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 and practice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1초

교각형상에 따른 국부세굴범위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couring Range according to Bridge Pier Shape)

  • 이갑용;최성녕;최성욱;박무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77-480
    • /
    • 2008
  • Hydraulic experiment was executed to identify the souring range of bride pier. The experiment categorized three kind of bridge pier shape, that is composed of circle shape, square shape and the special shape. Measured scouring data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by empirical CSU formula which was generally used in practice. As empirical formula could not consider backfill, measured scouring range is by far smaller than results of CSU formula. Therefore in case of design anti-scouring structur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overestimation in case of using empirical formula.

  • PDF

실습 수업에서 일부 치기공과 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for some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practice teaching)

  • 강월;김임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8-25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blended learning is worth alternating with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for some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practice teaching. Methods: A total of 68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mpare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The experiment had been carried out over 15 weeks. The following tests were performed: test of instructional quality, test of learning satisfaction, tes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test of learning flow. The IBM SPS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useful of blended learning by student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s of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and those of blended learning (p<0.05). Conclusion: Blended learning i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for some dental technology students in practice teaching.

휨지배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에너지 소산능력 평가방법 (Simplified Method for Estimating Energy-Dissipation Capacity of Flexure-Dominant RC Members)

  • 엄태성;박홍근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7-305
    • /
    • 2002
  • As advanced earthquake analysis/design methods such as the nonlinear static analysis are developed, it is required to estimate precisely the cycl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that is characterized by strength, deformability, and capacity of energy dissipation. However, currently, estimation of energy dissipation depends on empirical equations that are not sufficiently accurate, or experiment and sophisticated numerical analysis which are difficult to use in practice. In the present study,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flexure-dominant RC members under cyclic load. The effects of axial force, arrangement of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ement ratio on the cyclic behavior were studi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 simplified method to estimate the capacity of energy dissipation was proposed, and it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finite element analyses and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can estimate the energy dissipation of RC members more precisely than currently used empirical equations, and it is easily applicable in practice.

  • PDF

실천공학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연구 (A Curriculum Enhancement Research for Practical Engineers)

  • 장윤상;오창헌;하준홍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2-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설계교과과정 및 HRD교과과정의 체계 및 운영, 실험 실습의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 "현장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및 교육방법 개선", '실험 실습 교과과정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경험학습에 기초한 설계교과과정과 HRD교과과정과의 통합적인 운영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교과목을 위한 PBL 교수학습모형의 설계와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for Computer Network)

  • 서두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17-2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네트워크 실습 교과목을 대상으로 한 전문대학 학습자에 적합한 PBL 교수 학습 모형의 설계 및 구현을 다룬다. 설계된 교수학습 모형은 대덕대학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PBL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PBL 학습을 통해 문제 체계적으로 진행된 수업에 대한 만족을 나타냈으며 과제 해결을 위해 자료와 도구를 적절히 이용하는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협동학습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를 학습자의 수업평가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Cultural Management to Control Weedy Rice in Paddy Field

  • Kim, Sang-Yeol;Son, Yang;Park, Sung-Tae;Kim, Ho-Ye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2-236
    • /
    • 2000
  •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for weedy rice in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occurrence patterns of weedy rice as influenced by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such as cultivation method, water management, seeding time, and tillage were investigated in field or pot experiments. High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observed in a continuous direct seeding paddy field as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ed one. Based on the percent of weedy rice panicle over three years trial, high ridged dry seeding was highest with 36.9%, followed by wet seeding with 30.9%, water seeding with 14.6% and machine transplanting rice with 0.8%, indicating 97.8% reduction in weedy rice occurrence by machine transplanting rice as compared with high ridged dry seeding. Germination of weedy rice was promoted to 83-94 % when rice panicle was flood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0 for 6 days and 74-88% for 9 days on October 20. Weedy rice occurrence was also substantially reduced by delayed seeding on June 10 and intensive tillage. The results suggest that machine transplanting rice be more effective cultural practice than flooding treatment, delayed seeding and intensive tillage when weedy rice problem occurs in direct seeded paddy field.

  • PDF

벼 담수표면직파 재배시 중간낙수 회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Times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Plant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백남현;김상수;박홍규;신현탁;조수연;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2-728
    • /
    • 1997
  •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물관리 방법이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4~1995년까지 3개년에 걸쳐 호남농업시험장 시험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중간낙수회수를 달리하여 생육 및 도복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상시담수보다 초장과 간장이 단축되었고 $m^2$당 최고 분벽수, 수수는 적어졌다. 2.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토양경도가 높았고, 뿌리량이 많았으며 뿌리의 심층분도 비율도 높은 경향이었다. 3.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 생체중, 모멘트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져 도복지수가 낮아졌으며, 포장도복도 경감되었다. 4.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등숙비율 및 1,000 입중이 증가되었고, 쌀수량은 상시담수에서 보다 8~9%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는 중간낙수를 2~3회 실시하는 것이 도복경감, 수량증대 및 미질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물관리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관찰과 재현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들의 가치지향점 -객관성을 중심으로-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alue Orientation Related to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Focus on Objectivity)

  • 신세인;이준기;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17-628
    • /
    • 2016
  • 과학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실천(practice) 과정에는 다양한 암묵적 지식이 존재한다. 교사는 이 암묵적 지식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는데 있어 자신의 과학에 대한 가치지향점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미경 세포 관찰 실험 상황에서 관찰 및 이미지 재현이라는 과학적 실천의 지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들의 가치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관찰행동의 가장 큰 지향점인 객관성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50명에게 현미경 세포 관찰 실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게 하였고, 서술한 자료들은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그 결과 존재의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서 관찰을 인식하는 '존재 확인 지향', 관찰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계적 객관성 지향', 관찰의 주관적 성격을 인정하는 '학생의 주관성 지향', 관찰 대상과 표본 제작 및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공적 산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중시하는 '훈련된 판단 지향'의 4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기계적 객관성 지향' 유형이 예비 생물교사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 객관성이 관찰과 이미지 재현 행위에 대해 중요한 신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실험과 그 실험에 매개된 암묵적 지식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다양한 가치지향점이 반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의 과학적 실천에 대한 이러한 가치지향점은 학생들의 지도행위와 평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앞으로 교사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유지작물의 기상재해와 피해 경감 대책 (Meteorological Disasters and Damage Reducing Strategies in Oilseed Crops)

  • 이봉호;방진기;박희운;이정일;박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5-458
    • /
    • 1991
  • 유지작물의 안전 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해 지금까지 유지작물에 발생되는 주요 기상재해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종합 고찰하였다 유지작물에 발생되는 주요 기상재해는 타작물에서와 같이 냉해나 한해와 같은 온도에 의한 장해, 습해나 도복과 같은 풍수해, 그리고 기타재해 등 각종 재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있다. 그러나 유지작물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주요작물에 비해 비중이 낮고 재배면적도 적어 비중이 낮게 취급된 관계로 각종 재해에 대한 정확한 피해정도나 재해경감 대책이 밝혀지지 많은 부분이 많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지금까지 조사 보고된 결과들 중에서는 참깨와 땅콩에 대한 결과들이 많고 그 중에서도 침관수해, 한충해, 도복피해 등 풍수해에 대한 연구결과가 많으며 이 같은 재해들은 피해정도도 매우 큰 것으로 보고되어 심한 경우는 90%이상의 수량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재해에 대한 피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품종개량 면에서 각종 재해에 대한 내성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재배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재해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이나 비닐멀칭재배법 등과 같이 기상재해의 사전예방 기술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농산물유입 개방화에 따른 다품목 소량재배 추세와 다양한 식품의 안정적 생산공급 측면에서 점차 비중이 높아가고 있는 유서 작물의 안전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품종개량과 재배기술 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기상재해 경감대책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