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way service area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유동인구 빅데이터 기반 고속도로 휴게소 혼잡지표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gestion Index for Expressway Service Areas Based on Floating Population Big Data)

  • 김해;이환필;권철우;박성호;박상민;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9-111
    • /
    • 2018
  • 고속도로 휴게소는 효율적인 고속도로 운영과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매우 중요한 시설로서 운전자에게 사전에 휴게소에 대한 혼잡 정도를 알려줌으로써 휴게소 이용객이 적절히 분산되도록 관리하는 교통운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휴게소 이용인원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집장치와 데이터의 부재로 인하여 휴게소에 대한 혼잡도 측정과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사의 휴대폰 기반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휴게소 혼잡지표를 개발하였다. 휴게소 혼잡지표로 '휴게소 밀도'와 '휴게소 유동인구 V/c', 두 가지를 대안으로 개발하였으며, 이 중 이해하기 쉽고 용량의 비교가 가능한 '휴게소 유동인구 V/c'를 휴게소 혼잡지표로 최종 선정하였다. 이용객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휴게소 혼잡도 등급은 '여유', '약간혼잡', '혼잡'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이용자측면의 고속도로 휴게소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Servic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xpressway Service Areas on the Side of Users)

  • 원제무;진원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21-427
    • /
    • 2012
  •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고속도로 노선별 휴게소의 서비스를 평가하고 향후 모니터링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휴게소 이용자들의 필요성, 시대여건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측면에서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지표 개발방향을 정립한 후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용자 설문인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는 환경시설 측면(0.35), 위치 측면(0.33), 위생적 측면(0.32) 순으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성적인 인자가 함께 고려되어 실질적인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가 가능하고, 스파이더맵을 통한 고속도로 휴게소별 맞춤형 휴게소 향상 방향 제시 및 향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궤적자료를 활용한 통행행태 기반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 확률 모형 개발 (The Utilization Probability Model of Expressway Service Area based on Individual Travel Behaviors Using Vehicle Trajectory Data)

  • 방대환;이영인;장현호;한동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3-75
    • /
    • 2018
  • 휴게소는 장거리 운전자나 졸음 운전자가 충분히 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휴게소의 적절한 위치 선정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정확한 수요 예측과 이용자 통행 행태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서 RSE를 통해 수집되는 DSRC자료를 이용하여 안성휴게소(상행)를 이용하는 휴게소 이용자의 통행 행태를 분석하였으며, 통행행태지표를 토대로 휴게소 이용 확률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안성 휴게소(상행) 이용 행태는 통행시간이 평일 90분 이상, 주말 70분 이상일때 가장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휴게소부터 통행종료까지 남은 거리가 30km 이하일 때, 휴게소 이용률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휴게소 이용 확률 모형을 통해 추정된 휴게소 이용률은 실이용률과 1~2%오차가 발생했다. 본 연구 결과는 정형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휴게소 이용 행태를 분석한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휴게소 이용차량 분별방법론과 개별휴게소이용확률 모형 개발방법은 향후 휴게소 입지선정과 이용자의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차별화 전략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의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xpressway Service Areas From Users Point of View)

  • 김형규;최형선;박완용;원제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1-130
    • /
    • 2012
  •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시설 이용자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고속도로 노선별 휴게소를 평가하고 향후 모니터링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개발방향은 휴게소 이용자들의 필요성, 시대여건 반영, 종합 평가지표 구축, 관련연구 검토와 같이 크게 4가지 관점으로 정립한 후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의 적합성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용자 설문인 AHP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평가항목 중요도 분석결과는 시설물 측면(0.31), 서비스 측면(0.29), 운영적 측면(0.21), 환경적 측면(0.19)순으로 가중치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량적, 정성적인 인자가 함께 고려되어 실질적인 고속도로 휴게소 평가가 가능하고, 휴게소별 맞춤형 휴게소 향상 방향 제시 및 향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적정 규모산정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er Size of Expressway Service Area)

  • 최윤혁;백승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8
    • /
    • 2009
  • 2008년 현재, 고속도로에는 135개소의 휴게소가 이용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일부 휴게소는 주차면수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휴게소 이용특성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차종별 특성만을 고려하여 일괄적으로 휴게소의 규모를 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휴게소의 차종별, 시간별, 공간별 이용특성을 살펴보고, 적정한 휴게소 규모산정계수를 찾고자 하였다. 2004년에 실시한 고속도로 부대시설 이용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휴게소 이용특성 및 공간특성을 분석한 결과, 휴게소의 이용특성은 주야별, 차종별 각각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주야별 차종별로 이용률, 혼잡율을 세분화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분화된 휴게소 규모산정계수를 제시하였으며, 적정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방식의 주차면수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 이원명;한봉호;김종엽;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63-76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에 설치된 고속도로 휴게소 5개소를 대상으로 휴게소 공간 및 환경 특성,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휴게소 조경공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 및 환경 특성에서는 토지이용, 녹지 배치, 토지피복과 환경영향 요인으로 소음 현황, 분리녹지대 지형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식재현황에서는 식재개념, 식재구조, 식생경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현황은 건물 등 시설지가 81.6%, 녹지는 18.4%이었으며, 녹지는 경관공간 5.4%, 완충공간 9.1%, 녹음공간 0.7%이었다. 녹지 배치는 분리녹지대, 건물 좌 우측, 진 출입부, 휴게소 건물 후면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다. 토지피복 현황으로 평균 불투수포장율은 79.3%, 평균 투수포장율은 20.7%이었다. 소음 측정 결과는 소음원인 고속도로와 휴게소의 배치, 분리녹지대의 유형 및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재개념 현황은 경관식재 6.7%, 기타녹지 3.4%, 완충식재 4.6%, 완충+경관식재 2.0%, 녹음식재 1.1%, 경관+녹음식재 0.5%로 조경공간 대부분이 감상을 위한 공간 위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이용자의 휴식, 위락 공간 등 적극적 이용 가능 공간은 부족하였다. 식재구조는 교목층식재 52.2%, 관목층식재 11.8%, 교목층+관목층식재 9.4%로 대부분 단층구조이었다. 식생경관은 조사지점에 따라 식재밀도, 식재구조, 생육상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은 기반환경 개선, 공간기능 개선, 식재기능 개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휴게소 소음 개선을 위한 분리녹지대 기능 강화, 물순환 체계 개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개선은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건물 좌우측에 조성되는 녹지를 건물 전면에 배치하는 휴게공간 배치 개선과 주차장 내 녹지섬 조성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및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식재 및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재기능에서는 분리녹지대 완충기능 강화를 위하여 다층형 수림대 조성, 외곽녹지 완충기능 확보를 위한 상록교목+낙엽교목+관목층의 식재구조를 제시하였다. 건물 전면과 이용 선호도가 높은 건물 좌측공간에 녹음공간을 조성하고, 주제 설정을 통한 경관공간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통계 기법을 활용한 안전성능함수 개발 및 비교 연구 : 트럼펫형 램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xploration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Using Multiple Modeling Techniques : Trumpet Ramps)

  • 양삼규;박준영;권경주;이현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5-44
    • /
    • 2021
  • 최근 고속도로 본선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으나, 램프와 같이 본선 외 구간에 대한 교통안전을 다루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5년(2015년~2019년)동안 램프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6,717건으로 이는 전체 고속도로 사고의 약 15%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램프구간에 대해 보다 정확한 사고 예측 모형을 제공하기 위해 포아송 감마(PG)와 포아송 역가우스(PIG)와 같은 다양한 통계 분포를 비롯하여 랜덤효과와 같은 기법을 적용하여 Simple 및 Full SPF를 구축하고 비교하였다. 교통 및 도로 기하구조 데이터는 로드뷰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PIG 모형은 일반적으로 더 정확한 사고 예측을 제시하며, Simpe SPF와 Full SPF 모두에서 임의효과 모형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통실무자들에게 정확한 사고 예측 모형을 기반으로 램프구간 교통안전을 증대시키고 이해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한국도로공사 VOC 데이터를 이용한 토픽 모형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a Topic Model on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s VOC Data)

  • 김지원;박상민;박성호;정하림;윤일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3
    • /
    • 2020
  • Recently, 80% of big data consists of unstructured text data.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documents are stored in the form of large-scale unstructured document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blogs, news, etc., and the importance of unstructured data is highlighted. As the possibility of using unstructured data increases, various analysis techniques such as text mining have recently appeared. Therefore, in this study, topic model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s voice of customer (VOC) data that includes customer opinions and complaints. Currently, VOC data is divided into the business areas of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owever, the classified categories are often not accurate, and the ambiguous ones are classified as "other". Therefore, in order to use VOC data for efficient service improvement and the like,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assification method of VOC data is required.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wo approaches, including method using only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he most representative topic modeling technique, and a new method combining the LDA and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Word2vec.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egories of VOC data are relatively well classified when using the new method. Through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utilize it for service improvement.

고속도로 휴게소의 메뉴전략을 위한 외식서비스실태연구 (A Study on Foodservice Operation for a Menu Strategy in Expressway Rest Areas)

  • 배영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
    • /
    • 2012
  • 고속도로 휴게소의 메뉴전략을 위한 실증적 재조명을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 직원들과 이용객 대상으로 외식서비스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휴게소의 주된 외식 메뉴는 평균 10-30개 정도의 한식이 가장 많았고, 브랜드업체의 입점 필요성은 퓨전/패스트푸드업체, 스낵/즉석식품, 음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휴게소 외식조리에서 전문조리사 참여비율은 10-30%이고, 주로 한식으로서 조리 시 중요시하는 음식속성은 주로 '맛'이었다. 외국인 고객은 한식, 음료. 일식/중식보다 퓨전패스트, 스낵/즉석식품을 더 선호하고 관심을 보였으며, 주문 시 질문을 '전혀 안한다(55.5%)'와 '가끔 한다(34.8%)'로 답해 질문없이 구매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휴게소에서는 외국인의 메뉴 이해를 위해 메뉴의 80-100% 정도를 사진/그림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나 메뉴의 외국어 표기 정확도는 매우 낮았다. 휴게소 이용객들은 고속도로 이용 시 평균이용횟수 1-2회, 평균 체류시간 10-20분(43.6%), 20-30분(38.6%)이고, 주된 교통수단은 자가용(77.7%)이며, 휴게소 방문 이유는 휴식/화장실 이용(61.1%)이 가장 높았다. 많이 이용하는 외식분야는 한식(32.7%)과 즉석/스낵(33.0%)이고, 1회 평균 지출은 5천원-1만원(51.3%), 3천원-5천원(25.8%)이었다. 또한 만족도는 성별, 연령, 교육정도와 직업에 무관하게 "보통"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보아 고속도로 휴게소는 문제점을 분석 후 고객만족을 위한 메뉴전략과 대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 PDF

대도시권 대중교통 사각지대 통행자들의 수단선택 모형 개발 - 급행버스 노선 도입에 따른 선호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Mode Choice Analysis of Blind Spot Areas for Public Transportation in Four Metropolitan Citie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565-569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4개 대도시권역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서비스가 열악한 대중교통사각지역을 선정한 후 이들 지역간을 운행하는 새로운 급행대중교통수단 도입 시 기성 시가지내 통행자들과 수단선택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기위해 SP 조사(stated preference survey)를 통한 수단선택 행태변화에 대해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중교통사각지대는 잠재 대중교통수요가 많아 기성시가지에 비해 자가용통행으로부터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전환하는 통행전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도시권 외곽 순환도로 혹은 외곽지역에서 도심지역으로 연결되는 간선도로를 활용한 새로운 급행 대중교통체계 도입시 수요변화 평가와 외곽지역의 대중교통 잠재수요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