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tors related students' learning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8초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Learning Motivation)

  • 김우겸;최동열;곽승철;김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271-28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교과의 지질 단원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소재 과학고등학교 1학년 91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 일부에 대하여 제작된 가상현실 학습 자료로 1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때 학습 동기 전략 ARCS를 사용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 사전검사를 한 다음 수업 진행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교과 지질단원의 핵심 개념 요소가 포함된 우리나라의 지질학습장을 선택하여 가상현실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야외답사의 단점인 시간, 거리,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지구과학 교과 수업에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 요소 중 주의집중, 만족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은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 주의집중 향상에 도움이 된다.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자기주도 학습능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Online Classes)

  • 이민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41-449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교육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로 인해 한 학기 이상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15명이며, 2020년 11월 18일부터 12월 1일까지 온라인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의 하부요인 '감성활용' (β=.42, p<.001), 회복탄력성의 하부요인 '통제성' (β=.28, p=.001)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요인 '객관성' (β=.27, p<.001)이었고, 설명력은 62.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연구와 중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교육 컨텐츠 제작시에도 이를 고려하기를 제언한다.

간호교육에서의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GSRS) 적용 효과: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GSRS) on Nursing Education : Focusing on Learning Engagement)

  • 황지원;김정애;황슬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6-16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간호교육에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비교집단)의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비교한 실험연구이다. 2019년 10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일개 간호대학생 211명이 참여하였다. 학습몰입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t-test를, 관련 요인과는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 학습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학습몰입(p=.013), 정서몰입(p=.002)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국내 처음으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온라인 수업의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 전문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es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Learning Outcome - Focusing on H Technical College Students -)

  • 김보영;황혜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67-476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혀보는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3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31일까지 수도권 소재 H 전문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수업의 질, 학습정서와 관련된 요인들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해 성별,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중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긍정적 정서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환경으로 타나났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문대학생들의 학년,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전문대학 수업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전문대학생들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현장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학습 내용개발과 학년별, 단계별 접근이 허용되는 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f Career Satisfaction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 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39-349
    • /
    • 2013
  • 본 연구는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3년제 일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 131명이며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만족의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만족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수행, 전공학업 집중, 내적동기, 문제해결력, 교내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진로만족의 영향요인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집중, 교내실습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들 개념은 진로만족을 63.0% 설명하였다. 특히 전공관련 진로인식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기에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간호전문직의 가치를 전달하고 간호철학 정립을 돕기 위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수학문제해결 수행에서의 메타인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tacognition Mathematical Problem - Solving)

  • 유승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1-119
    • /
    • 1998
  • So far the studies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education have failed to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 from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s from the metacognitional viewpoint, and to think of making meta-items which enables learners to study through making effective use of the meaning of problem-solving and through establishing a general, well-organized theory on metacognition related to mathematic teaching guiedance. Metacognition means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of one's own and significance in the situation that can be reflection so as to express one's own knowledge and use it effectively when was questioned. Mathematics teacher can help students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behaviors by showing the strategy clearly, the decision and the behavior which are used in his own planning, supervising and estimating the solution process himself. If mathematics teachers want their students to be learners not simply knowing mathematical facts and processes, but being an active and positive, they should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fact, mathematics learning activities are accomplished under the complex condition arising from the factors of various cognition activities. therefore, mathematical education should consider various factors of feelings as well as a factor as fragmentary mathematical knowledge.

  • PDF

과학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및 과학 교수 관련 스트레스 사례 분석 (Analysis of Factors that Stress Science Teachers and Analysis of Stresses Related to Teaching Science)

  • 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5-17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사가 갖는 스트레스의 정도와 과학 교수관련 스트레스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4명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의 특성, 교사의 특성, 학교의 환경, 행정적인 절차, 서비스 상태 등의 범주로 구성된 50개의 스트레스 유형으로 구성된 과학교사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5명의 과학교사들 대상으로 서술식 설문을 통하여 과학교수 관련 스트레스 109개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의 스트레스는 학생의 특성에 의한 스트레스와 행정적인 절차에 의한 스트레스가 교사의 특성, 학교의 환경, 서비스 상태 등에 의한 스트레스보다 크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인지적인 능력의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보다 과학에 대한 동기 부족, 불성실한 수업태도 등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에 의한 스트레스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여자 과학 교사의 스트레스가 남자 과학 교사의 스트레스보다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과학 교수와 관련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가장 많은 의견은 학생들의 동기부족과 이해부족 등에 의한 스트레스였다. 다섯째, 과학 교사들은 실험 평가에서의 객관성 확보, 동료교사와의 공동출제 등과 같이 평가와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 조옥희;황경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40-650
    • /
    • 2016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 69명으로 2015년 9월부터 10월까지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개발, 적용하고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통제 동기(외재 동기)는 감소하고, 자율성 동기(확인된 동기, 내재 동기)는 증가하였으며, 자원관리전략 활용 정도가 향상되었다. 학업성취도(학업성과, 교육만족도) 모두 확인된 동기와 학습전략(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과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자율성 동기를 증진하고 자원관리전략의 활용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전략으로 볼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다양한 간호 상황에서 적용하여 학습 관련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매개변수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수학적 사고 과정 관련의 평가 요소 탐색 (Evaluation Factor related to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based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253-263
    • /
    • 2001
  •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recent performance based on assessment has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chool, emphasizing student's self construction of their learning and its process. Because of this reason, peopl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math teachers are taught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tudents'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for example, inductive and deduc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should be estimated formally in math class. However, due to the lack of an evaluation tool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their thinking skills, efforts at evaluating student's degree of mathematics thinking skills and strategy acquisition failed. Therefore, in this paper, mathematical thinking was studied, and using the results of study as the fundamental basi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ree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 fundamental thinking skill, developing thinking skill, and advanced thinking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model, evaluation factors related to essential thinking skills such as analogy, deductive thinking, generalization, creative thinking requested in the situation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were developed.

  • PDF

Teachers' Perspectives on Content-based Instruction in English at a Higher Education in Korea

  • Kim, Namso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91-1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on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in English at a hig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ontent-based instruction programs could be successful if teachers were actively involved not only in transmitting the content knowledge but also in students' development in the second or foreign language competence, the study explores teachers' treatments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e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in CBI classes. Research questions were related to five areas such as (1) the goals of CBI programs, (2) difficulties in CBI classes, (3) the use of native language, (4) teach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and (5)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the CBI programs. Data gathered from 24 college instructors from a large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city of Korea.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ollege instructors of CBI programs had keen interest in developing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course syllabus for mixed leveled group of students, rarely used Korean in class and used successful teaching strategies. Also factors needed to improve the CBI programs were recommended at the end of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implied that teachers needed to be more aware of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of English and to be more communicative with students in English in class. Further studies were needed in relation to the CBI courses for students of different age le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