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on School Achievement

최저기준 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9.07.28
  • Accepted : 2009.09.0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Using the children supplements of Korea Welfare Panel Study(first wave),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income-poverty(minimum cost of living)and housing- poverty(sub-standard housing) and analyzed the effects of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on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low correlation between income-poverty and housing-poverty. Second. there is difference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between only housing-poverty household and only income-poverty household or income and housing poverty household. Third,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chool achievem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come-poverty, sex, self-esteem, adaptation to school life, family type, mother's education, private education cost, rearing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active housing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support development of children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Based on this research, we present needed policies i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의 아동부가조사를 활용하여 소득빈곤(최저생계비)과 주거빈곤(최저주거기준)의 관계와 차이를 확인하고 나아가 최저기준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빈곤과 주거빈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의 정도는 낮았다. 둘째, 주거만 빈곤한 층은 소득과 주거가 모두 빈곤한 층, 혹은 소득만 빈곤한 층과 가구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소득 빈곤여부와 아동의 성별, 자존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구조, 모교육수준, 사교육비, 부모양육행동을 통제한 상태에서 최저기준 미달 주거는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한 아동발달을 위해 주거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결론에서 주거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