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검색결과 3,592건 처리시간 0.029초

Ethylene이 Carnation의 개화(開化)와 노화(老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절화(切花)의 Ethylene 발생억제(發生抑制)를 위(爲)한 보존용액(保存溶液)의 효과(效果) (Influence of Ethylene on Flowering and Senescence of Carnation Flowers and Treatment of Preservative Solution for Reducing Their Ethylene Production)

  • 이종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33-37
    • /
    • 1980
  • ethylene이 carnation의 개화(開化)와 노화(老化)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절화(切花)의 ethylene 발생억제(發生抑制)를 위한 절화보존용액(切花保存溶液)의 효과(效果)를 알기 위해서 절화(切花) carnation 'Coral'을 공시(供試)하여 500 ppm ethephon을 절화전체(切花全體)에 살포(撒布)한 후(後) 증류수(蒸溜水) 또는 보존용액(保存溶液) (5% sucrose+50 ppm $AgNO_3$+300 ppm 8-hydroxyquinoline)에 보존(保存)하였을 때 절화(切花)의 ethylene 발생량(發生量), 수명(壽命), 개화상태(開化狀態), 화중(花重), 흡수량(吸水量)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thylene은 carnation의 개화(開化)를 촉진(促進)하는 물질(物質)이 아니며 오히려 sleepiness를 일으켜 개화(開化)를 불능(不能)케 하였다. 2. 절화(切花) carnation의 노화(老化)는 다량(多量)의 ethylene이 절화(切花)로부터 방출(放出)된 후(後) 갑자기 촉진(促進)되므로 ethylene이 노화(老化)의 직접적(直接的)인 trigger로서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3. ethylene에 의한 절화(切花)의 노화양상(老化樣相)은 그 양(量)에 따라 상당(相當)히 다르게 나타났다. 4. ethylene에 접촉(接觸)된 꽃은 화중(花重), 화경(花徑), 흡수량(吸水量) 등이 감소(減少)되었다. 5. 절화보존용액(切花保存溶液)은 절화(切花)의 ethylene 발생(發生)을 현저(顯著)히 억제(抑制)시켜 절화수명(切花壽命)을 월등(越等)히 증가(增加)시켰다. 그러나 다량(多量)의 ethylene에 접촉(接觸)된 꽃은 보존용액(保存溶液)에 보존(保存)하여도 회복(恢復)되지 않았다.

  • PDF

맥류의 초형 및 재배조건에 따른 ETHYLENE의 생성량 (Ethylene Evolution of Wheat and Barley Cultivars Differed in Plant Type and Growing Condition)

  • 서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6-49
    • /
    • 1984
  • 맥류의 생육과 Ethylene 대사와의 관계를 측정한 몇가지 결과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 엽의 Ethylene 생성량은 하위엽이 상위엽보다 많고 답압을 한 것이 하지 않은 것보다 많았다. 2. 엽신절단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Ethylene 생성량은 증가하였는데 pot에서 보다 포장에서 재배한 것이 많았고 절엽후 Incubation의 온도가 높을수록 많았으며 주간이 야간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3. 밀의 Ethylene 생성량은 초형이 직립형인 품종 보다 포복형인 품종일수록 많고 엽록색 함량이 적은 품종보다 많은 품종일수록 증가하였다. 4. 맥류엽의 Ethylene 생성량은 복합비료보다 퇴비를 시용한 것이 많았고 담수를 한 것은 하지 않은 것보다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rabidopsis 피토크롬 돌연변이체에서 ethylene 생합성 조절 작용 (Regulation of Ethylene Biosynthesis in Phytochrome Mutants of the Arabidopsis Root)

  • 박지혜;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59-564
    • /
    • 2012
  • 식물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hytochrome이 ethylene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빛 조건에서 키운 phyA, phyB, phyAB에서 ethylene 생합성과 생합성에 관여하는 enzym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White light에서 키웠을 때 모든 mutant에서 ethylene 생합성이 감소되었다. 특히 double mutant에서는 wild type과 비교하여 37%가 감소하였다. Dark에서 키웠을 때에는 wild type만 감소하였고, mutant에서는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Red light에서 키웠을 때 double mutant에서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 Far-red light 에서 키웠을 때는 phyB만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Ethylene 생합성에 관여하는 enzyme인 ACO 활성 패턴과는 달리ACS 활성 패턴은 ethylene 생성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ethylene 생합성에는 phytochrome A와 B 모두 중요한 작용을 하며 특히 $P_r$ 형태의 phytochrome이 ethylene 생성량을 조절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phytochrome은 ethylene 생합성 단계에서 AdoMet가 ACC로 전환되는 단계에서 조절하는 것을 제시한다.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s - 2.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the Ethylene Evolution in Soybean Sprouts)

  • 강충길;이정명;판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0-96
    • /
    • 1989
  •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의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auxin의 처리(處理)는 뚜렷한 영향(影響)이 보이지 않았다. 2. 콩나물의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cytokinin 및 유사물질(類似物質)의 처리효과(處理效果)는 BA가 ethylene 발생(發生)을 크게 촉진(促進)시킨 반면(反面) kinetin, zeatin, zeatin riboside는 미미(微微)하였다. 3. 콩나물의 ethylene 발생(發生)에 미치는 BA 농도별(濃度別) 처리효과(處理效果)는 농도(濃度)가 높을 수록 ethylene 발생(發生)이 증가(增加)되었다. 4. BA의 처리(處理)는 단기간내(短期間內) ethylene 발생(發生)을 증가(增加)시켜서 신장억제(伸長抑制)와 비대촉진(肥大促進) 효과(效果)를 보이나 4PU-30은 ethylene 발생(發生)을 지속적(持續的)으로 증대(增大)시키는 효과(效果)를 보였다. 5.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처리(處理)된 콩나물에서의 ethylene 발생정도(發生程度)는 BA 25ppm > IAA 25 + BA 25 ppm ${\geq}$ 4 PU-30 25 ppm > IAA 25 ppm > control 순(順)이었다. 6. 콩나물의 세근발생(細根發生)은 cytokinin 중(中) BA에 의(依)해 억제(抑制)되며, 비대촉진(肥大促進)은 ethylene에 의해 촉진(促進)되는데, BA는 ethylene 발생(發生)을 크게 촉진(促進)시켰다.

  • PDF

알카리성 Bacillus sp. Alk-7에 의한 Ethylene 생합성과 그 경로 (Ethylene Biosynthesis of an Alkalophilic Bacillus sp. Alk-7)

  • 배무;김미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5-199
    • /
    • 1998
  • Ethylene을 생성하는 호알칼리성 Bacillus sp. AIk-7를 분리 동정하였고, Bacillus sp. AIk-7의 ethylene 생성 경로와 전구 물질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 균주의 intact cell과 cell-free system에서의 다양한 기질의 전환효과를 검토하였다. Intact cell과 cell-free system 모두에서 ethylene 생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환 조건은 3$0^{\circ}C$, pH 10.3으로 조사되었고, 기질 전환 효과를 검토한 결과 methionine(Met)과 1-aml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ACC)가 압도적으로 많은 ethylene을 생성하였다. Cell-free system에서 저해제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EDTA억제 효과로 2가 양이온이 필요함을, AOA 억제효과로 transaminase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zide는 Met에서 ACC로의 단계에선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ACC ethylene 전환 단계에선 오히려 활성효과를 보여주었다. 식물에서는 ACC에서 ethylene 과정은 Co$^{2+}$에 의해 저해받는데 반해 Bacillus sp. AIk-7은 Co$^{2+}$에 의해 ACC에서 ethylene과정이 10-70배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Bacillus sp. AIk-7에 의한 ethylene 생성 전구체는 Met과 ACC일 가능성이 있다.

  • PDF

수도에 대한 Ethylene의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제4보 질소반응과 Ethylene생성의 품종간 차이 (Studies on Physiological Action of Ethylene in Rice Plants IV. Nitrogen Responses and Ethylene Evolution in Different Varieties)

  • 이문희;이종훈;태전보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9-93
    • /
    • 1983
  • 수도에서 질소시용량에 따른 Ethylene 생성량의 품종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석벼 외 5품종을 공시하여 질소시용량을 $N_0,\;N_1,\;N_2$등 3수준으로하여 유묘기에 인공기상실에서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용량 증가에 따른 도체내의 질소함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Ethylene 생성량은 감소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2. 엽신에서 Ethylene 생성량의 품종간 차이는 현저하여 만석, 팔달이 많았고, 유신, IR-36이 적었다. 3. Ethylene생성량이 많은 품종(만석, 팔달)은 질소표준구$(N_1)$에 비하여 무비구$(N_0)$의 Ethylene 생성량이 급증하였고, Ethylene 생성량이 적은 품종(유신, IR-36)은 다비$(N_2)$에서 급감하는 경향이였다. 4. 도체내의 질소함유율에 따른 Ethylene생성량의 품종간 차이는 동일품종에서는 질소함유율이 많으면 Ethylene생성량이 적어지나 품종이 다를 경우에는 질소함유율이 많은 품종에서 Ethylene 생성량도 많은 경향이였다.

  • PDF

Towards the Development of Long-Life Crops by Genetic Engineering of Ethylene Sensitivity

  • Ezura, Hiroshi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5-352
    • /
    • 2000
  • Food production is a major role of agriculture. It has been projected that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by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and the population growth results in raising a serious problem of food shortage. Thus we have to increase food as possible. A considerable amount of crops have been abandoned due to short-life after postharvest. Ethylene is a factor responsible for the postharvest loss in crops, especially horticultural crops. If we can reduce ethylene production or sensitivity by genetic engineering, we can develop, so called,“long-life crop”conferring long postharvest lives. During last two decades, intensive research for molecular dissection of ethylene biosynthesis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researchers have succeeded in engineering ethylene productivity in some crop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uccessful isolation of Arabidopsis ethylene receptor gene ETR1, the homolog genes have been isolated in various plant species. Currently the characterization of these genes and alteration of ethylene sensitivity using the genes are in progress. This review summarizes current progress in the analysis of these genes, and discusses genetic engineering of ethylene sensitivity using these genes.

  • PDF

담배 현탁배양 세포에 있어 Polyamine 과 Ethylene 생합성시 중간산물로서 S-Adenosylmethionine의 역할 (Role of S-Adenosylemthionine as an Intermediate in Relation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in Suspension-Cultured Tobacco Cells)

  • 박기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87-96
    • /
    • 1990
  • The role of S-adenosylmethionine (SAM) as an intermediate in interrelation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was studied in suspension cultures of Nicotiana tabacum L. Exogenous SAM stimulated the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in 4 day-cultured cells, which were in active cell divisions, and 10 day cultured cells, which went on with active cell elongation and senescence. SAM-induced ethylene pro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10 day-cultured cells than in 4 day-cultured cells, but SAM-induced polyamine biosynthesis was more effective in 4 day-cultured cells than in 10 day-cultured cells. Polyami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the blockage of ethylene biosynthetic pathway in the conversion of SAM to ethylene via 1-aminocyclopropane-1-carboxylinc acid (ACC) with aminooxyacetic acid (AOA). Also, ethylene production was increased by the inhibitors of polyamine biosynthesis such as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MGBG), dicyclohexylamine (DCHA), $\alpha$-difluoromethylarginine (DFMA) and $\alpha$-difluoromethylorinithine (DFM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 be interrelations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for the competition of SAM and the inherent mechanism of switch on-off i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tic activity with the progress of cell growth and senescence.

  • PDF

촉매습식산화에 의한 Ethylene Glycol의 분해 (Decomposition of Ethylene Glycol by Catalytic Wet Air Oxidation)

  • 안상준;최장승;이동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4-271
    • /
    • 2001
  • Catalytic wet oxidation of ethylene glycol as refractory compound was studied in a batch slurry reactor using lwt% $Pt/A1_2O_3$, lwt% $Pt/TiO_2,\;Mn/CeO_2$(1:1) and 5wt% $Mn/Al_2O_3$.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effects of temperature, initial ethylene glycol concentration, catalyst dosage and PH on the ethylene glycol decomposition. When compared with the uncatalyzed reaction, the use of catalysts could increase the rate of ethylene glycol decomposition. The lwt% $Pt/A1_2O_3$ catalyst was preferable to the other catalysts for the destructive oxidation of ethylene glycol. The reaction rate was first order with respect to initial concentration of ethylene glycol. In acidic con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ethylene glycol was goo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leaching of platinum. Small amount of acetic acid, oxalic acid, masonic acid and formic acid as intermediates were detected during catalytic wet air oxidation of ethylene glycol.

  • PDF

Gas Chromatograph를 이용한 에틸렌 분석 기술 (Procedures for Analyzing Ethylene by Gas Chromatograph)

  • 이승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1호
    • /
    • pp.33-39
    • /
    • 1989
  • Ethylene gas classified as one of five major plant hormon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plant metabolism. The precise analysis of ethylene production of plants or plant parts is a valuable research procedure because knowledge of ethylene production facilitates measure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within the tissue. This paper describes procedures for analyzing ethylene from plant tissues by gas chromatography and discusses problems associated with extracting gas samples either by introducing a vacuum to plant samples or by using a hypodermic syringe. Introduced are a continuous flow system for efficient analysis and an automated system for sampling, analyzing, calculating and recording ethylene production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