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mily policy

Search Result 1,72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미충족 치과의료 연구 동향 및 영향요인 분석 :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용하여세요 (Analysis of dental unmet needs medical research trends and influence factors : using structural literature review)

  • 김우종;신영전;김소애;김잔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3-25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d facilitate provisions for the unmet dental needs of Koreans, stratified by time, influencing factors, and research trend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related published studies since 2006. Methods: this review focused on previous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6 and November 2019 that analyzed influenc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unmet dental needs of koreans. We followed the guidelines set for each phase of research and selected the final 32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5 (22 studies, 68.7%). the were 68.9% in 2006, 25.9% in 2009, 41.3% in 2010- 2012, and 33.3% in 2013-2015 for adults and 27.9% in 2010, 24.6% in 2015, and 16.1% in 2017 for the rates of older adults. the rates of unmet dental need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were 38.6% in 2006, 41.4% in 2007-2009, and 35.9% in 2013-2015 for adults and 50.5% in 2010 and 41.2% in 2015 for the older adults. There were common influencing factors for unmet dental needs. the rate of unmet dental needs was increased by with female gender, younger age, single marital status, low family income, low educational level, worsene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Standardized studies with more accurate definitions and assessment tools are required. however, our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policy intervention that accoun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o reduce unmet dental needs.

Effect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M1 and T1 polymorphisms on antioxidant vitamins and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in Korean subclinical hypertensive subjects after kale juice (Brassica oleracea acephala) supplementation

  • Lee, Hye-Jin;Han, Jeong-Hwa;Park, Yoo Kyoung;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18-128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 multigene family comprising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daily supplementation with kale juice could modulate levels of plasma antioxidant vitamins and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We further examined whether this modulation was affected by combined GSTM1 and T1 polymorphisms. SUBJECTS/METHODS: Totally, 84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having systolic blood pressure (BP) over 130 mmHg or diastolic BP over 85 mmHg, received 300 mL of kale juice daily for 6 weeks. Blood samples were drawn before start of study and after completion of 6 weeks. RESULTS: After supplementation, we observed significant decrease in DNA damage and increase in erythrocyte catalase activity in all genotypes. Plasma level of vitamin 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ild/null and double null genotypes. The plasma levels of ${\beta}-carotene$,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nitric oxide were increased only in the wild/null genotype after kale juice supplementation. CONCLUSIONS: The effect of kale juic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GSTM1 null genotype and wild/null genotype groups, suggesting possibility of personalized nutritional prescriptions based on personal genetics.

우리나라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흡연율 차이: 2003년도 사회통계조사 자료의 분석 (Occupational Differential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 조홍준;강영호;윤성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65-370
    • /
    • 200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moking rates according to the major occupational categorie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a weighted sample of 24,495 men and 26,121 women aged 25-64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ccup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 Classification. We computed the age-standardized smoking rates according to gender and occupations after adjusting for th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Results: For men, the smoking rate in elementary occupations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clerks (OR=1.98, 95% CI=1.74-2.26). In general, a more prestigious job(professionals) correlated with lower smoking rates, and less prestigious jobs correlated with higher smoking rates, except for legislators, senior officials and managers. For women, smoking among service workers was 4.1 times higher than among clerical workers (OR=4.11, 95% CI=2.87-5.88). For women, their occupations, except elementary workers, and the unemployed, the retired and the armed forces,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compared with the clerical workers. After adjusting for education, occupational differences in the smoking rate for men were attenuated in most occupations, except for legislators, professionals, and technicians. Further adjustment for marit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had a minimal effect on the occupational differences in the smoking rate for men. For women workers with service or elementary occupations, the ORs of smoking were attenuated with adjustment of the educational levels. However, the ORs of smoking were increased in workers with service, sales or elementary occupations, as well as for legislators, and the unemployed, the retired and the armed forces, after additionally adjusting for marital status. Conclusions: More prestigious jobs generally correlated with lower smoking rates in both sexes. The anti-tobacco policy should consider smoking rate differentials by occupations.

다문화가족 구성원 대상 보이스트레이닝 서포터스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B대학교 정부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Voice Training Supporters' Training Course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Focus on B University's Governmental Support Policy)

  • 이영희;조위수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21-147
    • /
    • 2017
  •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the results of B University's multicultural creative-HR team's voice training supporters' preparation course that is part of the local funding project at the university. For this, the concept of voice training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members are first extracted from several documents. Then, a 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case of B University's voice training supporters' education course is given regarding the goals, operator of management, propulsion progress, and contents of previous education. For analyzing the management results of this work,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pporters and a half-structured survey are conducted with the voice academy main instructors. Moreover, reports of the work results, work journals of supporters and etc. are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aspect of education, previou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practicum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A more detailed curriculum about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practical affairs is needed for managing a classroom. In aspect of management, the preparatory stage of voice training course and the practice stage were not linked, and thus, more cooperation is required with the main instructors. Although the results are limited, the voice training of the supporters' training course has its implications. First, the educ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re provided for the supporters, thereby being able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education. Second, it demonstrates in an empirical case that a class can be administered by specializing in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t last, it can provide a chance to practice teaching and offer field experience for students who have a Korean education major.

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비혼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인과관계 검증 (The cross-lagged effects of unmarried fathers' involvemen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최정균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1-23
    • /
    • 2017
  • 본 연구는 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여 비혼 아버지(unmarried fathers)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국 취약가구 및 아동복지연구자료(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를 사용하였으며, 아버지가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비혼여성 한부모가구만 선별하여 총 3,409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비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방문빈도와 도구적 양육지원, 지지적 양육태도의 세 가지 하위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문제행동을 각각 아동의 3세와 5세, 9세 시점에서 반복측정한 변수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각 변수의 변화를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비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전반적으로 아동연령 3-5세 시점에서 비혼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참여는 5-9세 시점에서의 아동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비혼 아버지의 지속적인 양육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아버지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자녀양육, 관계형성기술, 갈등해결 기술 등의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 및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저기준 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on School Achievement)

  • 임세희;이봉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243-265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의 아동부가조사를 활용하여 소득빈곤(최저생계비)과 주거빈곤(최저주거기준)의 관계와 차이를 확인하고 나아가 최저기준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빈곤과 주거빈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주거만 빈곤한 층은 소득과 주거가 모두 빈곤한 층, 혹은 소득만 빈곤한 층과 가구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소득 빈곤여부와 아동의 성별, 자존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구조, 모교육수준, 사교육비, 부모양육행동을 통제한 상태에서 최저기준 미달 주거는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한 아동발달을 위해 주거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결론에서 주거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위탁아동 입양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 of Parents who Adopted a Child from Foster Care)

  • 권지성;정익중;민성혜;신혜원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73-10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위탁아동을 입양한 부모의 양육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보호아동을 위탁하여 보호하다가 입양한 사례들을 접촉하여 개별적으로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사례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사례별로 중요한 이슈들을 파악하였으며, 전체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주제들을 발견하여 기술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제는 '특별한 만남: 우연, 인연, 필연', '이미 내 아이', '사소하지만 본질적인 차이', '사회적 지원의 단절: 잃은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숨길 수 없는 진실, 숨겨야 하는 진실', '가족의 운명'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위탁아동 입양가족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단도박자의 생활고 극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Recovering Gambling Addicts' Overcoming Process of Their Hardships of Life)

  • 강준혁;엄다원;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121-1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을 어렵게 만드는 단도박자의 생활고 극복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단도박 후 생활고를 극복한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들과 1:1 심층면담을 수행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 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 결과 131개의 개념을 구성했으며, 구성된 개념을 다시 32개의 하위범주와 1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연구자들은 각 범주를 관통하는 핵심범주를 '현실 수용과 재결단을 통한 생활고 극복'으로 제시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경제적 자활 프로그램 제공, 사회보장 서비스 제공, 상담사-가족-동료 단도박자가 공조할 수 있는 '삼각 지지체계'구축 등을 실천 및 정책적 개입 방안들로 제안했다.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행동과학교적응 발달궤적의 예측요인 (Predictor Variabl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Proble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이지언;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4호
    • /
    • pp.173-197
    • /
    • 2016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의 긍정발달의 산물인 학교적응과 부정발달의 산물인 문제행동의 발달궤적을 검증하고 이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2012년에서 2014년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 계층 아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제행동은 증가하고 학교적응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발달궤적에는 개인, 학교, 가족과 같은 다체계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문제행동 발달궤적은 우울, 소외감, 성취동기와 같은 개인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약계층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공통 보호요인은 성취동기와 지역아동센터 참여만족도로 나타났고, 공통 위험요인은 소외감과 공격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취약계층 아동의 긍정발달을 증진시키고 부정발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근로빈곤층의 빈곤이력과 노동경력 (Poverty Profiles and Job Sequences of the Working Poor)

  • 이주환;김교성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23-34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빈곤층이 경험한 빈곤이력에 따른 노동경력을 추적하여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10차 년도의 결합자료를 이용하여 사건배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일시빈곤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공유하는데 반해, 반복빈곤층과 지속빈곤층은 불안정 저소득 저숙련의 일자리를 순환하는 특성을 보이며, 고용과 빈곤 간 상호연관성 기제가 약화되어 있다. 또한 근로빈곤층의 노동경력은 주로 상용직을 경험하는 유형, 임시 일용직을 경험하는 유형, 자영업을 지속하는 유형, 일자리 전환이 활발하다 상용직을 경험하는 유형과 자영업을 경험하는 유형 등의 5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빈곤이력에 따른 노동경력 유형의 상이한 경로가 관찰되며, 하위집단별 차별화된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