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caregiver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5초

뇌졸중에 관한 국내 간호학 논문의 분석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Stroke Research in Korea)

  • 함미영;최경숙;류은정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4-168
    • /
    • 2000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stroke in Korea,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on stroke. This article reviewed 75 nursing research papers on stroke done since 1990 to 2000 by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 period of publication or presentation, research design, type of subjects, measurement variables, the intervention outcome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1. 26 of 75 studies were composed of master thesis and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There were 53 nonexperimental research, 15 experimental research, and 7 qualitative studies design. 2. Stroke patients subject' Characteristic were 44 and Family and Spouses of caregiver support were 28 of total studies. 3. Most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for research were translated and redesigned it into Korean that developed by foreigners, and development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Kang's ADL. 4.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was shown the frequently among correlational research. 5. Methodological research wer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stroke patients, caregiver support of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list, and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and development of client selection criteria based on the needs of services to be offered. 6. The experimental research of intervention were mostly education nursing intervention, rehabilitation program on functional recovery, support nursing intervention, and applying a home care protocol on the nursing care intervention. 7.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family experience, home care in family experience, soobal experience, illness experience, hope of Stroke patients and so on. Phenomenologic methodology and Granded Theory was designed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It's necessary to develop a reliable and variable measurement tool for stroke patients and family care of stroke patients. 2. It's necessary to study the comparison of Nursing Studies of stroke research abroad, the replication to establish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stroke patients and family care of stroke patients.

  • PDF

치매환자 가족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Need Assessment of Online Dementia Family Caregiver Education Program)

  • 박명화;고영혜;이송자;김선화;김진하;이동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01-309
    • /
    • 2017
  • 이 연구는 온라인 치매가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치매환자 가족의 프로그램 사용 의향과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시 치매관리 사업에 등록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220명을 대상으로 1:1 개별면접 또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0% 이상의 대상자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가족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 요구도는 치매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동영상 강의와 치매환자를 돌보는 사례 동영상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요구도 항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은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며,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획일화된 방식보다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전략 및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보호 노인 부양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 서비스 유형별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2002년도 서울시 노인복지 기초수요조사 자료 분석 - (A Study on Family Caregivers' Preferences for Utilization of Community-based Welfare and Health-care Services)

  • 김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23-1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앞두고 재가 요보호 노인 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서비스의 이용의향을 유형별로 알아보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행동주의모델을 이용하여 검토함과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각 서비스 이용의향에 관련된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으로는 재가복지와 재가보건 서비스 모두 연령이 낮은 사람이 이용의향이 높았다. 서비스 이용촉진 및 저해요인 중에는 경제적인 여유가 있거나 부부양자가 있는 사람, 혹은 부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줄 사람이 있어, 물적 자원이 있거나 비공식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이 재가복지와 재가보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욕구요인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노인의 증상이 심각하거나 거동불편 정도가 심한 사람, 혹은 요보호 노인 외에도 요보호 가족이 있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욕구가 높은 집단이 오히려 이용의향이 낮게 나타났는데, 서비스의 유료화를 위해서는 경제적 자원과 같은 촉진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서비스에 대한 욕구(필요도)가 높아도 서비스 이용으로 연결되지 못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부담 이외에 '가족이 돌봐야 한다'. '노인이 싫어한다'와 같은 전통적인 부양의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요보호 노인의 증가로 서비스에 대한 이용 의향이 이전에 비해 높아지고 있지만,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이용의향이 없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가복지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과 재가보건 서비스에 대한 이용의향을 나타낸 집단의 특성이 유사한 것이 확인되었고, 향후 클라이언트 위주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보건복지 서비스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재확인되었다.

  • PDF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 한희창;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19-425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관련성이 있다고 규명된 요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정책적인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라북도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주양육자 43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장애자녀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족건강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 양육자의 삶 만족도와 학대 간 관계에서 아동의 삶 만족도 종단매개효과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Abuse of the Primary Caregiver for Children in a Relationship)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435-44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primary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and abuse mediated by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e included term panel data for 3 years (2013-2015) from the 4th year to the 6th year of 2,067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of the Korean Youth and Youth Panel(KCYPS)(2015); in addition, three years' longitudinal panel data (2013-2015)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18.0 and AMOS 22.0 to measure Latent Growth Model(LGM) term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and abus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fourth grade to the sixth grade.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primary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influenced the initial status of the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in the abuse rate. Third, the rate of chang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the abuse rate and the rate of chang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The initial value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hild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rimary caregiver, initial value of the abuse, and abuse change rate. Th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희귀·난치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Burdens and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 황문숙;이미경;송종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2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actual caregiving conditions of family caregivers who are caring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using home ventilators at home, and to clarify any factors affecting their burdens and quality of lif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by the 159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caregiving activities, and caregiver's burdens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linear regressions. Results: The mean of burden scores was 3.55 out of 5, and influencing variables included the relationships with patient (spouse), respite (moderate), health status, and diagnosis (non ALS),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0%. The mean of the quality of life was 2.58 point, and the influencing variables included burdens, health status, and respite (enough),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9.0%.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patients with using a home ventilator,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ies for reducing caregiving burdens as well as to introduce family respite welfare systems to family caregivers.

장기요양서비스 전.후 가족의 수발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aregiver Burden in Caring for Elders Before and After Long-term Care Service in Korea)

  • 이홍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6-247
    • /
    • 2012
  • Purpos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valuation of family burden of caring for elders who receive long term care services, and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burden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long term care service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416 caregivers of elder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Corporation in six cities.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2010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ANOVA with the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mily burde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longterm care service was initiated. Subjective burden decreased from 2.93 to 2.69 (t=11.78, $p$<.001), and objective burden, from 3.40 to 3.10 (t=12.73, $p$<.0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burden were family relations (F=13.60, $p$=.003), age (F=5.47, $p$=.019), job (F=6.98, $p$=.008), and education (F=4.59, $p$=.032), and that factors affecting objective burden were living together (F=17.66, $p$<.001), job (F=13.34, $p$=.003), monthly income (F=6.61, $p$=.010), and type of service (F=6.62, $p$=.01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first study to investigate caregiver burden after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begun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decrease family burden in long term care.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수준과 가족원의 스트레스 (A Study on the Stress of Family-Caregivers and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with Patients of Cerebra Vascular Accident(CVA))

  • 조영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2-38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stress in caregivers caring for CVA patients and the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CVA patient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caregivers of 112 CVA patients who enter a hospital or out-patient-department (OPD) at two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Jeonbuk province. The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ang's ADL check list for daily living performance of patients and Choi's 4 sore scale for stress of caregiv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4th to August 30th in 1999.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program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for the CVA patients was: 1) complete dependence (M=14.9, 13.1%), 2) complete independence (M=23.6, 20.9%), 3) incomplete independence (M=23.9, 21.0%), 4) incomplete dependence (M=26.6, 25%), 5) dependence and independence (M=23.0, 20.0%). The items for with there was a high level daily living performance were: 1) drinking (M=3.62), 2) eating(M=3.25). 3) position returning (M=3.18) : and the items for which there was a low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were: 1)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M=2.08), 2) walking (M=2.47), 3) dressing and undressing trousers (M=2.55). 2. Degree of caregiver stress was: Mean=2.39 at 40 score. The items for which was a high level caregiver stress were: 1) medical fee (M=3.25), 2) being handicapped or recurrence (M=3.02) : and the items for which there was a low level of caregiver stress were: 1) discontinuity of patient's treatment (M = 1.98). 2) change of home atmosphere caused by patient's disease (M = 1.98), 3) desire of patient's knowing about disease (M= 1.99).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 stress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regiv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F=3.52, P=0.03). change of caregiver (F=5.41. P=0.02).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VA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tient's paralytic status (F=4.48, P=0.01), duration of disease (t=2.76, P=0.03). 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caregiver stress according to the CVA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VA status (F=4.75, P=0.01). 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regiver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CVA patients(r=-0.482, P<0.00).

  • PDF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rom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김나원;고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36-648
    • /
    • 2016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아이돌봄사업의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S특별시 지역 아이돌보미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일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일부는 영향이 없었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 대인관계특성, 직무만족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근무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인관계특성은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관계, 이용자가족 관계, 돌봄대상아동 관계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교류관계 검증 :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이용하여 (An Empirical Test of the Interactionist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Main Caregiver Depression, and Youth Aggression)

  • 김동하;엄명용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경제적 환경과 주양육자 및 자녀의 발달 관계를 사회원인론적 관점이나 사회선택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 공격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것으로 가정하는 상호교류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06년, 2009년, 2012년도의 다중정보체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주양육자와 자녀로 구성된 561가구이며, 분석기간은 아동기 후기부터 청소년기 전체를 포괄한다. 분석결과, 가구소득, 주양육자 우울, 청소년공격성은 모두 강한 자기회귀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과 주양육자 우울 간의 상호교류관계가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가구소득과 청소년 공격성 간에 종단적 관계에서 주양육자의 우울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경제적 환경과 관련된 주양육자 및 청소년 문제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