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amination items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24초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유치치아우식증 관련요인 분석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진수;김효진;전홍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84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dental ca re for her children and their dental ca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 th the dental examination record of 365 children who showed the same number of questionnaires with those examined for dental conditions and questionnaires written by mothers among children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in Yeoncheon, Gyeonggi province in June 2004 to estimat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properties of subjects and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for her children by research items, to carry ou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ing Chi-square distribution for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to use decision tree analysis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for thos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or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attitudes for her children, 225 mothers(61.6%) confirmed their children's teeth-brushing; 278(76.2%) used no fluorine; and 286(78.6%) observed their children's teeth, 322 mothers(88.2%) instructed their children in teeth-brushing while 268 (73.4%) provided dental care, 232 mothers(63.7%) treated their children's cavity; 290(79.4%) believed that their children had good dental conditions; and 294(80.5%) answered that they began to provide their children with dental care in deciduous teeth. 2. As for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dental health care behavio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firmation after teeth-brushing, teeth observation, instruction in time for teeth-brushing, use of fluorine, cavity treatment, time for dental care, and perception of dental conditions(p<0.05). 3. As for cor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s, mothers who worked, who believed that their children didn't have good dental condition, and who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begin to provide dental care in permanent teeth were found to get their children to suffer from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Besides, those who failed to confirm teeth-brushing, who used no fluorine, and who failed to observe teeth and gave no instruction in time for teeth-brushing were shown to get their children to suffer from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4. Variabl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were classified by cavity treatment, mother's employment, time for dental care, and observation of children's teeth. The first node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was found to be cavity treatment; the next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fter cavity treatment were shown to be mother's employment and time for dental care. In case of children with no cavity, they were found to be mother's employment and teeth observation.

  • PDF

영동군민의 구강보건의식 행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ehavior on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aimed at the residents who lives in Yeoungdong-gun)

  • 최옥선;이승훈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69-47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oral disease and to improve the oral sanitation by investigating the behavior on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aimed at the residents who lives in the Yeongdong-gun, Choongbuk,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6th to September 27th of 2006 and surveyed aim at 176 persons of residents of Yeongdong-gu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e data of program development on the oral health education of sectional residents and can be reach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number of resid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oral health education takes possession of 67.5% for men and 48.4% for women, the path how to learn of oral health education holds 67.7% for men and 51.6% for women(p<0.001). In case of the cont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thodontics treatment is predominantly showed up as 60.2% for men and 44.2% for women(p<0.01). 2. The number of residents who has visited the dental clinics within 6 months holds 52.4% for men and 27.3% for women(p<0.01).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residents who has visited the dental clinics on the purpose of prevention(examination) of oral disease within 1 year, 'not experienced' showed up no differences as 52.4% for men and 57.6% for women. In case of the number of residents who has experienced prothodontic and conservative treatment, scaling is extremely much as 37.6% for men and 52.6% for women(p<0.05). 3. In case of brushing teeth, 2 times a day is the first rank of 52.3% on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and the time when brush your teeth aft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is 22.2%, 16.5% and 20.3% respectively. Below 2 minutes is 64.7% and over 3 minutes is 10.3% on how long do you brush your teeth. With regard to the method on how to brush teeth, `up, down & across' is the first rank of 35.2%. In case of utilization of oral hygiene utensils, the number of resident who is `not used' occupies 62.5%. 4. I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60.7% of residents replied that the cause of dental carious is the infection by the bacteri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oking and oral health, 50.5% of them replied `Not relevant' and 33.6% of them replied `Relevant'. The average point of the correct response rate of 9 items related with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is merely showed up as 3.39 point. Therefore, it shows up that the knowledge and education related with the prevention of oral disease is much deficient.

  • PDF

구취발생에 관여하는 구강내부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aoral factor related to oral malodor)

  • 정미애;이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131
    • /
    • 2008
  • This study was pe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ing factors and the production of each gas 01 oral malodor, to contribute the oral malodor control at dental clinic as well as to establish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malodor control project for public oral health program 127 patients from 20 to 40 years old who had been visited for preventive dental cares were participated for the study. Such items as caries status, periodontal status, salivary flow, viscosity, pH. Snyder test, plaque deposit and tongue plaque were checked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ontributing factors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Ammonia gas components were checked with Oral-Chroma and Attain, the oral malodor check units. Not only the corelation coefficiencies but also the multi-way variance analysis were calculated between each causing factor and each component of oral malodor gases to estimate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e oral malodor. 1.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ries status and each component pf the oral malodor such as sulfur compound or Ammonia, both in laboratory test and VAS test (pF0.05). It reveal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ydrogen sulfide and FT(rM-0.1904. pE0.05) as well as the VAS and FT (rM-0.210. pE0.05). S0, it was estimated that the less oral malador was recognized when caries state changed to filled state in Hydrogen sulfide laboratory test or VAS test 2. High relationship was showed between salivary flow and Hydrogen sulfide (rM-0.183, pM0.039), Methyl mercaptan(rM-0.234, p-0.008). Dimethyl sulfide(rM-0.234, pM0.008) and Ammonia(-0.361. pM0.001) gas(pE0.05). 3.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M-PHP(Modified-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and tong plaque all kinds of sulfide(rM0.249. pM0.005). Ammonia gas component(rM0.232, pM0.009). 4. It was found that considerable relationship was appeared between the periodontal status and Ammonia gas (rM0.274, pM0.002), so, it should be needed to control Ammonia. Such dental Cares as the prevention or early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nd the accelerating the salivary flow as well as reducing the amounts and activities of filament or spiral typed oral micro-organism were recommended for adults, not only for dental care program at the dental clinics but also for public health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file for individual and community peoples.

  • PDF

대학생 일상생활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ily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 박정혜;강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23-4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생활사건에 대해 개인의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구 개발과정은 DeVellis의 도구 개발 단계와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2020년 일 대학 재학생 1,242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무작위로 2개(A, B)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그룹의 표본 (N=620)으로 문항검사, 탐색적 요인분석, 다특성-다방법 행렬, 준거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한 후 B그룹의 표본(N=622)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재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3문항, 8개 하위요인의 최종 도구가 개발되었다. 최종 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MO 값은 0.92,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는 유의하였고(χ2=12532.42, p<.001), 초기 고유값 1.0 이상인 요인수는 8개, 누적 요인적재량은 71.5%, 각 문항의 공통성은 0.56 이상이었다. 신뢰도 검증에서도 도구 전체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0.94, 요인별로는 0.78~0.90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재검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 수준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독일의 특수교사 표준양성내용으로 본 한국의 과제 탐색 (A Study of Korea Tasks through Standard Contents of Special Teacher Training in Germany)

  • 남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53-84
    • /
    • 2018
  • 독일은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사회구성원들이 연대하여 교육을 위한 책무로 미래교육과 학교의 방향에 대한 협의 및 합의자리를 만들어 교사 및 특수교육 교사양성의 표준과 기준을 제시하며 최소요구이수내용으로 작성하여 권장하는데 이것이 한국의 특수교육교사 양성내용 표준화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교사 및 특수교사 표준양성내용을 한국의 특수학교교사 자격기준, 기본이수과목을 준거로 한 공립 특수학교 교사임용 선정경쟁 시험의 평가영역 및 세부내용, 그리고 2009년 개정고시된 후 세분화된 특수학교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미래교육과 학교 및 교원의 역할에 대해 사회구성원의 연대의식과 책임 및 의무감 조성 필요, 학교 재구조화 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수행능력 및 역량을 특수교육 교사양성 최소표준이수내용에 포함, 교사양성 표준이수내용에 각 주정부(지방 및 지역)의 특수성 고려, 교사양성 표준내용이 직전교사교육, 수습교사교육, 현직교사교육 단계에서 서로 연계 필요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회전체의 책임과 연대 아래 각 지역의 특수성과 시대 요구를 반영한 특수교육 교사양성내용이 전체(직전부터 현직까지) 직업 생애주의 교사양성과정에서 운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의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상관성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cognitive function in Korean older adults living in rural area)

  • 신예솜;최보율;김미경;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65-47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93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상태와 영양소 섭취량을 파악하고,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상관성을 밝혔다. 미국 IOM의 비타민 D 진단 기준에 따라 대상자는 결핍군 26명 (6.6%), 부족군 175명 (44.5%), 충분군 192명 (48.9%)으로 분류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세 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충분군에서 남성과 음주자 비율, 실외직 비율, 키, 체중이 가장 높았다. 모든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MMSE-KC의 총 점수는 충분군일수록 높았으며, 부분별로 지남력, 기억 등록, 집중력, 구성능력에서 충분군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인지기능 저하 비율은 결핍군 53.8%, 부족군 38.3%, 충분군 31.9%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다. 비타민 D 결핍군일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도가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들은 노화로 인해 피부의 합성능력이 저하되어 비타민 D가 결핍되기 쉬우므로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의 예방을 위해 육류, 생선, 버섯 및 유제품등의 비타민 D 급원 식품이나 보충제 섭취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는 비타민 D와 인지기능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코호트나 임상 연구가 요구된다.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요인분석 (Factors analysi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조은덕;김은솔;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in terms of physical, ment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From May 9 to June 23, 2017, we randomly visited aged-care community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recruited 222 elderly, aged 65 or older. First,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4 general items: 1 systematic disease, and 3 subjective oral conditions. Afterwards,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o assess their mental status, using MMSE-DS and recorded the responses. Finally, an oral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averag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and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mea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4.15. Participants with 20 or more remaining teeth demonstrated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19 or less teeth. High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also found among elderly without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dry mouth. In addi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dry mouth, were not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maining teeth,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educat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better policy support, an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elivered, elderly-center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by professionals to prevent tooth loss and manage periodontal diseases.

덕수궁 선원전(璿源殿)영역의 조경 복원정비 계획 (A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in the Seonwonjeon of the Deoksugung Palace)

  • 소현수;김미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
    • /
    • 2021
  • 대한제국 시기 경운궁에 부속된 왕실의 제례공간이었으나 현재 비어있는 덕수궁 선원전영역의 복원 사업으로서 조경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원형 고증과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원전영역에 있었던 전각 배후림의 원지형이 전각의 지반보다 3.0~5.0m 높아서 녹지 경계부에 화계를 설치하여 경관적으로 처리하였다. 둘째, 배후림은 제례에 사용하는 과실을 얻기 위한 유실수원과 제례공간을 상징하는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궁궐 방문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역(聖域)의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지 양쪽 끝에 휴게공간을 배치하고, 배후림 내에 산책로를 도입하였으며, 최소한의 조경시설로서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안내판, 휴게의자, 수목보호대, 경사로, 보행등·경관조명등을 도입하였다. 넷째, 문헌, 고회화, 사진 등 사료(史料) 고찰과 현장 조사로 궁궐과 제례공간의 기존 식재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원전영역 조경공간을 구성하는 전각 마당, 관람로와 휴게공간, 화계, 소나무림, 유실수원의 배식계획을 수립하였다.

국내외 외부공간의 지속가능성 인증지표 및 기준의 비교검토 - 물과 토양 및 식생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Review of Domestic & USA's Site Design Certification Index and Criteria for Sustainability - Focusing on Water & Soil+Vegetation Index -)

  • 전승훈;채수권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6호
    • /
    • pp.430-440
    • /
    • 2020
  • 본 연구는 미국 외부공간의 지속가능성 인증지표 가운데 물과 토양 및 식생 평가항목의 필수 및 핵심지표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관련 법 제도적 지침과 기준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함으로써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관련 내용과 절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외부공간의 지속가능성 인증시스템의 경우에 관련된 법제도적 지침 및 기준과 연계되어 있으나 시행의 절차는 민간차원의 독립된 평가시스템으로서 생태계 서비스의 핵심요소인 물과 토양+식생 평가항목의 경우 자연지반의 보전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물 순환 및 자생식물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표준화된 정량적 기준의 적용이 특징적이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차원의 법 제도적 절차에 따른 녹색건축의 인증기준의 한 부문으로서 생태면적율 제도는 인공녹지의 조성을 통한 어메니티자원 확보 차원, 그리고 물 순환관리시스템의 미흡 등으로 매우 제한된 역할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다양한 토지의 용도 및 개발사업 유형에 따른 물순환과 자연지반의 토양 및 식생의 조성관리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외부 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구축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의 타당화 연구: 초기 성인기를 중심으로 (The Validation of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Focusing on emerging adulthood)

  • 표소휘;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145-164
    • /
    • 2020
  • 본 연구는 진로적응모형의 진로적응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학생 진로구성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구성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대학생과 대학원생 집단의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였으며, 내적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고 진로관련 척도들과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총 294명의 연구참여자는 번안된 진로구성척도(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와 진로적응성 척도(Career Adaptability Scale) 및 진로정체성 척도를 온라인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125명의 참여자가 3개월 후 진로구성척도 설문에 같은 방식으로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18문항 4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측정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내적 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 역시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구성척도는 진로적응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 진로정체성의 탐색 및 몰입 차원과는 정적상관을, 재고 차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일차원의 진로정체성과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결과는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가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 모두에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