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verty Profiles and Job Sequences of the Working Poor

근로빈곤층의 빈곤이력과 노동경력

  • 이주환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 김교성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3.07.10
  • Accepted : 2013.08.14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ob sequences according to poverty profiles that the working poor have had. For the state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job sequences by diving the subgroups, using the 10 year data of KLIPS and the sequence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working-transient poor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longer working term, less job change, less number of gap and length, and relatively higher monthly income, from the working-recurrent poor and the working-persistent poor.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orking-recurrent poor and working-persistent poor, except for monthly income. Job sequences are divided into 5 clusters and job sequences types according to the working poor subgroups are quite different. Such analysis results would contribute to planning poverty policies based on job sequences differently seen in subgroups and finding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to relieve the working poor.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빈곤층이 경험한 빈곤이력에 따른 노동경력을 추적하여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10차 년도의 결합자료를 이용하여 사건배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일시빈곤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공유하는데 반해, 반복빈곤층과 지속빈곤층은 불안정 저소득 저숙련의 일자리를 순환하는 특성을 보이며, 고용과 빈곤 간 상호연관성 기제가 약화되어 있다. 또한 근로빈곤층의 노동경력은 주로 상용직을 경험하는 유형, 임시 일용직을 경험하는 유형, 자영업을 지속하는 유형, 일자리 전환이 활발하다 상용직을 경험하는 유형과 자영업을 경험하는 유형 등의 5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빈곤이력에 따른 노동경력 유형의 상이한 경로가 관찰되며, 하위집단별 차별화된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