped to $0.27\~0.58\;m/s$ with the exhaust system on. Taking into account the escape speed of tunnel users, usually $0.7\~1.0\;m/s$, the emergency exit built every 150m is sufficient for the safe egres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smoke exhaust system in bidirectional tunnels.

대면 교행 터널의 경우 차량의 교행으로 사고 위험성이 일방향 터널에 비해 1.5배 정도 높으므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도 커지게 되며, 터널내 화재시 입출구로 이용객이 대피하므로 인명 대피 완료전까지 제트팬을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장대터널의 경우 연기확산으로 인하여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터널내에 별도의 인명 대피 통로와 배연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및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여 터널내에 구축된 배연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대피 통로만 설치시는 최종 인명 대피 시간이 335초가 소요되었으나, 배연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185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화재원 부근의 온도가 $60^{\circ}C$ 정도 감소되었으며, 연기 확산 속도는 배연 시스템 미가동시 $0.36\~0.82\;m/sec$이고, 가동시는 $0.27\~0.58\;m/sec$로 현격히 감소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대피자의 이동속도가 $0.7\~1.0\;m/sec$인 점을 고려할 때, 150 m 간격으로 설치된 피난문을 통해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배연시스템에 대한 화재모형실험 분석을 통해 향후 대면 교행 터널의 방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4, '도로터널 방재시설(비상시설) 설치 기준 개정 작성을 위한 연구', II. 턴절사고사례분석
  2. Y, Oka and Q, T, Atkinson, 1995, 'Control of Smoke Flow in Tunnel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25, No, 4, pp, 395-322
  3. Q, T, Atkinson and y. Wu, 1996, 'Smoke Control in Sloping Tunnels', Fire Safety Journal, Vol. 27, No, 4, pp, 335-341 https://doi.org/10.1016/S0379-7112(96)00061-6
  4. R, O, Carvel, A N, Beard, p, W, Jowitt, 2001, 'The Influence of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s on Fire in Tunnel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16, No, 1, pp, 3-21 https://doi.org/10.1016/S0886-7798(01)00025-6
  5. 유흥선, 양승신, 2005, '터널화재시 배연속도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터널기술 제5권 2호, pp.109-117
  6. 김정엽, 신현준, 강세구, 안경철, 2004,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연기유동에 관한 축소모형실험 연구' 터널기술 제5권 2호, pp. 141-148
  7. 최태희, 윤영표외 5인, 2002, '도로터널내 화재시 온도분포 및 연기유동분석 연구' 터널기술 제4권 1호, pp. 27-43
  8. 유용호, 윤찬훈외 2인, 2005, '장대 교통터널 화재시 수직갱의 배연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터널기술 제7권 1호, pp. 27-35
  9. Bechtel and Parson Brinckerhoff, 1999, 'Memorial Tunnel Fire Ventilation Test Program', Phase, N Peport
  10. EUREKA, 1995, Fires in Transport Tunnel: Report on Full-Scale Tests, EUREKA EU 499 : RlRETUN, Pub, Studinegesellschaft Stahlanwendunge, V. Dusseld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