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polymerization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4초

Pioglitazone 가용화를 위한 PEG-PLA(PLGA) 고분자 미셀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G-PLA(PLGA) Micelles for Solubilization of Pioglitazone)

  • 임정혁;이용규;허강무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43-149
    • /
    • 2008
  • 생체적합성을 가진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PEG)블록과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PLA) 또는 poly(lactide-co-glycolide)(PLGA)를 소수성 블록으로 하는 양친성 이중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난용성 당뇨병 치료제인 pioglitazone의 가용화를 위한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였다. PEG 말단으로부터 LA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된 고분자의 화학적 조성과 분자량은 반응액 내 당량비로 조절하였고, 합성된 고분자는 수용액 상에서 $10{\sim}30\;nm$ 크기인 구형의 자기조립 미셀을 형성하였다($CMC=0.001{\sim}0.0076\;mg/mL$). 투석법과 고체분산법을 이용하여 약물을 봉입한 후 AFM, DLS, HPLC 분석을 통하여 미셀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PEG-PLA(또는 PLGA) 공중합체를 이용한 고체분산법을 통해 pioglitazone을 효과적으로 가용화시킬 수 있었다.

흰쥐의 섬유아세포 L-929를 이용한 새로운 Soft Contact Lens 소재의 생물안전성 검증 (Biosafety of the New Soft Contact Lens Materials in the Fibroblast L-929 Cell Line)

  • 유영현;남주형;김병길;김순복;문익재;김종필;서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5-79
    • /
    • 2009
  • In this study, we polymerized new materials for soft contact lens using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which is the based-monomer of soft contact lens,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s cross linkage agent, and the new additives of monoester or di-ester derived from itaconic acid commercially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of Asp. itaconicus. New polymer materials for soft contact lens were synthesized with the mixture of HEMA and mono- or diester at different ratios and presented to a good water content and oxygen transmissibility (Dk/L) values. In case of polymerization with HEMA and mono-ester (15%), the water content and oxygen transmissibility of contact lens were found to be good values at 57.6% and 28.5 Dk respectively. The mixture of HEMA and mono-ester is more excellent than HEMA/di-ester in the water content and oxygen transmissibility. The toxicity of new contact lens materials were confirmed in the fibroblast L-929 cell line using a agar overlay test and a growth inhibition test with the extract solution of contact lens.

인계 첨가제를 이용한 PMMA판재의 난연성 물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PMMA Sheet with Phosphorous Flame Retardant Additives)

  • 김용렬;임선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4-230
    • /
    • 2012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판재의 기존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비할로겐계 난연제인 인계 난연제를 단량체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괴상중합 하여 셀 주형 성형 법에 의하여 PMMA판재를 제조하였으며 난연제 함량에 따른 난연성, 가교제의 함량과 경화시간이 PMMA판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였다. 난연제 함량이 증가할 수록 탄화길이는 감소, 차르양은 많아지며 난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은 우수하였으나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가교제를 3 wt.% 사용하여 경도를 증가 시켰으며, 가교제 첨가에 의해서 경화시간을 3시간에서 2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PEG 마이크로 섬유 제조를 위한 마이크로플루이딕 제조방법 (In situ Microfluidic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Uniform PEG Microfiber)

  • 최창형;정재훈;이창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4호
    • /
    • pp.470-474
    • /
    • 2010
  • 본 연구는 간편한 마이크로플루이딕 칩을 이용하여 매우 균일한 PEG 마이크로섬유 제작방법을 소개한다. 두 섞이지 않는 상의 주입을 통하여, 연속상의 덮개유동(sheath flow)이 분산상의 안정된 늘어지는 유동(Elongated flow)을 형성하고 채널 내부에 자외선 조사를 통해 고분자 마이크로섬유가 형성되도록 한다. 안정된 마이크로 유동형성의 최적화를 위해 각 사용되는 분산상 유체의 부피유속과 케필러리 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안정된 유동영역에서 형성된 마이크로섬유는 매우 균일하며 재현성이 우수하다. 중요하게는 부피제어를 통해 마이크로섬유의 두께 제어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두께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얻어진 마이크로섬유에 물리적으로 생체물질을 고정화하여 바이오센서 및 조직공학에서 적용 가능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orbitol이 결합된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acrylic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Sorbitol)

  • 김공수;신재섭;문용운;이광용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36-144
    • /
    • 1996
  • 역상현탁 중합방법으로 sodium acrylate 및 아크릴산을 모노머로 사용하고 분산제로는 sucrose fatty acid ester(S-570), 증점제로는 Xanthan-gum, 가교제로는 EDGMA 및 GPGE, 개시제로는 $K_2S_2O_8$, 및 용매로는 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sorbitol의 함유량을 10~50%로 변화시키면서 sorbitol이 결합하고 있는 고흡수성 수지(SAP)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고흡수성 수지를 모노머량의 0.05~0.40mol%로 표면가교 시켰고, 입자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자크기 분포는 $177{\sim}707{\mu}m$ 이었다.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은 물에 대하여는 785~1086배 이었고, 0.9% NaCl 용액에 대해서는 50~83배 이었다. Sorbitol의 함유랑이 증가할 수록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과 보수량은 감소하였으며, +5 cal/g SAP의 흡열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hrysin Encapsulated in PLGA-PEG Nanoparticles in the T47-D Breast Cancer Cell Line

  • Mohammadinejad, Sina;Akbarzadeh, Abolfazl;Rahmati-Yamchi, Mohammad;Hatam, Saeid;Kachalaki, Saeed;Zohreh, Sanaat;Zarghami, Nosrato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753-3758
    • /
    • 2015
  • Background: Polymeric nanoparticles are attractive material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medicine for drug delivery, with therapeutic applications. In our study, polymeric nanoparticles and the anticancer drug, chrysin, were encapsulated into poly (D, L-lactic-co-glycolic acid) poly (ethylene glycol) (PLGA-PEG) nanoparticles for lo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PLGA: PEG tri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D, L-lactide and glycolide as an initiator. The bulk properties of these copolymers were characterized using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n addition, the resulting 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The chrysin encapsulation efficiency achieved for polymeric nanoparticles was 70% control of release kinetics. The cytotoxicity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pure chrysin and chrysin loaded in PLGA-PEG ($5-640{\mu}M$) on T47-D breast cancer cell line was analyzed by MTT-assay. Conclusions: There is potential for use of these nanoparticl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Future work should include in vivo investigation of the targeting cap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se nanoparticles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티탄이 기본인 Ziegler-Natta 촉매에 의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의 제조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reparation by Titanium-Based Ziegler-Natta Catalysts)

  • 이동호;민경은;김차웅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117
    • /
    • 1987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제조를 위해 여러가지 티탄알콕시드-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촉매로 하여 에틸렌과 1-부텐을 슬러리 상태로 공중합하였다. 이때 촉매성분의 종류 및 농도, 숙성시간, 중합시간과 중합온도 등이 촉매활성과 공중합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공중합체의 성질과 1-부텐 함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티탄사노르말부톡시드-염화디에틸알류미늄의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큰 촉매활성, 보다 많은 1-부텐 함량 및 가장 작은 가용성 부분의 LLDPE를 얻을 수 있었다. 얻은 공중합체의 밀도, 유리전이온도, 녹는점 및 녹음열 등은 1-부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Polymeriz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mers with High Tensile Strength Added Isocyanate Group

  • Sung, A-Young;Ye, Ki-H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7
    • /
    • 2013
  • Polyurethane resin containing isocyanate is marked by excellent tensile and mechanical strengths and this test aims to gauge its applicability as a medical high polymer. Tris [2-(acryloyloxy)ethyl]isocyanurate and hexamethylenediisocyanate were added to a basic mixing ratio of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and crosslink agent,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with increasing proportions and copolymerized respectively. Also,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ized high polymers including refraction rate, tensile strength, light transmission and water content were measured to confirm that they are appropriate as hydrogelcontact lenses. After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polymers produced by adding tris [2-(acryloyloxy) ethyl]isocyanurate,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ensile strengths of sample TRIS1 to TRIS10 were between 0.285 and 0.612 kgf, while the average values of refractive index were ranged from 1.441 to 1.449 with water content from 30.00 to 37.35%.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s generated by adding hexamethylenediisocyanate showed that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of sample HEXA1 to HEXA10 ranged from 0.267 to 1.742 kgf, the refractive index ranged from 1.443 to 1.475 and water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21.22 to 35.58%. In all combinations the transmission rates satisfied the transmittance of general hydrogel contact lenses. From theresults,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produced copolymers can be used as contact lens materials with excellent tensile strength.

pH-Sensitivity Control of PEG-Poly(${\beta}$-amino ester) Block Copolymer Micelle

  • Hwang, Su-Jong;Kim, Min-Sang;Han, Jong-Kwon;Lee, Doo-Sung;Kim, Bong-Sup;Choi, Eun-Kyung;Park, Heon-Joo;Kim, Jin-Seo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5호
    • /
    • pp.437-442
    • /
    • 2007
  •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PEG)-poly(${\beta}$-amino ester) (PAE)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a Michael-type step polymer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pH-sensitive polymeric micelles (PM) investigated. The ${\beta}$-amino ester block of the block copolymers functioned as a pH-sensitive moiety as well as a hydrophobic block in relation to the ionization of PAE, while PEG acted as a hydrophilic block, regardless of ionization.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using $^1H-NMR$, with their molecular weights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K_b$ values of the pH-sensitive polymers were measured using a titration method. The pH-sensitivity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the block copolymers in PBS solution were estimated using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pH dependent micellization behaviors with various bisacrylate esters varied within a narrow pH range.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t pH 7.4 decreased from 0.032 to 0.004 mg/mL on increasing the number of methyl group in the bisacrylate from 4 to 10. Also, the particle size of the block copolymer micelles was determin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DLS results revealed the micelles had an average size below 100 nm. These pH-sensitive polymeric micelles may be good carriers for the delivery of an anticancer drug.

얇은 오일쉘 이중에멀젼을 이용한 고효율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 생산 (Highly Efficient Production of Monodisperse Poly(ethylene glycol) (PEG) Hydrogel Microparticles by Utilizing Double Emulsion Drops with a Sacrificial Thin Oil Shell)

  • 김병진;정혜선;최창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39-144
    • /
    • 2022
  • 본 연구는 미세유체기술을 기반으로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인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리모세관 미세유체장치 내에서 형성된 이중에멀젼은 자외선기반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빠르게 고형화가 이루어진다. 수용액에 분산됨과 동시에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해 얇은 오일쉘은 자발적으로 분리되어,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입자를 형성하였다(C.V.=1%). 본 연구의 결과는 water-in-oil (w/o) 단일에멀젼 기반의 제조 방법과 달리 오일 부피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크기 및 조성 제어가 가능한 단분산성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가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상도표를 기반으로 미세유체장치 내 유동 패턴에 대한 심층 연구는 상대적인 부피 유속들 간의 중요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입자의 안정적인 제조를 위한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