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tise of teacher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6초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Job Performance)

  • 정문경;양경희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59-70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SPP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적 지식과 이해, 기술, 태도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에 대한 수준이 높았으며, 전문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자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 유형별에 맞는 운영 방안을 개발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육관련 행정기관이나 지자체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보육교사 전문성과 직무성과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교육, 연수 및 워크샵 등을 실시하여 보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바람직한 전문성 및 효율적인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어린이집 전문성 수준의 증진 방안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경력단절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경험과 의미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Assistant Teachers Taking a Career Break)

  • 최현정;정연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9-7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take a career break while working in daycare center as a teacher assistant. Methods: Seven assistant teachers and two child care teachers who took more than two years of career break were selected and given in-depth interviews over 17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2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an assistant teacher because it was time to for a change. Second, while working as a teacher assistant, they had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in the process of career transition while playing the role as a teacher in daycare centers. Third, they also had some difficulties in conflict and some needs to build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as a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is expected to give insight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need for a career transition as teacher assistant and to provide important data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수학교육에 대한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A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 김소민;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423-44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수학교육 계획 및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수학교육 실태와 수학교사들의 인식조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 안 수학교육 현황에 대한 기본 정보와 함께, 교사의 수학수업 개선과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및 환경 지원, ICT 및 공학도구 활용 관련 재교육 실시, 학교 관리자 대상 수학교육 인식 전환 교육 지원,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과 적극적인 교구 활용 방안 마련,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지원 방안 마련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 김희경;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 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 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 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 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 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등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 설계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Lesson Design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최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59-72
    • /
    • 2022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과제 개발과 이를 기반한 수업 설계의 중요성을 생각하여,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내재된 인식을 바탕으로 그들이 설계한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는 주로 개념 활용 학습을 목적으로, 실생활 맥락의 소재를 활용한 적정량의 정보를 제시한 다소 구조화된 형태로, 이해, 의미, 개념과 연결이 있는 절차적 과정이 필요한 인지적 요구수준으로 개발된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계한 수업은 대부분이 준비 활동, 모델 도출 활동, 모델 탐험 활동만을 유도한 경향이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 조은별;이선영;신종호;홍윤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노티싱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teachers' noticing in fraction division lessons)

  • 선우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24
  •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수학 교사 교육 연구에서는 주로 예비교사의 노티싱을 조사한 사례가 많은 반면에 전문성을 갖춘 현직교사의 노티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을 갖춘 현직 초등교사들의 노티싱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초등수학교육 전공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23인에게 (진분수)÷(자연수)의 원리를 지도하는 수학 수업 영상 한 차시를 시청하며 분석지를 작성하게 했고, 그 결과를 주목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의 측면으로 자세히 분석했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분수의 나눗셈 수업에서 수학적으로 중요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주목하였고, 분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원리를 토대로 자신이 주목한 현상을 해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구체적인 교수학적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직교사의 노티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ransforming mathematics education with AI: Innovations, implementations, and insights

  • Sheunghyun Yeo;Jewoong Moon;Dong-Joong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387-392
    • /
    • 2024
  •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advanced as a means for promoting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cademic achievement,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From a total of 13 studies in this special issue, this editorial reveals threads of potential and future directions to advance mathematics education with the integration of AI. We generated five themes as follows: (1) using ChatGPT for learning mathematical content, (2) automated grading systems, (3) statistical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4) integration of AI and digital technology into mathematics lessons and resources, and (5) teachers' perceptions of AI education. These themes elaborate on the benefits and opportunities of integrating AI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addition, the themes suggest practical implementations of AI for develop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teachers' expertise.

수학영재 수업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 박광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655-679
    • /
    • 2010
  • 본 연구는 수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수학습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학영재 수업 사례를 주로 Flanders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과 TIMSS 비디오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학영재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수업 질적 제고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반성적 성찰의 계기가 되어 더 나은 교사로서의 삶을 계획하고 영재수업 전문가로서 발돋움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