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avated relics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임당동 고분출토 금동관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GOLD CROWN EXCAVATED FROM IMDANG-DONG TOMB)

  • 이오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7호
    • /
    • pp.48-55
    • /
    • 1986
  • The gold crown unearthed from the ancient tombs at Imdang-dong, Kyongsan-gun, Kyongsangbuk-do was in a state of severe corrosion that its original pattern couldn't be identified. Therefor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relics, the following methods are employed :1. With 10% formic acid are used for the elimination of the bronze-rust and then plated them with gold.2. As a rust-proof treatment, 1% Benzotriazole is used for stem corrosion as well3. For prote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urface of the relics, 30% incralac agentsare used.4. Pieces of fragments are bonded together by cyanoacrylate and on the backside are coated partially with Araldite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glass-wool.5. Silica-gels are kept into the acryl box for perfect maintenance.

  • PDF

군산 십이동파도 해저출토 목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Materials and Grasses Excavated Seabed from Sibidongpado, Gunsan)

  • 윤용희;양순석;문환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63-82
    • /
    • 2006
  • We conducted species identification on the wooden materials of 10 pieces and grasses which come out from the seabed relics in Sibidongpado, Gunsan. This site is presumed to date from the Goryeo's relics. Species identification show that pieces of ship are pinus(4 pieces), ulmus(1 piece), platcarya(1 piece). Lepidobalanus(2 pieces), platcarya(2 pieces) came out from the others. Grasses are located between ceramics that were piled up. Grasses are supposed to be Phragmites Trin.

  • PDF

전남 고흥 안동고분 출토유물수습-우레탄 붕대와 변성폴리이소프렌수지를 이용한 수습방법 중심으로 (The report on the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for excavated relics at the YanDong Tomb in Goheung)

  • 함철희;김지영;황진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215-226
    • /
    • 2006
  • In the field conservation treatment, it is important that the method chosen to lift an object out of the ground depends on its surrounding weather, strength, size, composition, and condition. This paper describes a physical support(Urethane bandage, De naturation - polyisoprene resin) created for lifting delicate relics in this field. The advantage of Urethane bandage method is of conveniently portable size, and it's convenient for use, while curing time is very fast.(approx. 5~10minute)Denaturation -polyisoprene resin is able to be soft by the hot water(approx. $60^{\circ}C$ ). so it's good to stick to the relic surface of an indeterminate form. The results of use of these reinforcement methods are of utility value.

  • PDF

청동 무기류의 성분조성 및 미세조직을 통한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by Analysis of Compositions and Microtexture for Korean Bronze Weapons)

  • 황진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1호
    • /
    • pp.141-154
    • /
    • 2010
  • Many bronze artifacts have been excavated and preserved through conservation treatments in Korea but the analysis on artifacts was regarded as destruction of artifacts from the academic world of archaeology, Therefore, it is not so available to perform research on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ances by with qualified analysis. Accordingly, there were only a few study cases about quality properties and production techniques But recently gradual change started to appear from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the scientific approach to excavated artifacts. While Korean ancestors already had applied the different alloying ratios according to the use and shape of bronze artifacts, the analysis and study have been restrictedly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as only a few analysis cases on a small minority of artifacts because they are the ancient relics, which made it hard to understand the bronze artifacts more deeply. This study researched into components rate, production techniques and hardness of bronze weapons such as a bronze sword and compared their alloying ratios with those of Chinese old records (周禮考工記, 金之六齊).

  • PDF

공주 수촌리 출토 칠기 칼집의 보존 (Conservation of the Lacquered Sheath Excavated from Soochon-ri, Gongju, Korea)

  • 이용희;연정아;박정혜;김수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1-5
    • /
    • 2013
  • 공주박물관에서 의뢰한 공주 수촌리 출토 봉상의 칠기 칼집을 보존처리 및 분석을 하였다. 이 칠기는 철제유물들과 일괄 수습되었다. 전체적으로 외압에 의해 파손되어 있었으며 일부 칠기 편은 철 산화물에 부착되어 있고 손실된 부분도 있었다. 먼저 X-ray 촬영을 통해 함께 출토된 금속구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칠 도막에 대한 분석을 하여 제작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후 보존처리를 하여 원래의 형태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보관 및 전시를 위한 보호틀을 제작하였다.

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Study of the method of production of excavated arrow bundle and its conservation treatment)

  • 이병훈;최보배;허일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9-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아우라지 유적 청동기 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화살다발의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 과정을 서술하였다. 화살은 화살촉과 화살대 부분으로 이루어진 유물이며, 화살대는 유기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살대가 화살촉과 함께 완형으로 발굴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특히 정선 아우라지 화살다발은 무경식석촉과 탄화된 화살대가 결구된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으며, 나무의 끝을 갈라 화살촉에 끼워 넣는 방식이 확인된 중요한 사례이다. 정선 아우라지 화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미경 조사, 화살대 수종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촉의 마연흔을 통해 가공순서 및 방향, 도구의 입자 크기 등을 알 수 있었으며, 화살대 수종분석 결과 3년생 버드나무속(Salix spp.) 어린가지로 추정되었다. 현장에서의 경화처리 과정 중 경화제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방수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약품을 사용하였고, 응급수습방법으로 'Bridge'법을 사용하였다. 보존처리실로 이관한 후 바닥면 작업을 위해 유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보강재를 선정하는데 신중히 하였다. 보강재로는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으며, 물성이 우수한 인조점토를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물 접합 및 정리 작업 후 바닥면을 에폭시수지로 마무리 한 후 박물관에 전시하였다.

6·25전쟁 전사자 유품의 과학적 보존: 지상작전사령부 소장 지역유품 중심으로 (Scientific Preservation of the Relics left by the Fallen Heroes of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Local Relics Kept by the Ground Operations Command)

  • 박민선;오승준;이호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3
    • /
    • 2022
  • 국방부 유해발굴단을 통해 발굴된 지역 유품 중 지상작전 사령부 전시관에 소장된 7건(정화제병, 독수리문양 단추, 계급장, 반합, M1 Grand-총기손질도구, 카빈완탄, 탄통)의 6·25 전사자 유품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FT-IR 분석 결과 정화제병 내부 잔존물이 Trisodium phosphate와 유사 스펙트럼으로 확인되어 전쟁 시 식수 및 식품 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3차원 디지털 촬영기법을 통해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운 탄통의 각인된 명문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미경 및 육안 관찰 등을 기초로 한 상태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을 수립하고 안정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전쟁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의 신라고분조사연구에 대한 검토 (An Study on Cognition and Investigation of Silla Tumuli in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 차순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95-130
    • /
    • 2006
  • 근대 초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세키노 타다시(關野貞)를 비롯한 일본인 관학파 연구자들은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적 전반에 대한 조사연구와 자료수집활동을 했다. 이들은 초기에는 메이지정부의 지원을 받았고 한국이 식민지화된 이후에는 조선총독부와 유관기관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고고, 미술, 건축, 인류학, 민속학 등 전 분야에 걸친 조사를 하였다. 이들이 신라고분을 비롯한 한국의 문화유산을 조사한 목적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필요한 자료를 찾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지역적으로 편중되고 왜곡된 시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1886년부터 한국의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관심을 가진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방한 조사가 계속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1904년 세키노가 한국에서 조사한 건축조사 보고서인 "한국건축조사보고(韓國建築調査報告)"에는 오릉을 비롯한 여러 고분에 대한 내용이 간단하게 소개되었고, 1906년에는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최초로 소금강산에 위치한 '북산고분(北山古墳)'과 황남동 남총(南塚)에 대한 발굴조시를 한 후, 적석목곽분(積石木樹墳)과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의 구조에 대한 초보적인 인식이 이루어졌다. 1909년 건축학을 전공한 야츠이 세이이치(谷井第一)는 서악동 석침총(石枕塚) 발굴조사에서 작성한 석실의 평면도와 단면도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발굴조사에서 최초로 제작된 유구실측도면으로 수치가 표현된 점에서 이전의 스케치된 그림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또한 이후 발굴조사에서는 이러한 유구 실측도면의 작성은 계속 이어진다. 이마니시와 야쯔이는 신라고분의 입지적 특징, 분구의 형태와 규모, 출토유물 등에 대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은 서로 연대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조선총독부는 1916년에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과 "고적조사위원회규정"을 시행하고 고적조사위원회와 박물관협의회를 설치했다. 박물관이 활동하게 되면서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유적을 조사하는 사업들은 모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얻어야 됐다. 1921년에는 금관총(金冠塚)이, 1927년에는 서봉총(瑞鳳塚)이 각각 발굴조사되면서 경주의 대형 적석목곽분은 화려한 출토유물로 주목을 받게 되지만, 전국 각지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여러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 발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근 몇몇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서 미발간 보고서가 간행되었지만, 서봉총과 같이 중요한 고분들에 대한 보고서가 아직 출판되지 못한 점은 당시의 한계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노모리 켄(野守健)이 지적도를 기초로 제작한 경주고분 분포도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155기의 고분의 규모와 위치를 명기한 자료로 시내에 소재한 여러 고분의 전체 모습을 확인시켜준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1930년대부터 아리미츠 쿄이찌(有光敎一)와 사이토 타다시(齋藤忠)는 다수의 적석목곽분과 횡혈식석실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서 한 묘제에 여러 가지 형식의 분묘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복잡하게 중복된 모습으로 노출된 적석목곽분에 대한 발굴조사경험은 이전에 이루어진 발굴조사와 보고서간행 등에 있어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번에 지난 근대~일제강점기에 발굴조사된 신라고분에 대한 발굴조사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이때 조사된 여러 유적들에 대한 조사내용을 재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한국고고학사를 정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실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선원사지(禪源寺地)출토 지류 유물의 분석 및 보존 처리 방법 (Analysis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Paper Relics of the Seonwon Temple Area)

  • 임주희;박지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82
    • /
    • 2003
  • 사적 259호 선원사지(禪源寺地) 4차 발굴에서 출토된 지류(紙類) 유물들을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보존상황에 맞는 보존처리방법을 연구하였다. 지류(紙類) 유물이 펼쳐볼 수 없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보존처리 과정은 유물의 분리이고, 분리는 지류(紙類) 유물의 상태에 따라 분리방법을 달리하여 연구하였다. 건조한 상태의 유물 중에서 경화정도가 약한 것은 Gore-Tex chamber를 제작하여 분리하고, 경화정도가 강한 것은 여과수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젖은 상태의 유물은 진공동결건조방법을 통해서 분리하였다. 지류유물의 분석은 재료의 특징을 알기 위한 종이의 조사, 전자현미경과 SEM을 통한 섬유의 분석, X선 형광분석법(XRF)에 의한 글씨 재료를 분석하였다. 유물의 제작 연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가속기 질량 분석기에 의한 탄소연대측정을 하였다. 분석과 보존 처리 과정을 통하여 출토 유물의 분류가 되었고, 유물의 분류는 원형을 상실한 유물들의 원형보존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열악한 상태의 지류유물의 보존처리 방법의 적용을 제시해 보았고, 탄소연대측정을 통하여 자료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현 경주박물관 소장직물을 중심으로-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excavated from Chonmachong of Shilla Era - focused on the fabrics which are in the Kyongju Museum′s collection -)

  • 권영숙;조현혹;장현주;김종오
    • 복식
    • /
    • 제50권7호
    • /
    • pp.129-139
    • /
    • 2000
  • The Chonmachong (Tumulus No. 155 in Whangnam-dong, Kyungju, Korea), which was unearthed in 1973, is an ancient tomb built in the Shilla Era between the 5th∼6th centuries by the method of Juk-suk-mok-gwak. With the excavation of this tomb more than 11,500 articles of luxurious and splendid relics including gold and silver ornaments, weaponry and horse gears were obtained. Among the excavated articles, the saddle flap with a drawing of flying horse on it is the first relic of its kind from the Shilla Era. and 'Chonma'(a flying horse), the name of the tomb. was named after this drawing. The saddle flap is highly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the idea of how goad the people of Shilla were at drawing. Although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released about the relics from the Chonmachong,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abrics from the excavation, all of which are in the Kyongiu Museum's coll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inly on the fabrics used in horse gears, the pieces of cloth that were used to spread on a saddle or to underlay beneath a saddle. As the Shilla Dynasty tried to restrict excessive ornamentation on horses and it is assumed that the fabrics used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2. The subject articles are four plain fabrics, three fabrics of combined -construction and one braid, the warp-faced compound woven silks of combined-construction was found for the first tinge in Korea, and is the typical quality sick with patterns woven with dyed threads in different colors. 3. It is ascertained by the Chonmachong excavation that polychrome woven silk was used not only for the clothes of the upper classes but also for the ornaments of their horses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