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diameter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6초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감정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군 검출 (Smartphone Addiction Detection Based Emotion Detection Result Using Random Forest)

  • 이진규;강현우;강행봉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3
    • /
    • 2015
  • 최근 기술의 발달로 국내에 10명 중 8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은 스스로가 조절하기 어렵고, 자각하기 힘들다. 주로 설문지를 중심으로한 연구들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 예를 들면 S-척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ECG(심전도)와 Eye Gaze 신호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험자가 감정 영상을 시청했을 때, 피험자의 ECG 신호와 Eye Gaze 신호를 각각 Shimmer와 스마트아이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더불어, ECG 신호의 S-transform 결과를 특징으로 추출한다. 또한 동공의 직경, 시선과의 거리, 눈 깜빡임으로 구성된 Eye Gaze 신호로부터 12개의 특징을 추출한다. 분류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학습시키고 피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군을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와 실험 전 진행한 S-척도 결과와 비교한 결과 ECG는 87.89%의 정확도, Eye Gaze는 60.25%의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세안의 방향과 강도에 따른 동적 입체시 비교 (Comparison of Dynamic Stereoacuity According to Dominant Eye and Degree of Dominant Eye)

  • 심문식;심현석;김영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7-233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우세안의 방향과 우세성의 강도, 우세안과 우세손 방향의 일치와 불일치 시의 동적 입체시를 비교해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1.06{\pm}2.21$세인 성인 130명(남자 70명, 여자60명)을 대상으로 $3.8cm{\times}3.8cm$ 직경의 가는 링을 이용한 타각적인 방법으로 우세안(dominant eye)의 방향과 강도를 측정하였고, 삼간계(three-rods test, iNT, Korea)를 이용하여 동적 입체시(dynamic stereoacuity)를 측정하였다. 결과: 우세안의 방향에 따른 동적 입체시는 우세성이 없는 중심우세안일 때 $14.97{\pm}13.80$초, 우안 $22.10{\pm}20.01$초, 좌안 $22.31{\pm}20.39$초로 눈의 우세성이 없을 때 더 좋았으나 우세안의 방향과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은 매우 낮았다. 우세안의 강도를 Center, Mild, Strong로 구분하였을 때 동적 입체시는 각각 $14.97{\pm}13.80$초, $20.76{\pm}15.73$초, $24.45{\pm}25.60$초로 우세성이 강할수록 나빠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우세안 좌안에서 우세성이 Strong으로 강할 때 오히려 동적 입체시가 중심우세보다도 더 좋게 나타났다. 우세안과 우세손 방향에 따른 동적 입체시는 우안과 오른손일 때 $22.63{\pm}20.54$초, 좌안과 왼손일 때 $17.36{\pm}10.13$초, 우안과 왼손일 때 $14.79{\pm}7.05$초, 좌안과 오른손일 때 $22.97{\pm}21.42$초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우세손이 오른손보다 왼손인 경우가 빈도수는 낮았으나 동적 입체시는 우세손이 왼손일 때 비교적 좋게 나타났다. 결론: 우세안의 방향과 강도에 따른 동적 입체시의 상관성은 낮았으나 눈의 우세성이 없을때 14.97초, Strong 일 때 24.45초로 우세안 강도가 강할 때 동적 입체시가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우세안 방향과 강도는 입체시와 같은 양안시기능과 sport vision training, 노안교정과 mono vision과 같은 시력교정 시에 양안균형 면에서 착용자에게 좀 더 편안한 처방을 하는데 고려되어야 요소로 사료된다.

각막굴절교정절제술에서 각막의 절제 깊이와 Munnerlyn 식 (Ablation Depth of Cornea and Munnerlyn Formula in Refractive Keratectomy)

  • 최운상;김윤경;이성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1-124
    • /
    • 2007
  • 각막굴절교정절제술에서 각막의 절제 깊이를 Munnerlyn 식을 유도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은 4 mm에서 8 mm 사이의 광학 직경과 -1 Dptr에서 -12 Dptr 사이의 교정굴절력에 대해 수행되었다. 계산결과는 Munnerlyn 근사식과 비교될 수 있는데, 낮은 교정굴절력에서는 두 식간에 오차가 없었으나, 6 Dptr 이상의 교정굴절력에서 1 Dptr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는 기하학적 가정에 근거한 수학적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이며, 수술환경의 오차와도 비교되어야 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Fluctuating Asymmetry between Ploidy and Sex i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Park, In-Seok;Gil, Hyun W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3호
    • /
    • pp.275-28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luctuating asymmetry of eye diameter, maxilla length, operculum length, and the number of pectoral fin ray and pelvic fin ray between ploidy and sex in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In all experimental groups, eye diameter and maxilla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p>0.05). Result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male group showed similarity ones with result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female group (p<0.05). However, the operculum length in d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triploid male group showed consinderable difference with those of operculum length in d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in triploid female group. Findings of pelvic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were similar to those of pectoral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p<0.01).

Estim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Histological Parameters and Carcass Traits of Pig Longissimus Dorsi Muscle

  • Ryu, Y.C.;Rhee, M.S.;Kim, B.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428-433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chemical parameters of muscle fibers, and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histological parameters and carcass traits in pigs. A total of 230 crossbred Duroc$\times$(Yorkshire$\times$Landrace) pigs (149 gilts and 81 castrated male pigs) was evaluated. Carcass traits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and loin eye area), muscle fiber size (crosssectional area, diameter, and perimeter), muscle fiber number (density of fibers/$mm^2$ and total number of fibers), and fiber type composition (percentages of myofibers and relative areas of each fiber type) were evaluated. Mean cross-sectional area (CSA) and type IIB fiber CS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and loin eye area. Mean fiber CSA was mostly related to type IIB CSA (r=0.98) as a result of the high percentage of type IIB fibers in the longissimus muscle. Correlations between fiber diameters and perimeters were also high, and showed similar results with CSA. Mean fiber dens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carcass weight (r=-0.24), backfat thickness (r=-0.18) and loin eye area (r=-0.27). To the contrary, total fiber numb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cass weight (r=0.27) and loin eye area (r=0.53). Carcass weight and loin eyZe area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uscle fiber composition. For backfat thickness, there was an opposition between type IIA percentage, which was positively related and type IIB percentage, which was negatively related. Fiber type composition of type I and IIA fib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at of type IIB fibers (r=-0.67 to -0.74). In the present study, carcass weight and loin eye are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SA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fiber density. But, these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low. The fiber density was strongly affected by muscle fiber size and the total fiber number was affected either by CSA of muscle fiber and loin eye area. Fiber type composition was much more related to their numerical abundance than their CSA.

아이라이너 침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파라미터의 변화 및 세척효과의 비교 (Comparisons of the Change in Soft Contact Lenses Parameters and the Cleaning Efficiency after Eyeliner Deposition)

  • 박미정;김사현;구보경;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5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눈 화장품인 아이라이너에 노출시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파라미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고, 세척방법을 달리하여 세척하였을 때의 세척효과와 렌즈 파라미터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된 3종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각각 1시간, 4시간 및 6시간 동안 아이라이너를 침착시킨 후 안경용 초음파 세척 및 손 세척을 시행하였으며, 세척 전후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 직경 및 표면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아이라이너의 침착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렌즈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이라이너의 침착 양상은 렌즈재질의 물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nar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가장 침착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렌즈 직경은 hilafilcon B 및 etafilcon A 재질 렌즈는 감소하였으나, narafilcon A재질 렌즈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아이라이너의 침착은 안경용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보다는 다목적 용액을 이용한 손 세척 시 세척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렌즈의 직경이나 가시광선 투과도, 렌즈표면 등 렌즈 파라미터가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소프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 화장 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옳으며, 반복적으로 눈 화장을 할 때에는 렌즈 파라미터의 변화를 고려한 착용시간의 단축이나 빠른 렌즈의 교체주기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rapeutic Proton Beam Range Measurement with EBT3 Film and Comparison with Tool for Particle Simulation

  • Lee, Nuri;Kim, Chankyu;Song, Mi Hee;Lee, Se Byeo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0권4호
    • /
    • pp.112-119
    • /
    • 2019
  • Purpose: The advantages of ocular proton therapy are that it spares the optic nerve and delivers the minimal dose to normal surrounding tissues. In this study, it developed a solid eye phantom that enabled us to perform quality assurance (QA) to verify the dose and beam range for passive single scattering proton therapy using a single phantom. For this purpose, a new solid eye phantom with a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dge was developed using film dosimetry and an ionization chamber. Methods: The typical beam shape used for eye treatment is approximately 3 cm in diameter and the beam range is below 5 cm. Since proton therapy has a problem with beam range uncertainty due to differences in the stopping power of normal tissue, bone, air, etc, the beam range should be confirmed before treatment. A film can be placed on the slope of the phantom to evaluate the Spread-out Bragg Peak based on the water equivalent thickness value of PMMA on the film. In addition, an ionization chamber (Pin-point, PTW 31014) can be inserted into a hole in the phantom to measure the absolute dose. Results: The eye phantom was used for independent patient-specific QA. The differences in the output and beam range between the measurement and the planned treatment were less than 1.5% and 0.1 cm, respectively. Conclusions: An eye phantom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was successfully validated. The phantom can be employed to verify the output and beam range for ocular proton therapy.

Estimation of Chinese Cabbage Growth by RapidEye Imagery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 Na, Sangil;Lee, Kyoungdo;Baek, Shinchul;Hong, Suk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56-563
    • /
    • 2015
  • Chinese cabb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getables in Korea and a target crop for market stabilization as well. Remote sensing has long been used as a tool to extract plant growth, cultivated area and yield information for many crop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hinese cabbage. This study refers to the derivation of simple Chinese cabbage growth prediction equation by using RapidEye derived vegetation index. Daesan-myeon area i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is one of main producing district of Chinese cabbage. RapidEye multi-spectral imagery was taken on the Daesan-myeon five times from early September to late October during the Chinese cabbage growing season. Meanwhile, field reflectance spectra and five plant growth parameters, including plant height (P.H.), plant diameter (P.D.), leaf height (L.H.), leaf length (L.L.) and leaf number (L.N.), were measured for about 20 plants (ten plants per plot) for each ground survey.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for each of the 20 plants was measured using an active plant growth sensor (Crop $Circle^{TM}$)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egetation indices and Chinese cabbage growth data showed that NDVI was the most suited for monitoring the L.H. (r=0.958~0.978), L.L. (r=0.950~0.971), P.H. (r=0.887~0.982), P.D. (r=0.855~0.932) and L.N. (r=0.718~0.968). Retrieval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estimating Chinese cabbage growth parameters using NDVI. These results obtained using the NDVI is effective provided a basis for establishing retrieval algorithm for the biophys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These results will also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RapidEye multi-spectral imagery necessary to estimate parameters of Chinese cabbage.

황색 홑꽃인 조기개화성의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옐로우아이" 육성 (A New Flowering,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for Cut Flower, "Yellow Eye" with Single Type and Light Yellow Petals)

  • 황주천;진영돈;김진기;김수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41-545
    • /
    • 2008
  • 절화용 국화 'Yellow Eye'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육성한 황색의 소륜 다화성의 스프레이 신품종으로 적색 홑꽃인 'Angela'를 모본, 백색 홑꽃인 'Angaesoguk'을 부본으로 '03년 10월에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화형이 좋고 화색이 선명하며 조기 개화하는 우수 6개체(AA03-103, 198, 273, 346, 392)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회에 걸쳐 특성을 검정하고, 품평회와 시장출하를 통해 기호성이 좋고, 화색 및 화형 등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AA03 -273(경남CS-6호)을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 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Yellow Eye'로 명명하였다. 'Yellow Eye' 품종은 꽃 달림이 좋고 화색이 선명한 황색 화색의 홑꽃으로서 개화소요기간이 6주 정도로 아주 빠르며, 착화수도 27.9개로 많은 편이다. 꽃 크기는 3.3 cm 정도이며, 초장이 86.1 cm인 산티니계의 스프레이국화로서 평균 절화수명이 23.1일로 긴 편이다.

한국산(韓國産) 벌파리매아과(亞科)(파리매과(科),파리목(目),곤충강(綱)) 2속(屬) 2종(種)의 복안(複眼)표면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Compound Eye Surface of 2 Species belong to 2 Genera in Korean Laphriinae(Asilidae, Diptera, Insecta))

  • 이옥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3-118
    • /
    • 1999
  • 한국산 벌파리매아과(亞科)에 속하는 2속(屬) 2종(種)(뚱보파리매(Choerades isshikii (Matsumura), 빨간뒤영벌파리매(Laphria rufa R$\ddot{o}$der))의 복안표면 미세구조를 형태학적으로 연구하였다. 채집된 건조표본의 복안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화상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관찰 및 촬영, 측정하였다. 2속(屬) 2종(種)에서 공통적으로 복안의 개안표면직경은 부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내측과 중간부, 외측이 구분되었다. 복안의 내측과 중간부의 개안표면에서는 특정적인 미세구조가 관찰되었으며 2속(屬)에서 형태적 차이를 보여 속(屬) 수준의 분류에 유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