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inction coefficient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5초

플라즈마 중합된 TMS 박막의 광학상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cal Constant of Tetramethylsilane Films Plasma Polymerized)

  • 최충석;박복기;김영붕;이덕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386-388
    • /
    • 1995
  • The polymerization rate, chemical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tetramethyldisiloxane(TMS) have been investigated. The rate of polymerization of TMS films increased nonlinearly with the discharge power. The refractive indices of thin films varied from 1.40 to 1.43 and they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ischarge power. Also, the extinction coefficient was about 0.2 and is independent of photon energy.

  • PDF

MODIS 에어러솔 광학두께와 지상에서 관측된 시정거리를 이용한 대기 에어러솔 연직분포 산출 (Estimation of Aerosol Vertical Profile from the MODIS Aerosol Optical Thickness and Surface Visibility Data)

  • 이권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ODIS 인공위성으로 분석된 에어러솔 광학두께 자료와 지상에서 관측된 시정거리 자료를 이용하여 에어러솔 연직분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위성과 지상관측자료로부터 에어러솔의 척도 고도를 구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복사전달 모델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대기 모델과 비교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근사치를 보였다. 그리고 실제 사례로서 대기가 청명한 경우(${\tau}_{MODIS}=0.12{\pm}0.07$, 시정거리=$21.13{\pm}3.31km$)와 혼탁한 경우(${\tau}_{MODIS}=1.71{\pm}0.85$, 시정거리 =$13.33{\pm}5.66km$)에 대해서 적용하여 척도 고도를 산정한 결과는 각각 전국 평균값으로서 $0.63{\pm}0.33km$$1.71{\pm}0.84km$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 에어러솔 소산계수의 연직분포를 구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KML 형식으로 코딩되어 관심 영역의 대기 환경 특성 변화를 감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994년 6월 서울지역 시정장애의 측정 및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Visibility lmpairment during June, 1994 in Seoul)

  • 백남준;이종훈;김용표;문길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9
    • /
    • 1996
  • Characteristics of visual air quality in Seoul have been investigated between June 13 and 21, 1994. Optical properties (extinction coefficient and particle scattering coefficient), meteorological parameters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cloud cover), particle characteristics (mass size distribution, compone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During measurement periods, northwest wind with less than 2m/sec of wind speed deteriorates visibility.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are though to be not a direct factor which influence to visibility through the size change due to hygroscopic species in aerosol. During the smoggy period both the aerosol mass concentration and fine particle fraction of the size distribution are increased compared to the clear period. Sulfate, organic carbon, and elemental carbon in aerosol are the major species in determining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a smog in Seoul.

  • PDF

띠미로버섯 중 25-Epi, $3{\alpha}-Carboxyacetylquercinic$ Acid의 분리정제, 구조결정 및 생리활성 (Isol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25-Epi, $3{\alpha}-Carboxyacetylquercinic$ Acid in Daedalea dickinsii)

  • 배강규;민태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4
    • /
    • 2000
  • 띠미로버섯의 에탄올 추출물 중 25-Epi, $3{\alpha}-carboxyacetylquercinic$ acid의 두 구조, 항균활성 및 항암활성을 연구하였다. 화합물 1의 녹는점과 분자량은 각각 $167{\sim}168^{\circ}C$, 572였고, 몰 흡광 계수는 208 nm에서 5,040이었다. 여러 분광학적 성질로부터 이는 24S, 25S, $3{\alpha}-carboxyacetylquercinic$ acid로 확인되었고, 곰팡이, 효모 및 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암활성($IC_{50}=64.5\;{\mu}M$)이 있었다. 화합물 2의 녹는점, 분자량 및 몰흡광 계수는 각각 $233{\sim}235^<\circ}$, 572 및 208 nm에서 5,080이었다. 이는 24S, 25R, $3{\alpha}-carboxyacetylquercinic$ acid로 확인되었고, 화합물 1과 서로 다른 항균활성을 보였다.

  • PDF

미세 물분무 노즐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Water Spray Nozzle)

  • 유우준;한용택;김창섭;김창;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29-3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노즐의 형상변화에 따라서 방사유량, 살수분포 그리고 액적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심부 직경이 6.0 mm이고 반지름 방향 방사각도가 $142^{\circ}$$148^{\circ}$인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LPN142, LPN148) 형상을 제작하여 UL2167 시험규격에 의해서 살수분포와 분사거리의 관계를 정량화하였다. Hellium-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방사유량 변화에 따라서 웨버 수와 액적 크기 그리고 방사각도에 관한 경험식을 구하였으며, 전달 방정식의 주요인자인 소멸 항과 액적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은 최소허용 유량범위가 결정된 경우 작동압력, 분사거리, 액적 직경을 예측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즐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aman Lidar for the Measurement of Temperature, Water Vapor, and Aerosol in Beijing in the Winter of 2014

  • Tan, Min;Shang, Zhen;Xie, Chenbo;Ma, Hui;Deng, Qian;Tian, Xiaomin;Zhuang, Peng;Zhang, Zhanye;Wang, Yingji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15-22
    • /
    • 2018
  • To measure atmospheric temperature, water vapor, and aerosol simultaneously, an efficient multi-function Raman lidar using an ultraviolet-wavelength laser has been developed. A high-performance spectroscopic box that utilizes multicavity interference filters, mounted sequentially at small angles of incidence, is used to separate the lidar return signals at different wavelengths, and to extract the signals with high efficiency. The external experiments are carried out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tmospheric temperature, water vapor, and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in Beijing, under clear and hazy weather conditions. The vertical profiles of temperature, water vapor, and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for an integration time of 5 min and laser energy of 200 mJ, the mean deviation between measurements obtained by lidar and radiosonde is small, and the overall trend is similar. The statistical temperature error for nighttime is below 1 K up to a height of 6.2 km under clear weather conditions, and up to a height of 2.5 km under slightly hazy weather conditions, with 5 min of observation time. An effective range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temperature and water vapor of up to 10 km is achieved. The temperature-inversion layer is found in the low troposphere. Continuous observations verify the reliability of Raman lidar to achieve real-time measurement of atmospheric parameters in the troposphere.

대청호에서 WASP5 모델 매개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ameters of WASP5 Model in Daechung Reservoir)

  • 한운구;김규형;안태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69-77
    • /
    • 2003
  • 대청호에서 WASP5 모델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의 계산치와 실측치는 값과 그 경향에 있어 근사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통해 대전취수탑 유역의 장래수질예측이 가능하였다. 매개변수의 민감도분석 결과 조류의 최대성장율, 조류의 호흡율, 광소멸계수, 온도 등이 Chlorophyll-a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에 영향을 주는 주된 인자는 용존유기질소 분해율과 온도이며 T-P는 인부하량, 온도, 광소멸계수, 용존유기인 분해율, 조류의 최대성장율 등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에 큰 민감도를 보인 인자는 탈산소계수와 온도였으며, DO는 온도 외의 매개변수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해당 수역에 적합한 입력변수의 민감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으며 각 수질항목에 대한 입력변수의 영향에 대한 파악을 통해서 모델의 적용에 주의를 기해야할 해당 입력변수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 PDF

원적외선 가열에 의한 농산물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by Infrared Hea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 상희선;배내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7-55
    • /
    • 2005
  • Infrared heating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for processes such as dehydration of food industrial. This heating method involves the application of radiation in the wavelength range of 2 to 50 micrometers. In this work, simultaneous heat balance equations were developed to simulate the infrared radiation hea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equations assume that moisture diffuses to the outer boundaries of the material in liquid form and evaporation occurs at the surfa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Energy for moisture evaporation is supplied by the infrared radiant energy. The optimum temperature and drying time for the best drying conditions of changing the red peppers with the moisture content of 18% and the restore rate of 80~85% are $80^{\circ}C$ and 44 hours. The performance of radiation tubes coating with the radiation paint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the energy of $2.27{\times}103W/m^2{\mu}m$, $150^{\circ}C$ within the scope of radiation wave length of $2{\sim}30{\mu}m$ and has the radiation 0.92~0.93, which is superior to the general radiation tubes. The extin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band pass filter using the 4 flux theory ha higher dependability on wave length, accounting for $2{\sim}17{\mu}m$ and $5{\times}105{\sim}106m-1$. A comparison between the theoretical energy transfer whose figures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4 flux theory and the experimental energy transfer of far infrared dryer leads to the findings of the agreement less than 5%.

  • PDF

Measurement of Aerosol Parameters with Altitude by Using Two Wavelength Rotational Raman Signals

  • Song, Im-Kang;Kim, Yong-Gi;Baik, Sung-Hoon;Park, Seung-Kyu;Cha, Hyung-Ki;Choi, Sung-Chul;Chung, Chin-Man;Kim, Duk-Hyeo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3호
    • /
    • pp.221-227
    • /
    • 2010
  • Aerosol size distribution provides good information for predicting weather changes and understanding cloud formation.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backscattering coefficient are measured by many scientists, but these parameters depend not only on aerosol size but on aerosol concentrations. An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aerosol parameters such as ${\AA}$ngstr$\ddot{o}$m exponent, color ratio, and LIDAR ratio without any assumptions by using two wavelength rotational Raman LIDAR signals. These parameters are good indicators for the aerosol size. And we can find ${\AA}$ngstr$\ddot{o}$m exponent, color ratio, and LIDAR ratio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AA}$ngstr$\ddot{o}$m exponent has an inverse relationship to the particle size of the aerosol and the color ratio is linearly dependent on the aerosol size. An ${\AA}$ngstr$\ddot{o}$m exponent from 1.2 to 3.1, a color ratio from 0.28 to 1.04, and a LIDAR ratio 66.9 sr at 355 nm and 32.6 sr at 532 nm near the cloud were obtained.

광해에 따른 밤하늘의 밝기 변화를 중심으로 본 천문 관측 환경 (Astronomical Observation Environment Study focusing on Night Sky Brightness Variation under Light Pollution)

  • 이진희;최승언;정재훈;우홍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4-353
    • /
    • 2009
  • 광해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대 사범대학 주변 밤하늘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표준성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소광 계수 및 영점 상수를 구한 결과, 2009년 1월 28일에는 소광계수가 $k_B$=0.359, 영점상수는 $C_B$=4.397이 었고, 2009년 3월 27일에는 소광계수가 $k_B$=0.896, $k_V$=0.725, 영점상수는 $C_B$=6.235, $C_V$=6.027이었다. 밤하늘의 밝기는 동, 서, 남, 북 네 방위에 대해 고도 $20^{\circ}$, $40^{\circ}$, $60^{\circ}$, $75^{\circ}$, $90^{\circ}$에서 측정하였다. IRAF를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측광한 결과, 1월 28일의 시상은 평균 5.1"였고 3월 27일은 5.7"이었다. 밤하늘의 등급은 방위 및 고도에 따라 $16{\leq}m_V$, $m_B{\leq}18$이었다. 도심 방향의 밤하늘 밝기는 어두운 지역에 비해 2-4정도 밝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측 조건에서 구경 40cm인 망원경을 통해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한계 등급은 밤하늘의 밝기 정도에 따라 대략 11-13등급이다. 1월과 3월의 밤하늘 밝기를 비교해 본 결과, B필터에서 1월이 3월에 비해 1등급 정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