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rule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7초

이장(里長)선출 규정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읍·면지역 향약을 중심으로-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Head of Ri Election Rules & Regulations -Focusing on Eup/Myeon Regional Village Cod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김일순;양정철;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10-616
    • /
    • 2021
  • 본 연구는 마을 향약의 내용 중 이장선출 규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문헌연구다. 자료수집은 2019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146개 마을의 향약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마을주민들이 직접 이장을 선출하고 있는 마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선방안으로 선거권에서는 성평등한 참여와 참정권 보장을 명문화할 수 있도록 1세대 1표제의 선거권을 1인 1표제로 개선을 제언하였다. 임용 방법에서는 첫째, 마을 출생자가 아니면 이장 후보자가 될 수 없는 이장 후보자에 대한 자격 개선, 둘째, 각종 재해 발생 시 신체적 능력과 마을사업 수행에 따른 활동성 요구로 이장 후보자의 나이를 65세 이하로 나이 상한 지정, 셋째, 지역 토착 세력으로 자리할 수 없도록 이장이 임기를 후임자가 없는 경우 연임이 가능하다는 이장연임 규정 제한, 넷째, 마을 발전이라는 공공적 이익에 충실할 수 있도록 봉사자로서의 위상 정립을 위한 교육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장애인에 의해 '지각된 차별(perceived discrimination)'의 개념화와 법적 적용에 관한 연구 (Conceptualizing the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 전지혜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99-425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에 의해 지각된 차별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현행 한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의 차별 개념을 평가하며, 주관적으로 지각된 장애차별의 법적 판단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포괄적 개념으로, 장애인이 낙인, 장애 억압, 편견, 고정관념 등에 근거하여 어떤 차별이든지 감지한다면, 이는 지각된 차별이다. 현행 한국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있는 차별범주는 비교적 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간접차별은 사회규범이나 가치관 제도에 대하여 장애인의 권리를 구제하고 시정조치 할 수 있는 개념임에도 사문항으로 남을 수 있는 현실에 처해있다. 사회적 장애에 대한 시선이나 호의적 차별 등은 현재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차별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며, 장애인 가족이 경험하는 차별 또한 법의 그물망 밖에 있다. 지각된 장애 차별의 관점에서 현행 장애인에 대한 차별범주를 장애에 대한 차별로 넓히고, 간접차별의 개념을 폭넓게 적용하여 사회 규범이나 제도, 가치관 등을 연구하고 검토해야 할 것이다. 지각된 차별을 법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합리적 장애인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전 사회적으로 합의된 장애 억압적 이데올로기를 직시하고 사회를 재구조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법관들에 대한 장애인권 교육이 필요하다.

게임 이용자의 환경이 게임 이용 및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Game Players' Environment on their Game Experience and Overindulgence in Games)

  • 이지훈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6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심리적 관점(준거집단, 정부규제, 게임 컨텐츠)에서 게임 이용 및 게임 과몰입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게임 과몰입을 줄일 수 있는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을 잘하는 것이 친구들 사이의 인기요인으로 평가받기 보다는 육체적인 스포츠, 놀이 등 새로운 인기 요소를 발굴할 수 있도록 학교 및 가정 등에서 적극 지지해 주어야 한다. 둘째, 가족구성원들은 게임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기보다는 규칙을 정해 일정 부분 이용하게 하고, 더 나아가 가족과의 대화, 관심꺼리 등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실질적인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정책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게임사들은 스토리 및 기획 면에서 게임 이용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용할 수 있도록 표현 및 구성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하지만 향후 다른 요인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과몰입측면도 고려하여 게임 개발에 임해야 한다. 다섯째, 게임 이용자들은 게임과 더불어 새로운 여가 활동을 통해 좋은 경험과 재미 등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청소년의 성, 학교, 계열별 분석 -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net Overuse of Adolescents - An Analysis by Gender, School Grades and School Systems -)

  • 이경화;류경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성별, 학교급별, 계열별로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부모 및 가족관련 변인을 파악하였다. 창원시 소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8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중다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학생 집단은 채팅과 온라인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통제력이 적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았고, 여학생 집단은 온라인 게임과 음란물 또는 성인관련 사이트를 많이 접할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았다. 2 중학생 집단은 온라인 게임과 프로그램 및 MP3파일 다운로드를 많이 할수록, 자가통제력과 부모의 규칙설정이 적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았고, 고등학생 집단은 전자우편을 적게 사용할수록, 온라인 게임과 동호회/클럽활동을 많이 할수록, 자기통제력이 적을수록, 부의 인터넷 사용능력이 높을수록, 부모의 감독통제가 많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았다. 3 인문계 고등학생 집단은 친한 친구 수가 적을수록, 전자우편을 적게 사용할수록, 온라인 게임과 동호회/클럽활동을 많이 할수록, 음란물 또는 성인관련 사이트를 많이 접할수록, 자기통제력과 모의 인터넷 사용능력이 적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았고, 실업계 고등학생 집단은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온라인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통제력이 적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부의 인터넷 사용능력과 부모의 감독통제가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관규칙을 이용한 가구별 소비 트렌드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Consumption Trend using Association Rule)

  • 최정아;정용규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105-111
    • /
    • 2015
  • 올해 초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사회동향 2012'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23.9%로 4인 가구의 22.5%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가장 많던 2인 가구를 제쳤다. 금융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는 25.3%로 총 453만 9,000가구 이상으로 추정된다. 즉 우리나라의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더 나아가 통계청의 '2010~2035년 장래 가구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5년 1인 가구가 세 가구 중 한 가구로 해당되는 상황인 34.3%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의 증가원인은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저 출산, 고령층의 증가 등으로 간추려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1인 가구는 증가 추세이다. 2011년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억 4200만 가구로 그 비율이 13%에 달했고 중국과 미국의 1인 가구 비율은 30%에 달하며 스웨덴, 노르웨이, 필리핀, 덴마크는 전체 가구의 약 40% 수준까지 이른다. 현재까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이를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1인 가구 급증을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이런 내용을 통계수치로 나타낸 자료를 통해 1인 가구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1인 가구와 소비트렌드 사이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미래의 소득수준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예측할 수 있다.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관한 교육적 고찰 : 교육이념?목적?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Education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Hinduism Ashrama)

  • 우버들;강민아;손동인;신창호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287-311
    • /
    • 2018
  • 본 연구는 힌두교의 아슈라마(ashrama)에 담긴 교육적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아슈라마에서 추구하는 교육의 이념과 목적, 그리고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따른 교육내용 및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힌두교의 이념은 정신의 근원적 해방인 목샤(moksa)로 이른바 해탈을 추구한다. 그 교육의 목적은 아슈라마에 따른 다르마(dharma)를 파악하는 작업으로 인생의 네 단계를 '학습기-가정생활기-자기통제기-득도기'로 구분하였다. 학습기의 교육은 베다를 통해 사회규범을 학습하고 본인의 과업 및 책임을 아는 것으로, 베다의 내용을 반복 암송하고 스승-제자 사이에 상호의존적 도제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가정생활기의 교육은 결혼을 하고 가족을 돌보며 사회가 요구하는 여러 서비스를 생산하는 생업에 종사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제사 및 가족 공동체 생활 등의 경험을 통한 체득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삼았다. 자기통제기의 교육은 사회에서 물러나 규범 및 규칙을 통해 자신을 확립하고 집착하지 않음을 교육목표로 제시하여, 극심한 고행과 요가의 여덟 단계를 통해 자기통제를 완성하는 일이다. 득도기 교육은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영적 자유에 도달한다는 교육목표 아래, 성지 순례와 명상을 교육내용 및 방법으로 구체화하였다.

저소득가정 비만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장애요인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 이자인;박지영;김희순;김완수;황가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7-34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bes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n exploratory-descriptive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CC centers, and 4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14 primary caregiver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er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1) individual, a lack of will for physical activity; 2) interpersonal, a change in communicative mean with the peer group, absence of parental monitoring due to work-family balance, and an absence of consistent rules; and 3) organizational, lack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human resources, and confined space for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The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s influenced by a range of ecological barrier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tailored intervention to prevent and manage childhood obesity in low-income children.

종합병원 수간호사들의 대인관계 경험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 Settings)

  • 이명선;강현숙;김동옥;김원옥;김주현;이병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4-33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head nurses in interacting with others in general hospital setting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seven head nurses and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ve major categories emerged and they represent a major strategy according to five different groups of interacting people. 'Establishing trust' was identified as the key strategy in dealing with patients and family members. 'Embracing with sisterly love' and 'helping with self-defense' were major strategies for subordinate nurses and physicians, respectively. 'Respecting and recognizing' was the main approach for other professionals such as dietitians and 'emphasizing rules and educating' were a major one for non-professionals. Head nurses paid more attention and made efforts in dealing with their subordinate nurses than with other groups of people, because they felt the most difficulty in their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head nurses employ unique strategies in interacting with different groups of peop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would help nurse administrators establish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head nurse.

  • PDF

남아 돌복의 착장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aring Styles of First Birthday Suit for Boy)

  • 이수혜;이자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6-294
    • /
    • 2007
  • Dolbok, the first birthday suit, is a formal suit a person puts on for the first time after birth. It not only a symbolizes of Korean customs or traditions, but also represents transmitted ideas, values and lifestyles of Koreans. In this nation where strong preferences for son prevailed, dolbok for boy was specially important. 1.Styles of weaing Dolbok are classfied into trousers and jeogori, baeja, magoja, durumagi, jeonbok, sagyusam and yongpo styles in accordance with what kind of clothes was finally worn. 2. Accessories of dolbok for boys included dolddi, dol jumeoni, gulre, bokgeon, hogeon and tarae baeseon. 3. Dolbok of trousers and jeogori, baeja or magoja style simply consisted of 2 to 4 units of clothes. It was usually worn by ordinary people, and strongly imaged as common. Dolbok of durumagi or jeonbok style was a combination of 5 to 6 units of clothes and mainly worn by noble and royal families. It was remarkably formal, but quite brilliant. The suit for first birth anniversary which was sagyusam or yongpo was made in accordance with court rules and used by the royal family, It consisted of 7 to 8 units of clothes. Dolbok of sagyusam or yongpo style used invariable, simple patterns and colors, but had strong images of courtesy and dignity. 4. Regarding accessories of dolbok, the long-hanged goreum was a symbol of parental wishes for the $baby^{\circ}{\emptyset}s$ health and longevity and dolddi was joined by dol jumeonisymbolizing the wealth and prosperity of the baby. In addition, hogeon was a hat whose shape was the head of tiger symbolizing wishes for bravery and health and tarae beoseon was childlen's socks that had seams, symbolizing prosperity, on the fore edge. Seon for sagyusam was used as a symbol of preventing diseases or evil spirits to protect the health of the baby.

A Study of the Implementation Guidance to ISO 9001:2000 in the Computer Software Industry

  • Lee, Byung-Yong;Jung, Soo-Il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2권53호
    • /
    • pp.99-109
    • /
    • 1999
  •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is a worldwide federation of national standards bodies. Through ISO Technical Committees(TC), various International Standards are being carried out. Each member body interested in a subject for which a TC has been established has the right to be represented on that committee. ISO collaborates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IEC) on all matters of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ISO established the ISO 9000 Family standard in 1987, and International Standard ISO 9000-3 was worked by ISO/TC 176,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assurance, Subcommittee 2(SC 2), Quality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ISO/IEC Directives, Part 3: 1997 Rules for the structure and drafting of International Standards, Many organizations have applied the ISO 9000-3 for their quality system standard in the software sector. That means that ISO 9000-3: 1991 and ISO 9000-3: 1997 have been used successfully by the software industry as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interpretation of ISO 9001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omputer software. Additionally ISO 9000-3: 1997 involved how the software life cycle processes defined in ISO/IEC 12207: 1995, Information Technology - Software Life Cycle Processes related to the requirements of ISO 9001:1994. After having performed full reviews of the WD3, CD1, CD2 and DIS drafts of the future ISO 9001:2000, this document will partly replace the part of ISO 9000-3: 1997 for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computer software industry, as an interpretation for organizations and certification bodies, which will be withdrawn when ISO 9001:1994 is replaced by ISO 9001:200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