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t food stor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서울 치킨집 폐업 예측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Public Data: Survival of Fried Chicken Restaurants in Seoul)

  • 방준아;손광민;이소정;이현근;조수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5-49
    • /
    • 2018
  • 대한민국에서 치킨집은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보다 많을 정도로 자영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창업 업종이다. 치킨집은 꾸준히 생겨나고 있지만, 소상공인의 창업 후 폐업률은 3년 62%, 5년 71%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숙박 및 음식점의 경우 70%가 3년을, 82%가 5년을 버티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치킨집 폐업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예비창업자가 개업 후보지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행정자치부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의 업소별 개 폐업 신고 일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변수를 수집하였다. 이후 다양한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예측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s)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지만 특이도와 민감도가 불균형적이었다. 이에 비해 유연판별분석(FDA)은 인공신경망보다 정확도는 낮지만, 상대적으로 균형적인 예측 성능을 보였다.

점포의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 브랜드 개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Service Brand Person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 김형길;김정희;김윤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41-173
    • /
    • 2007
  • 본 연구는 점포를 방문하는 동안 노출되는 매장의 물리적 환경 특성이 서비스 브랜드 개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특정 서비스 브랜드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선,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은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사회요인으로, 그리고 서비스브랜드 개성은 유능함, 성실함, 흥분됨, 세련됨, 강인함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모든 차원들이 모든 서비스 브랜드 개성차원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물리적 환경의 서비스 브랜드 개성에 대한 영향력은 각 차원별로 상이하였다. 셋째, 서비스 브랜드 개성은 모두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세련됨 차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켰다. 넷째,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물리적 환경 중 사회요인이 재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물리적 환경 연출은 브랜드 개성 형성의 결정요인으로 서비스 브랜드 차별화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하므로, 호의적인 브랜드 개성 창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물리적 환경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청소년의 식생활 행태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 이진화;권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tatistics of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62,27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primarily 12 to 17. Results: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more than five days per week was 31.5%, the rate of eating fast food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was 20.5%, the rate of eating ramen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was 25.9%, and the rate of eating at a convenience store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was 26.0%. The eating behavi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ts were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at a convenience stor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negative eating behavi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at various levels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country.

서비스 제공 시점에서 고객에게 지각된 판매원 노력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 김재영;이진용;한동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1호
    • /
    • pp.1-16
    • /
    • 1999
  • Although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aleperson's effort in the area of service marketing, no one has studied the variables which may influence, or may be influenced by salesperson's effort by custo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ercieved salesperson's effort on some performance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some selected variables on perceived salesperson's effort. Two sets of data were collected - one on the service of beauty hair shops and the other on that in fast food restaura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athy of employees i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effort, and perceived effort has th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trust, and long term relationship.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re image and perceived effort, and that between trust and long term relationship are only partly supported and the effects of perceived effort on long term relationship are not supported in our empirical tests.

  • PDF

GIS 기법을 활용한 패스트푸드점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Location of Fastfood Stores : The Case of Kangnam-Gu , Seoul)

  • 이희연;이정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31-146
    • /
    • 1996
  • 본 논문은 GIS기법을 활용하여 서비스업의 새로운 형태인 프랜차이즈 방식의 패스트푸드점의 입지를 분석한 것이다. 패스트푸드 체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행태조사와 서울시의 패스트푸드점의 분포를 통해 패스트푸드점의 입지요인을 계량적 기법을 적용하여 일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수요적 측면에서 패스트푸드점의 입지에 영향을 주리라 예상되는 인구유인 시설물과 통행인구가 많은 결절지점, 그리고 고밀도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부터의 버퍼죤을 생성한 후 입지가능지구를 추출하였다. 한편 공급적인 측면에서 용도지구, 지가, 접근성 그리고 가시성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미 추출된 입지가능지구로 부터 최종적인 후보입지지구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패스트푸드점이 입지할 수 있는 가설적인 후보지구와 실제 패스트푸드점의 분포와를 비교하였다. 결론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GIS 기법을 활용하여 입지를 분석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자료구축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청소년의 식이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 제15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dietary behavior and allergic diseases: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 서은주;안성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70-76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식이행태를 파악하고, 식이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추후 알레르기 질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빅데이터를 이차분석하였으며,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천식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아침식사 빈도, 과일 섭취빈도, 탄산음료 섭취빈도, 에너지음료 섭취빈도, 단맛 나는 음료 섭취빈도,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편의점 식사 경험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아침식사 빈도, 과일 섭취빈도, 탄산음료 섭취빈도, 에너지음료 섭취빈도, 단맛 나는 음료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우유 섭취빈도와 관련성을 있음을 보였다. 아토피피부염을 진단받은 청소년은 탄산음료 섭취빈도, 채소 섭취빈도, 우유 섭취 빈도, 편의점 식사경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청소년의 경우 올바른 식이행태를 교육하여 습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패스트푸드점의 로하스 이미지, 고객만족, 전환장벽 및 재방문의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이승희;정연교;김혜경;조영준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199-206
    • /
    • 2008
  • This paper aimed to exam relationship of lohas image, costomer satisfaction, switching barrier, revisit intention to fast food sto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and summarized. 400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the people living in Daegu/Gyeong-Buk. 381 questionaries were obtained and 331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lohas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p<0.01). Second, it is shown that lohas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witching barrier(p<0.01). Third, it is shown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witching barrier(p<0.57). Fourth, it is shown that lohas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1he revisit intention(p<0.05). Fifth, it is shown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1he revisit intention(p<0.01). Sixth, it is shown that switching barri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1he revisit intention(p<0.01). This study, however, have limitation in obtained sample and area. The future study should consider these limitation to improve model applicability in practice.

  • PDF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 조필규;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2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pattern (regular, non-regular workers and business owner).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on a Gallup panel from June to November in 2017. The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of eating alone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via online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group than the non-regular group and business group (p<0.01). The place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and non-regular group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business group in the office (p<0.001). Ramen, the menu when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gula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1). The preference for eating alone was lower in the older age group (p<0.05). The young aged group (aged 20~30) ate more fast food and felt more convenience than the older aged group aged 40~50 years (p<0.05). Conclusion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non-regular job have poorer dietary behavior in eating alone than those who had regular employment. In a situa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social problems, such as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healthy food selection environment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non-regular jobs for the divers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경기도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Coffee Franchise Location Strategies: Evidence from Gyeonggi Province)

  • 윤영태;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92-199
    • /
    • 2016
  • 본 논문은 경기도의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매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의 커피 전문점의 입점 전략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경기도는 대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많은 인구수, 다양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어 프랜차이즈의 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적합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5대 커피 프랜차이즈의 경기도 내 모든 매장의 주소 정보를 수집하고, Google Maps Geocoding API를 통해 위도와 경도에 기반한 정확한 위치 정보로 변환한 다음, 이를 Haversine 공식에 대입하여 매장들 간의 거리를 미터 단위로 측정한다. 지금껏 계량적으로 입증하기 쉽지 않았던 비즈니스 주체들의 입점 전략을 매장사이의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며, 이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자치구내 매장의 수와 커피 소비 연령 인구는 양의 관계를 가지며, 특히 유동인구가 많고 상권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더 많은 매장을 찾을 수 있다. 둘째, 33%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반경 300m 이내의 지역에서 다른 스타벅스의 매장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중심 상권에 다수의 매장을 배치하는 스타벅스의 집중적 초토화 전략을 잘 반영한다. 셋째, 80%의 스타벅스 매장으로부터 500m 이내에 이디야 커피의 매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스타벅스의 옆자리에 입점하려는 이디야 커피의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편의점, 패스트 푸드점, 휴대폰 판매점과 같은 여러 체인 소매업종 입점 전략 분석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국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5차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15th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박슬기;이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255-270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편의 식품 섭취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건강행태 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상태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요인인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건강행태 요인으로 아침식사 결식, 패스트푸드, 단 음료 섭취 등과 같은 식생활 행태뿐만 아니라 흡연, 음주, 약물복용 등의 요인도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편의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는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채소, 과일, 우유 섭취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 및 충분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자녀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손쉬운 건강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편의식품 섭취 빈도가 높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금연, 금주와 같은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건강교육이 함께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소매 업체가 우선적으로 학교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거나, 학교 주변 소매 환경에서 양질의 편의식품이 판매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청소년의 편의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