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acetate fraction

검색결과 1,176건 처리시간 0.033초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조릿대잎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황지영;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53-1760
    • /
    • 2010
  • 혈관내피세포는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에 노출되면, 반응성 산소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게 된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혈관내피세포의 생존율을 높이며 2차적인 질병의 유발을 감소 및 완화시켜서 당뇨합병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조릿대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즉, 30 mM 포도당에 노출되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UVECs에 조릿대잎 추출물 ethyl acetate(ESLE) 층을 분주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활성산소종 수준과 지질과산화물 가는 ESLE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포도당으로 GSH 함량과 SOD, GSH-px, catalase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HUVECs에 ESLE를 분주하였을 때 이들의 함량 및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해 ESLE 첨가가 SOD와 catalase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ESLE는 혈관내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으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SLE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고 항산화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킨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에 대한 flupyrazofos의 체벽 투과량 (Penetrations of flupyrazofos against Plutella xylostella(Lepidoptera :Yponomeutidae) and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 Noctuidae))

  • 이상계;황창연;한만종;유재기;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4-50
    • /
    • 2000
  •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에 대한 flupyrazofos의 작용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연구소에서 분양을 받아 실내에서 19세대 누대 사육한 배추좀나방과 포장에서 채집하여 실내에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25세대 누대 사육한 파밤나방을 대상으로 $^{14}C$-flupyrazofos를 처리하여 $^{14}C$-flupyrazofos를 검출하기에 적합한 용매와 두종간의 체벽 투과량을 조사하였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충체에 있는 $^{14}C$-flupyrazofos의 각 용매별 검출율은 hexane과 ethyl-acetate보다 acetone을 사용할 때 가장 높았다. flupyrazofos의 반수침투시간($PT_{50}$)은 배추좀나방에서는 0.731 시간(44분)이었고, 파밤나방에서는 0.504시간(30분)으로 나타나 배추좀나방보다 파밤나방에서 침투시간이 다소 빨랐고, 배설량도 배추좀나방보다 파밤나방에서 많았으며 배설되는 시간도 빨랐다.

  • PDF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녹나무과 10종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en Lauraceae Specie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조주성;지래원;장보국;정헌상;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3-432
    • /
    • 2018
  • 본 연구는 녹나무과 10종의 추출물이 Propionibacterium acnes의 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천연 항균소재를 개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완도와 제주도에서 채집하였으며, 부위(잎, 가지), 용매(증류수, 80% 에탄올, 100% 메탄올) 및 초음파 추출시간(15, 30, 45분)에 따른 조추출물의 항균활성을 agar diffusion method로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합성항균제인 methylparaben과 phenoxyethanol 0.4, 1, 2, 4 mg/disc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10종의 모든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월계수는 80% 에탄올에 45분간 추출한 조건에서 20.2 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계수 잎을 100%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30분 추출한 다음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그리고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10.0 mm 이상의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그중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13.3 mm로 가장 컸으며, 조 추출물(10.2 mm)과 대조구인 phenoxyethanol (12.5 mm)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길경, 황기와 오미자 혼합추출물의 NO 억제활성과 Hyaluronidase 억제활성 효과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Hyaluronidase Activities from the Combined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stragalus membranaceus, and Schisandra chinensis)

  • 강창호;곽대영;소재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44-8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문헌 조사 및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정된 53가지의 생약재로부터 NO와 HAse(hyaluronidase)의 억제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억제효과가 우수하다고 확인된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와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을 최종 시료로 선정하였고,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유효성분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추출물의 최적조건을 확인하였다. 각 소재들을 1:2:1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에서 다양한 추출조건에 따라 단일 생약재 추출물에 비해 2배에서 4배까지의 수율 증가를 보였으며, NO 억제활성 효과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율과 NO 억제활성을 고려할 경우 혼합추출물의 최적 추출 조건은 황기, 오미자, 길경의 혼합비율 1:2:1, 추출시간 12시간, 추출온도 $30^{\circ}C$, 혼합 속도 50 rpm, 추출용매로 ethyl acetate이었다. 위의 최적 조건을 적용한 혼합추출물은 H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최초 추출물(not grinded, 95% EtOH, 24시간, 실온, 0 rpm)보다 약 16% 정도의 저해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길경과 황기, 오미자의 상승작용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황기와 오미자, 길경의 혼합추출물이 항염증, 항산화 및 항관절염에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조릿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지방세포에서 분화전사인자 조절을 통한 지방형성 저해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on Mechanisms of Adipogenesis)

  • 박희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37-8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조릿대조추출물(SBE)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BEA)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SBE의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10, 50, 100 ${\mu}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SBE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을 저해시켰다. 또한 SBE를 용매 극성에 따른 분획한 분획물들의 항분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중 항분화 효능이 가장 뛰어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지방세포 분화에 따른 세포 내 중성지방축적이 억제 되었다. 그러나, 지방세포 분해를 통한 glycerol release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항분화 효능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PPAR${\gamma}$, C/EBP${\alpha}$ 등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SBEA는 PPAR${\gamma}$와 C/EBP${\alph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SBEA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mu}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지방 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 있어서 콩나물 메탄올 추출물의 헐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oybean Sprou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정인;강민정;배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21-925
    • /
    • 2003
  • 콩나물 메탄을 추출물의 yeast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in vitro에서 측정한 결과 5 mg/mL 농도에서 24.5%로 나타났다. 콩나물 용매분획 중 ethyl acetate층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3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TZ로 당뇨를 유발한 흰쥐에 있어서 콩나물 추출물의 탄수화물 소화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공복상태의 동물에게 전분(1 g/kg)과 함께 콩나물 메탄올 추출물 (500 mg/kg)을 경구 투여한 경우, 전분(1 g/kg)만 투여 경우에 비해 투여 후 60, 90, 120, 180분에 혈당 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0.05), 식후 혈당 증가곡선의 면적(AUC)도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콩나물 메탄올 추출물은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에 의해 식후 혈당 조절 효과를 나타내어, 콩나물의 섭취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오디(Mulberry) 추출물의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B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Extracts)

  • 이상극;이학주;강하영;최돈하;조현진;이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05-113
    • /
    • 2009
  • 동결 오디(Mulberry) 10 kg을 80% 에탄올(EtOH)로 추출하고 분획깔때기 상에서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물 가용부로 분획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22 g)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H_2O$ (2 : 1~1 : 3, 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셀룰로오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오디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에서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화합물 1), protocatechuic acid (화합물 2), p-hydroxybenzoic acid (화합물 3)을 단리할 수 있었다. 항산화 시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가용부에서 BHT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TT assay에 의한 세포생존율 측정결과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백활성 및 항암활성은 낮았지만 세포신장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솔잎과 쑥 추출물의 기능성 점토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 강윤한;박용곤;오상룡;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8-984
    • /
    • 1995
  • 솔잎과 쑥의 기능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수 및 70% acetone으로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의 항변이원성,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작용, 전자 공여작용, polyphenol oxidase(PPO)에 대한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항산화 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의 열수 및 70% acetone 추출물 모두 총 polyphenol 성분 중 flavanol형 tannin의 함량이 60% 이상이었고, 간접변이원인 Trp-P-1을 이용한 항변이원성 실험결과 70% acetone 추출물은 처리구는 82.2%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61%로 70% acetone 추출물의 50%보다 저해능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두가지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나리에서 분리한 PPO 조효소에 대한 70% acetone 추출물의 저해효과는43%로 나타났고 또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산성 부근(pH 3.0)에서 각 추출물 모두 $80{\sim}90%$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쑥추출물의 경우 항변이원성은 70% acetone 추출물이 84.1%로 솔잎과 유사하였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75.1%로 acetone 추출물의 57.6%보다 높았고, 전자공여 작용은 두 처리구 모두 45% 정도였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솔잎에 비해 $20{\sim}30%$ 분해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솔잎 열수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을 대두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효과가 있었다.

  • PDF

거봉 포도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 박성진;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24
    • /
    • 2003
  • 본 연구는 거봉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로부터 에탄올용매의 농도와 추출 온도변화에 의한 추출물의 수율의 차이와 그에 따른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였다. 각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타나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 및 과피 모두에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36.0%와 49.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72.1%인데 비하여 과피에서는 92.7%로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409.7\;{\mu}g/mL$이며,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136.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6528.8\;{\mu}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694.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분획물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온도와 용매 온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추출온도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의 효능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 결과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 과피 추출물보다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름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복합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활성물질의 정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 이정선;김택;이윤희;김성민;김현걸;김우중;오덕철;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6
  • 구름버섯 균사체를 12% 감귤 추출액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열탕 추출한 후 균사체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동량의 ethyl acetate(1 : 1, v/v)로 재차 추출하였다. EA 추출물은 복합내성을 갖는 MRSA 균주인 S. aureus CCARM3230와 P. aeruginosa CCARM2171에 대해 현저한 생육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하였을 때 dichloromethane : methanol(9 : 1, v/v)의 용매조건으로 용출한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활성물질이 높은 순도의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음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다제 내성 균주들에 대해 현저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 CCARM2171과 그람양성균인 S. asures CCARM3230 균주 모두에서 현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본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생물질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