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검색결과 38,266건 처리시간 0.058초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 YUN, SUNGSIK;LEE, JUNG RYE;SEO, JEONG 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3권2호
    • /
    • pp.145-153
    • /
    • 2016
  • In this paper, we solve the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parallel}f(x+y)+f(x-y)-2f(x)-2f(y){\parallel}$ $\leq$ ${\parallel}{\rho}(4f(\frac{x+y}{2})+f(x-y)-2f(x)-2f(y)){\parallel}$, where $\rho$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left|{\rho}\right|$ < 1, and (0.2) ${\parallel}4f(\frac{x+y}{2})+f(x-y)-2f(x)-2f(y){\parallel}$ $\leq$ ${\parallel}{\rho}(f(x+y)+f(x-y)-2f(x)-2f(y)){\parallel}$, where ρ is a fixed complex number with |ρ| < $\frac{1}{2}$. Furthermore, we prove the Hyers-Ulam stability of the quadratic ρ-functional inequalities (0.1) and (0.2) in complex Banach spaces.

비병원성(非病原性) Fusarium균(菌)을 이용(利用)한 아스파라거스의 병원성(病原性) Fusarium균(菌)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 (Biological Management of Virulent Fusarium Species on Asparagus with Avirulent Fusarium Species In Vitro)

  • 이윤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8-300
    • /
    • 1994
  • 재배지에서 경작된 아스파라거스의 이병조직으로 부터 Fusarium oxyspo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F. moniliforme와 F. solani가 그다음 순으로 분리되었다. 유묘와 조직배양을 통해 얻은 개체를 이용한 병원성 검정 결과, F. oxysporum과 F. moniliforme는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solani와 잠두의 배축으로 부터 분리한 비 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F. moniliforme가 F. oxysporum 보다 병원성이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F. moniliforme가 F. oxysporum보다 더욱 일관된 병원성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비병원성 Fusarium균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실험 결과, 병원성 균주를 접종하기 5-7일전에 비병원성 균주들을 접종하여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비병원성 F. oxysporum (AVFO)은 F. oxysporum에 대해서 보다 F. moniliforme에 대해 더욱 효과적인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F. solani는 F. moniliforme에 대해서 보다 F. oxysporum의 방제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 PDF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The evaluate the usefulness of various CT kernel applications by PET/CT attenuation correction)

  • 이재영;성용준;윤석환;박찬록;이홍재;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1권2호
    • /
    • pp.37-43
    • /
    • 2017
  • PET/CT 영상 재구성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영상재구성에 적용한다. 감쇠보정 맵의 CT parameter을 변경하여 PET/CT 영상 재구성 할 때 적용하여 SUVmax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장비는 Biograph mCT 64를 사용하였고 Phantom은 NEMA IEC Body Phantom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환자는 2017년 2월에서 3월까지 본원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Lung, Liver, Bone에 관심영역을 선택하여 기존 08f AC, 45f medium, 80f ultra sharp 방식의 CT kernel을 적용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PET/CT 영상 재구성에 도입 후 방사능 농도(kBq/mL), SUVmax, SD(standard deviation)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Phantom 방사능 농도 측정 결과 B08f AC 대비 B45f 0.96%, B80f 6.58% 증가하였고 B08f AC 대비 B45f 0.86%, B80f 6.54%각각 증가하였고, SD의 경우 B08f AC 대비 B45f 1.27%, B80f 6.96% 증가하였다. 환자에서 부위별 SUV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1.6%, B80f 6.6%,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0.7%, B80f 4.7%,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1.3%, B80f 6.2%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 SD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6.2%, B80f 15.4%,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2.1%, B80f 11%,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를 사용할 때 2.3%, B80f 14.7% 증가를 보였다. CT Kernel변화에 따라 sharpness noise와 영상의 질은 변화를 보였으나 SUVmax와 SD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핵의학 영상은 정량적인 평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부위에 따라 CT kernel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noise level이 낮은 감쇠보정 맵을 사용하여 PET/CT 재구성시에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에 오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므로 따라서 같은 부위라 할지라도 sharpness noise가 인위적으로 증가된 kernel을 사용하는 것보다 noise가 낮은 kernel을 사용하는 것이 SD편차를 줄이고 정량적인 평가에 오류를 적게 하여 정확한 진단과 SUV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iF-BeF_2-ZrO_2$ 용융염에서 증류수 침출에 의한 $ZrO_2$의 회수 - 증류수에서 $LiF-BeF_2-ZrF_4+ZrO_2$ 용융염의 용해현상 - (Recovery of $ZrO_2$ by Leaching from $LiF-BeF_2-ZrO_2$ Molten Salt in Distilled Water)

  • 우문식;유재형;박현수;강영호;권수한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12-721
    • /
    • 2000
  • $LiF-BeF_2-ZrF_4$(63-30-7 mol%) 용융염은 상온에서 증류수 1ml당 최고 0.02g까지 용해율 99.9%로 용해되었다. 그리고 $ZrF_4$를 열가수분해시켜 제조된 $ZrO_2$ 산화물을 포함하는 $LiF-BeF_2-ZrF_4$ 용융염에서 $ZrO_2$ 산화물을 증류수로 침출시켜 회수하였다. 회수된 $ZrO_2$ 산화물의 결정모양은 손상되지 않았다.

  • PDF

단결정 MnF2(1.5% EuF3)의 Photoluminescence (Photoluminescence of the Single Crystal MnF2(1.5% EuF3))

  • 권순혁;남균;김철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
    • /
    • 2007
  • Rutile 구조를 가진 반강자성체 $MnF_2$와 단결정 $MnF_2(1.5%\;EuF_3)$의 Infra-Red 흡수 스펙트럼과 Photoluminescence 측정을 했다. 측정된 Data의 분석을 통해서 $EuF_3$가 1.5% 첨가된 $MnF_2$와 순수한 $MnF_2$의 광학적 성질의 차이를 밝혀내고, Eu의 첨가에 의해 나오는 PL은 $Eu^{3+}$의 f-d 전이에 의한 것임을 확인했다.

Fusarium oxysporum 및 분화형(分化型)의 염색체에 관한 연구(II) (Chromosomal Studies of Fusarium oxysporum and its formae speciales (II))

  • 민병례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6-81
    • /
    • 1989
  • Fusarium oxysporum은 하나의 종내에 많은 formae speciales(분화종)과 races 등이 분화되어 있다. 그 중에서 10균주에 대하여 균사 내에서의 영양핵의 분열상을 찾아 Giemsa staining 용액으로 염색하여 그들의 염색체 수를 비교 관찰하였다. 균주에 따라 염색체 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2균주(F. oxysporum f. sp. lycoperici, F. oxysporum Kangnung D2)는 n=4, 2균주(F. oxysporum S Sachun 3, F. oxysporum S Kohung 2)는 n=5, 5균주(F. oxysporum S Kohung 3, F. oxysporum CS Hongchun D16, F. oxysporum S Bosung 5, F. oxysporum S Sunchun 4, F. oxysporum S Haenam 4)는 n= 7개를 관찰할 수 있었고 Australia의 Sydney 대학에서 분양받은 F. oxysporum 14-39는 n=8개로 전체로 보아 4-8개의 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인의 앞서 본문의 결과와 종합하여 고찰할 때 F. oxysporum의 기본염색체 수는 반수체가 4개로 추론되며 여기에서부터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diploidy, aneuploidy가 되어 다양한 염색체 수를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CONSTRUCTION OF RELATIVE F-REGULAR RELATIONS

  • Song, Hyungsoo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9권2호
    • /
    • pp.123-128
    • /
    • 2001
  • Given a homomorphism ${\Pi}:X{\rightarrow}Y$, with Y minimal, we will introduce the concept of a relative (to ${\Pi}$) F-regular relation which generalize the notions of F-proximality, F-regularity and relative F-proximality, and will study its properties.

  • PDF

6배체 트리티케일과 4배체호밀 교잡에서의 교잡율, 염색체수 변이 및 작물학적 특성 (Crossability, Variation in Chromosome Number, and Agronomic Characters in Hybrid of Hexaploid Triticale with Tetraploid Rye)

  • 황종진;하용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5-312
    • /
    • 1992
  • 6배체 트리티케일 신기호밀과 4배체 호밀 품종 두루호밀을 교잡하여 이들의 임실율, 잡종 후대들의 염색체수의 변이, 작물학적 특성등을 검토하므로써 트리티케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제공코져 실시한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기호밀(P$_1$)과 두루호밀(P$_2$)의 교잡에서 교잡율은 30.5%, 역교배에서는 3.26%였다. F$_1$/P$_1$(=BC$_1$)에서는 8.75%, F$_1$/P$_2$(=BC$_2$)에서 7.20%, 그리고 F$_1$/F$_1$(=F$_2$)은 1.53%의 교잡율을 보였다. 2. 교잡된 교배종자의 발아율은 F$_1$ 종자 37%, F$_2$ 43.0%, BC$_1$, 39.0%, BC$_2$, 50.0%로 나타났으며, 천립중은 각각 20.7g, 24.5g, 25.4g, 23.6g 이었다. 3. F$_1$(=P$_1$/P$_2$) 식물체의 화분임성은 30.2%였고, 69.8%는 비정상 화분이었다. 4. F$_1$식물체의 화분 모세포 감수분열에서 1가 염색체 13.5%개, 2가 염색체 8.89%, 3가 염색체 1.24개로 2개 염색체는 50.8%였다. 5. 체세포 염색체수는 F$_1$ 35개 였고, F$_2$는 32-33개, 35-36개를 갖는 개체가, BC$_1$은 35-39개를 갖는 개체가 많았다. 그리고 BC$_2$는 28-36개의 분포를 보였다. 이는 F$_1$ 식물체에서 14-18개의 염색체를 갖는 배우자와의 결합이 많음을 보여준다. 6. 임성 개체의 비율은 F$_1$, 100%, F$_2$, 4.5%, BC$_1$, 42.9%, BC$_1$, 50.0%였으며 임성개체의 평균수당 임실립수는 F$_1$, 1.17개, F$_2$, 13.3개, BC$_1$, 2.36개, BC$_2$, 3.75개 였다. 7. 출수기는 F$_1$이 양친의 중간을 보였고, BC$_1$과 BC$_2$는 양친의 영향을 보였으며, F$_2$는 만숙친 보다도 늦었다. 간장은 F$_1$이 장간친과 비슷 하였으나 F$_2$, BC$_1$, BC$_2$는 단간친보다 작았고 특히 BC$_1$은 단간친보다 35cm나 짧았다. 수장과 수당 소수수는 F$_1$이 양친보다 길거나 많았다. 소수당 영화수는 양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