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safety management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3초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20-130
    • /
    • 2021
  • 최근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예방적 차원의 작업자 안전관리 방안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중고층 건축물 등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나,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이 많아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모듈러 건축의 안전관리 방안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나 시공오차, 하자 등 구조안전과 관련한 요소를 관리하는 품질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 개발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러 건축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분류체계는 공장제작, 운송, 현장시공을 대분류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체계는 현장시공의 6가지의 중분류 중 모듈러 골조설치 공사의 세부작업인 양중작업과 조립작업을 중심으로, 12가지의 단위작업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요소에 따른 단위작업별 작업내용을 정의하고 분류체계에 최종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듈러 건축의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 안전시설 설치간격 및 높이측정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Syste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Measuring installation Interval and Height of Road safety Facilities Using a tine Scanning Camera)

  • 문형철;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31-237
    • /
    • 2008
  • 선진국의 기본 요건들 중 하나는 잘 정비된 교통인프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해외에서는 각종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객관적인 상태평가를 기초로 하여 시설을 관리하는 자산관리(Asset Management)측면에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도로관련 각종 안전시설은 매우 다양하며,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치 규정 및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기준 및 지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이 기준에 부합되게 설치되지 않아 오히려 도로이용자에게 불편함 뿐 아니라, 안전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도로안전시설 중 도로의 설계(운영)속도 및 기하구조에 따라 설치 간격 및 높이들이 규정화 되어있는 시설에 대해 라인스캔카메라를 이용, 이를 신속하게 측정 가능한 영상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매우 정확하게 시설의 크기와 설치간격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야영장 내 액화석유가스 사용실태 및 위험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Liquefied Petroleum Gas Usage and Risk Factor in the Camp Site)

  • 이덕권;이승국;이연재;김희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9-94
    • /
    • 2016
  • 국내 캠핑문화의 확산과 국민 여가문화의 선진화에 따라 야영인구 및 야영장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야영인구 및 야영장 수의 빠른 증가로 인하여 안전사고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서 효율적인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과열에 의한 부탄캔의 폭발, 밀폐된 공간에서 연소기 사용에 의한 CO 중독 등의 가스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사고를 예방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사장, 샤워장 등 야영장 시설에서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 시설과 주요 캠핑용품의 사용실태 및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안전관리 방안 도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야영장 내 액화석유가스 사용 상 안전 관리 효율성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우 농가의 농작업 안전보건 실태 및 안전관리 수준 조사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nd Health and of Safety Management Levels among Korean Native Cattle Farms)

  • 김인수;이경숙;김효철;채혜선;김경수;최동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2-54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rm work environments among farmers and examine the level of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and to subsequently produce study result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on safety and health as part of the improvement of farming work environments among farmers raising Korean native cattle.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arm work environments and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with 407 farmers engaged in Korean native cattle farming in selected regions in eight provinces. It also visited 10 farmers to verify the current status of farm work. Resul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16.4%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safety-related accidents due to farm work. The locations of the accidents were inside the cattle shed (71.4%) and facilities outside the cattle shed (19.6%). The types of accident showed collision with animals (35.7%), collision or contact with obstacles (27.1%), and musculoskeletal accidents due to heavy object handling (12.9%). The causes of the accidents were cattle (38.3%), cultivators and tractors (25.4%), facility tools in cattle sheds (9.0%), and slippery floors (6.0%). The damaged areas were hand (21.0%), spine (19.8%), lower limb (18.5%), and foot (17.3%). A self-diagnostic survey on respiratory diseases showed that 11.5%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respiratory-related symptoms. The survey on safety and health during farm work showed that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which were needed to prevent safety-related accident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need and awareness of safety issues. Furthermore, the field surve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and health issues such as prevention management of collision accidents with cattle, how to handle heavy objects, and wear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afety-related accidents and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among Korean native cattle farmers.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not only provide guidelines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cattle farming work, but also to study the developmen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어린이 급식시설 맞춤형 위생관리 지도서의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uidelines for Customized Hygiene Management of Children's Meal Facilities)

  • 최경아;이성현;박혜경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6-43
    • /
    • 2021
  • The development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guidelines aims to prevent food poisoning in advance and improve the safety of children's meals through hygiene management of children's feeding facilities, especially infants' facilitie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should be designed so that it can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ayperson. In terms of meal service management, various standards must be fully reflected and reviewed to increase utilization in the field.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have different administrative agencies, similar application laws and guidelines, but different parts exist and various types of facilities, so management standards are often ambiguous. Therefore, such management requires easy guidance, not special guidance, and it should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ny facilit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anagement of meal facilities is the most efficient, but it is difficult to hire and deploy specialists due to the operation of children's meal facilities, so guidance, facilities managers and workers need to voluntarily practice them. It is time to prepare hygiene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s cafeterias,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utilize guidance suitable for reality until it is institutionalized for the deployment of manpower exclusively for meals.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정성적 및 정량적 위험도분석 연구 (A Stud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Highway Safety Facilities)

  • 지동한;오영태;최현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99-109
    • /
    • 2007
  • 교통시설물의 위험요소는 안전피해의 규모 및 종류 등 복잡한 제반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전개념에 기초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위험도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가치평가에 도입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교통사고 데이터 및 이를 분석한 EP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를 이용하여 사고빈도와 피해정도 및 사고요인별로 Event Tree를 작성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 비교 1안(140cm) 및 비교 2안(127cm)에 대한 위험지수를 산정하였다.

Preliminary design of a production automation framework for a pyroprocessing facility

  • Shin, Moonsoo;Ryu, Dongseok;Han, Jonghui;Kim, Kiho;Son, Young-J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478-487
    • /
    • 2018
  • Pyroprocessing technology has been regard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recycling spent fuel in nuclear power plants.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as been studying the current status of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pyroprocessing and found that existing facilities are manually operated; therefore, their applications have been limited to laboratory scale because of low productivity and safety concerns. To extend the pyroprocessing technology to a commercial scale, the facility, including all the processing equipment and the material-handling devices, should be enhanced in view of automation. In an automated pyroprocessing facility, a supervised control system is needed to handle and manage material flow and associated operations. This article provides a preliminary design of the supervising system for pyroprocessing. In particular, a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ntended for an automated pyroprocessing facility, named Pyroprocessing Execution System, is proposed, by which the overall production process is automated via systematic collaboration with a planning system and a control system. Moreover, a simulation-based prototype system is presented to illustrate the operability of the proposed Pyroprocessing Execution System, and a simulation study to demonstrate the interoperability of the material-handling equipment with processing equipment is also provided.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의 인간침입 시나리오 평가에 대한 불확실성 관리: RESRAD와 GENII의 비교분석 (Uncertainty Management on Human Intrusion Scenario Assessment of the Near Surface Disposal Facility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Comparative Analysis of RESRAD and GENII)

  • 김민성;홍성욱;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80
    • /
    • 2017
  •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 인간침입시나리오의 '평가/해석에 대한 불확실성'의 관리를 위해 GENII를 이용한 평가결과를 오염토양에 대한 방사선영향평가를 위해 개발된 RESRAD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의 인간침입시나리오로 시추후거주시나리오를 선정하여 각 코드의 현상 모사에서 발생하는 한계점을 파악하고 동일한 입력데이터 조건에서 두 코드의 평가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모델링의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각 코드에서 일부 핵종의 거동모사에 대한 차이는 있었으나 폐쇄후관리기간 이후 선량평가 결과 모든 피폭경로에 대한 경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ESRAD에서 확인한 선량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입력인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주요입력인자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링 결과 및 입력인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안전성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A Study on Process Safety Incident Precursors to Prevent Major Process Safety Incidents in the Yeosu Chemical Complex

  • Baek, Seung-Hyun;Kwon, Hyuck-Myun;Byun, Hun-So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212-221
    • /
    • 2018
  • Process safety incidents and loss events can be prevented if we identify and adequately take measures on process safety incident precursors in a timely manner. If we look into and take action against the process safety hazard factors causing the incident in the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 major process safety incidents can be prevented through eliminating or decreasing hazardous factors. We conducted a survey for the major process safety incident precursor to look specifically into the potential process safety hazardous factors of refineries and petrochemical plants in the Yeosu chemical complex. A self-assessment checklist, which was published by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Recognizing catastrophic incident warning signs in the process industry" on major incidents warning sign, was used for the survey. Through this survey, the major process safety incident leading indicators in the process industry were found by process safety management elements, and each site and/or facility can use these leading indicators for activities for process safety incident prevention. In addition, we proposed action items required to eliminate the root cause of those process safety incident leading indicators.

중·소규모 건설현장 중점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Items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 장윤라;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8-49
    • /
    • 2020
  • 건설재해는 건설업 특성상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시 가변적인 공정 과 인력투입의 다양성, 취약계층의 증가, 건설기계 장비의 위험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로 인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건설재해 중 120억 미만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사망 73.4%)를 차지하고 있는 바, 이는 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 등이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관리 인력 및 기술체계가 부족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조직 부재에 따라,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및 안전시설물 설치 등 기본적인 안전관리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예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축공사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재해사례와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분석하고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을 제시하여 중·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