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직무 소진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 조직인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Burnout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 Moderating Effect of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

  • 김정선;이근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5-161
    • /
    • 2019
  • Objectives: Work-Family Balance (WFB) is a significant social issue in Korea. We examined the effects of employees' burnou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y deter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n firefighter's organization. Methods: To test the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from firefighters who are working at five fire stations in Deajeon and Chungnam province. Based on quantitative survey from 489 respond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job burnout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OCB).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 (FSOP)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B.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SO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C. Conclusions: This study rais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gives its members a belief that the organization guarantees and supports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일-가족 문화, 일-가족 균형, 그리고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A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ulture,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tel Employees)

  • 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1-1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텔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가족 문화, 일-가족 균형 그리고 조직몰입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확인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공분산 구조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18.0)과 AMOS(18.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일-가족 문화 요인 중 '경영적 지원'이 일-가족 균형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불이익 최소화'가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족 균형이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해서는 직원들이 차후 불이익에 대한 걱정 없이 가정친화정책을 활용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적극적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경영진은 직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직원의 가정생활의 안정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배려함으로써 직원들의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부모의 지원과 조직문화, 결혼지원정책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riage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of Unmarried Workers)

  • 황인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5-34
    • /
    • 2021
  • 본 연구는 미혼직장인의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결혼의향을 상승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속변수인 결혼의향은 결혼의향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경제자원은 월평균소득과 자산총액을 측정하였고, 부모의 지원은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 도구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김혜영, 선보영과 김상돈(2010)의 근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친화조직문화는 Tomson, Beauvais & Lyness(1999)의 도구 중 방묘진(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결혼지원정책필요성은 김혜영 외(2010)의 도구에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을 추가로 구성해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적절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총 480부 자료를 IBM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직장인 결혼의향의 유의미한 차이는 성별, 연령, 교육기간, 자산총액, 부채유무로 나타났고, 부모경제수준과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도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가족친화조직문화에 따른 결혼 의향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정책 관련 변인에 따른 결혼의향 차이는 자금주택정책필요성과 결혼준비정책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연령,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가족친화조직문화와 자금주택정책필요성도 유의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자금주택정책필요성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모의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과 직장의 가족친화조직문화도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 향상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가족친화를 위한 지원센터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소재 건강가정 ·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의 물리적 공간환경 조사를 중심으로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Support Center for Local Community: Focus on the Healthy Family ·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 Incheon)

  • 조정현;최재순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457-471
    • /
    • 2014
  • Family instabi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not only an individual household but also the society. The government continues to operate family support centers as a countermeasure to family instability issues. A health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considered an effective support system that extends from a family unit 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tudy, the satisfaction and demand levels of each center,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items such as operation contents, physical spac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efforts for creating a family-friendly community were implemented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 center organizers and operators focused more on software and programs tha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re was mostly a shortage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space. This space shortage limited the planned and ongoing activities in terms of the residents' self-directed participation and space formation for a family-friendly educational cul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et up the space-related criteria for each center in order to solve this environmental issue. We identified the baseline data of the criteria for a center's physical and spatial design and size.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a more strategic physical and spatial design is needed to achieve an integral and effective operation for the connection of the family with the local society.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관계 : 성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유준;박재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1-202
    • /
    • 2020
  • 본 연구는 제조산업에 재직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전국 제조산업의 노동자 1,037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사내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은 부분매개역할을20200907 하였다. 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즉,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사내기업가정신이 더욱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내기업가정신과 혁신행동 강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on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 Seon-Hui Kwak;Bo-Mi Shin;Soo-Myoung B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6-40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ies among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Methods: We surveyed 200 dental hygienists. Twenty-two who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leaving 178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self-administered 48-item questionnaire gather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workplace details, policy awareness, government knowledge,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sults: Awareness of maternity and family support programs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ge,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clinical experience.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reported greater ease of utilizing these policies compared to those in dental clinics. Among the participants, 27.7% took pre- and post-maternity leave, 26.6% took parental leave, 16.9%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pregnancy, 15.8%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childhood,and 8.5% during family leave. To promote program uptake, participants suggested mandatory implementation across workplaces (68.4%), expanded support for substitute workers (48.6%), and increased education and promotion of government support (42.4%). Conclusion: While most dental hygienists were aware of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utilizing it proved challenging due to several factors. Organizational policies or practices may not fully implement this policy, while workplace culture could discourage its use. Unfair treatment and the lack of available substitutes further hindered access. To prevent career interruptions for dental hygienists due to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family care, and to maintain career continuity, the dental community and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multifaceted social support system. This system should prioritize several key areas: strengthening policy promotion, fostering a family-friendly atmosphere, improv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developing a robust support system for substitute personnel.

위계에 의한 군 성폭력의 문제점 -언론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Military Sexual Violence by Hierarchy: Focusing on the Contents of Media Articles)

  • 김선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85-92
    • /
    • 2022
  • 본 연구는 군 성폭력이 끊이지 않고 반복되는 사각지대로 존재하는 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2010년 1월부터 2021년 6월15일까지 인터넷 뉴스에서 다룬 군 성폭력 사건기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으로 불평등한 권력관계,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군 조직문화, 성폭력의 소극적 대처에 불신받는 군 내부 대응시스템, 가해자에 대한 제 식구 감싸기식 수사와 관용적 처벌이 국방부의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각지대로 존재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그 기저에는 징병제로 인한 보상심리와 가부장제의 부정적 영향이 국민정서에 녹아 있어 분단의 위기감과 더불어 군대에 지나치게 허용적인 태도가 변화를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결과에 따른 개선 방안으로는 민간 중심의 사법기관 신설, 강력한 가해자 처벌, 제한적 연금지급과 더불어 상하관계가 명확한 군 문화에서 '계급 강등'과 같은 명예적 처벌도 수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군 성폭력은 대부분 위계에 의해 나타나며 성폭력의 주된 원인 또한 불평등한 권력관계임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기업 관리직의 젠더 격차와 "유리천장" 분석 (An Analysis of the Managerial Level's Gender Gap and "Glass Ceiling" of the Corporation)

  • 조혜원;함인희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2호
    • /
    • pp.49-81
    • /
    • 2016
  • 본 논문은 현재 기업의 관리직 내 젠더 격차 및 유리천장 현황을 점검해보고, 향후 여성고용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 내 여성 구성원의 양적 증대가 갖는 의미를 중점적으로 다룬 선행 논의들을 정리해보고, 여성가족부에서 수행한 '여성인력패널조사' 3차년도(2010년 시행)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 내 관리직급의 젠더 격차 현황과 더불어 여성이 직면하고 있는 "유리천장"의 실재를 다각도로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관리직 내 젠더격차가 공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동시에, 특별히 유리천장은 '보다 상위직급으로 승진할 때 강화되는 현상'이 아니라 경력초기단계에 이미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추출해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관리자의 경우 과장직급 이후부터 파이프라인의 단절현상이 발견된 바, 향후 상위직 승진을 위한 인력풀의 안정적 확보가 필수적이다. 둘째 유리천장이 경력단계 매우 초기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서, 출산 및 육아휴직 후 복귀 프로그램 지원, 경력개발 및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제도화, 여성 관리자 간 네트워킹 및 멘토링, 외국계 기업의 성공 사례 도입 등 보다 구체적 노력이 시급히 요망된다. 셋째, 정부차원에서 여성고용율과 여성관리자비율을 모니터링 하는 적극적고용개선조치 기준은 여전히 소극적으로 설정된 바, 선진국 수준으로 가기 위한 궁극적 목표지점(stretching goal)을 세운 후 단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여성고용과 관련해서 양적 지표관리에만 치중하기보다는, 제도와 프로세스 및 조직문화에 대한 점검, 여성 개인의 경험 및 체감 지표의 개발 등 질적 요소와 더불어 여성고용정책 내실화 및 질적 제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 체계화 등이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