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087건 처리시간 0.044초

염산용액에서 로듐(III)과 이리듐(IV)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Rhodium(III) and Iridium(IV)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

  • 이만승;이진영;손반반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30-435
    • /
    • 2010
  •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s of Rh(III) and Ir(IV) were performed on the HCl solution by using Alamine336 and TBP.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Rh and Ir by Alamine336 was much higher than that by TBP. For the solvent extraction with Alamine336,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Rh and Ir decreased with a HCl concentration. However,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both metals by TBP was below 12% in our experimental range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HCl concentration of up to 8 M. From the mixed solution of Ir with an excess SnCl$_{2}$, most of the tin was extracted by Alamine336 and TBP. However,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Ir by Alamine336 was reduced and no iridium was extracted by TBP. The extraction behavior of Ir and Sn was investigated by scrubbing experiments on the loaded Ir with a SnCl$_{2}$ solution.

Pretreatments of Softwood Sawdust for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 Kim, Tae-Hong;Lim, Bu-Kug;Chang, Jun-Pok;Yoon, Kab-Hee;Lee, Jong-Yoon;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09-115
    • /
    • 2002
  • Mycelial growth of L. edodes by pretreatments of softwood was studied on a sawdust medium. The sawdust used was from the following softwood species :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e pretreatment consisted of cold-water (48 h), hot-water (3 h) and steam extractions (3 h) at a ratio of 500 g : 3,000 mL (sawdust : distilled water). The sawdust medium was a mixture of 76% sawdust, 20% rice bran, 3% glucose, 0.4% potassium nitrate and 0.6% calcium carbonate. Following sawdust pretreatments proved most suitable : L. leptolepis (steam extraction), P. densiflora (hot-water extraction) and P. koraiensis (hot-water extraction). Mycelial growth on P. koraiensis sawdust increased in proportion to an increase in hot-water extraction time. Mycelial growth was optimum on the sawdust extracted for 12 hours, hot-water extraction beyond this period proved unsuitable. With the exception of P. densiflora at 100 ㎍/mL, antifungal activity occurred in every sample. Maximum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was obtained from following concentration of hot-water extractives : P. densiflora (104 ㎍/mL) and P. koraiensis (104 ㎍/mL). This study has provided useful preliminary information for the cultivation of L. edodes.

미세조류로부터 색소물질 생산 증대를 위한 추출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to Enhance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Microalgae)

  • 강민호;박제훈;박하영;김소희;김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8-32
    • /
    • 2023
  • We optimize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ioactive compounds from the microalgae Acutodesmus reginae. To optimize this extraction proces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lvent type, solvent concentration, extraction time, extraction number, and extraction power on the production of lutein, α-carotene, β-carotene, and chlorophylls a, and b. After sequential optimization of these main variables, the maximum amount of each compound was extracted at 30℃ with an ultrasound power of 80 W and using 99.5% methanol. Under these optimum conditions, the amount of lutein, α-carotene, β-carotene, and chlorophylls a, and b, were measured as 10.43, 8.66, 3.76, 15.43, and 6.39 mg/g dry matter respectively.

Microwave를 이용한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paclitaxel 추출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 현정은;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81-2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배양액에서 회수한 식물세포인 biomass로부터 항암제 paclitaxel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MAE) 방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 (CSE) 방법과 추출효율을 비교하였다. CSE 방법에서 추출온도 25, $30^{\circ}C$에서는 추출시간 (3, 6, 10 min)에 대해 추출효율이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40, $50^{\circ}C$에서는 추출시간 10 min에서 paclitaxel 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온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CSE 방법의 경우 총 4회의 추출로 식물세포 내 대부분의 paclitaxel을 회수 (>99%) 가능한 반면 MAE 방법의 경우 1회의 추출로 식물세포 내 대부분의 paclitaxel을 회수 (>99%) 가능하였다. MAE 방법이 CSE 방법보다 paclitaxel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높은 추출효율, 공정시간 단축,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E 공정에서 최적의 biomass/methanol의 비율은 1/1 (w/v)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조사가 구루병 백서의 발치창 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on wound healing after tooth extraction in the rachitic rats)

  • 김미경;황의환;이상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2권1호
    • /
    • pp.1-10
    • /
    • 2002
  • Purpose: To observe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following irradiation on the wound healing after tooth extraction in the rachitic ra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normal diet/non-irradiation group), Group 2 (normal diet/irradiation group), Group 3 (rachitogenic diet/non-irradiation group), and Group 4 (rachitogenic diet/irradiation group). Rachitic changes were induced with rachitogenic diet No. 2 (high calcium, low phosphorus, and Vitamin D deficient diet) for 5 weeks. After the extraction of both maxillary first molars of the rats in Group 2 and 4, the head and neck of the rat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absorbed dose of 10 Gy. The rats were sacrificed at the 1st, 5th, 10th, and 15th day after tooth extraction. The specimens including the extraction wound were sectioned, stained with the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method and examined under the light microscope. Results: In the Group 2, the amount of newly formed bone trabeculae on the periphery of extraction socket and osteoblastic activity were reduced. In the Group 3, epithelial fusion was not revealed on the 5th day after toothe extraction and growth rate of osteoid formation was reduced. In the Group 4, necrotized tissue at the outer surface of extraction socket and destructive changes on the alveolar bones were noted on the 10th day. Epithelial fusion was not revealed and large amounts of osteoclast were noted on alveolar bone on the 15th day. Conclusion: The healing process of wound after tooth extraction was retarded by irradiation and especially in the rachitic rats.

  • PDF

Paclitaxel 대량생산을 위한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for Mass Production of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 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46-351
    • /
    • 2000
  • 식물세포 배양액으로부터 회수한 식불세포 내 수분 함 량에 따른 추출효율은 건조 정도 보다는 건조방법 에 상당 히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건조하여 추출할 경우 사용되는 추출용매를 절약할 수 있었다. 여러가지 유기용 매를 이용하여 paclitaxe1의 추출 경향을 조사한 결과 메탄올의 경우 가장 적 은 양으로 가장 높은 paclitaxe1 회 수율을 얻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의 경우 counter-current 형태를 사용할 경우 batch형태에 비하여 용 매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paclitaxe1 회수율은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Batch 형태를 이용한 메탄올 추출시 식불세포의 경우 4회 (회수율>99%), 식불세포조각의 경우 1회 (회수융>96%)의 추출로 대부분의 paclitaxe1 회수가 가능 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시 90% 이상의 머탄올 농도이변 충분하며 (회수율>98%), 추출시biomass와 메탄올 의 흔합비 (Kg biomass: L MeOH)는 1: 1, 추출시간은 1회 5분 이상이면 적당 하였다. 메탄올 추출불에 포함된 극성불 순물들은 다음 공정 인 액/액 (methylene chloride/ MeOH)추 출로 제거하여 정제공정에 사용되어 진다.

  • PDF

영국 고원지대(Moorland)의 이탄 토양에서 애지렁이 추출을 위한 수분깔때기의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Wet Funnel Extraction of Enchytraeidae from Peat Soils of Moorlands in England)

  • 권태성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70
    • /
    • 2000
  • 영국의 고원지대 (Moorland)의 이탄토양 (blanket bog peat soil에 서식하는 애지렁이 정량조사를 위한 수분갈때기추출법의 효율에 미치는 수온, 물의 량, 추출시간의 복합적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탄 토양에서 애지렁이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물의 양과 초기 수온에 관계없이 표면수의 최종 온도는 35$^{\circ}C$이고, 추출시간은 6시간이었다. O'Connor의 방법 (최종 온도 40-45$^{\circ}C$,열의 점진적인 증가, 3시간 추출)은 비교적 늪은 온도와 짧은 추출시간으로 인해, 추출효율에 변이가 심하였다. 열을 가하지 않고 장시간 추출하는 방식은 열을 가하는 방식에 비해 추출효율이 현저히 낮았다.

  • PDF

초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고춧가루의 capsaicinoids 분석 (Determination of capsaicinoids in red pepper powder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남궁배;이윤열;하재호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56-261
    • /
    • 2013
  •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capsaicinoids인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을 초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간편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고춧가루의 입도,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 비교하고 환류추출법과 가열블록법을 비교하였다. 환류추출법의 경우 3 시간 추출하는 것이 효율적이었으며 capsaicinoids 추출율은 덜 매운 고춧가루의 경우 입도가 고울수록 높았으나 매운 청량고추의 경우는 추출율이 입도에 영향을 덜 받았다. 시료량을 달리한 경우 용매의 사용을 동일하게하면 시료를 적게 사용하는 것이 추출율이 높았다. 환류추출법으로 3시간 추출한 것은 가열블록법으로 1 시간 추출한 것에 비하여 추출효율이 3-9% 높았으나 품질관리의 목적인 경우 신속간편 방법인 가열블록법으로 고춧가루의 capsaicinoids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온성액체와 Deep Eutectic Solvent를 사용한 잘피에서 카페인산과 로즈마리산의 추출 (Extrac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from Zostera marina Based on Ionic Liquids and Deep Eutectic Solvent)

  • 이유리;이유진;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81-485
    • /
    • 2014
  • 잘피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dipping, ultrasonic-assisted, heating추출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온성 액체와 공융용매(DES)를 잘피에 존재하는 카페인산과 로즈마린산의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써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확인된 최적의 조건은 동결건조된 0.005 g의 잘피 뿌리 파우더와 5 mL의 methanol 그리고 0.5 g의 DES-3를 바이알에 넣은 후 30분동안 dipping하여 추출하였다. 그 결과 0.19 mg/g 카페인산과 8.48 mg/g의 로즈마린산을 얻었다. 이 방법은 잘피에 있는 카페인산과 로즈마린산을 간단하고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고 전통적인 용매 추출법보다 청정용매인 DES를 첨가했을 때 잘피의 유용성분 추출에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로부터 기능성 바이오융복합 소재 개발을 위한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from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convergence materials)

  • 김혜림;김연아;인만진;채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85-91
    • /
    • 2020
  •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아로니아 열매를 포함하여 열매 이외의 비가식 부위를 이용하여 바이오 융복합 소재로의 개발을 검토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의 추출 공정변수인 추출 용매, 온도, pH, 시간 등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아로니아 부위별(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로 물, 에탄올,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추출율이 가장 높은 물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비가식 부위 중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인 아로니아 잎을 폴리페놀의 주원료로 선정하였고,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비가식 부위인 잎의 폴리페놀의 열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79.3℃, 4.5시간, pH 7.2에서 추출하는 것이 최적의 추출 조건이었으며 폴리페놀의 최대 추출 수율은 139.4±2.5 mg/g이었다. 이와 같이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인 잎의 최적화된 추출조건은 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