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carbamat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조리방법이 간장 내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Ethyl Carbamate in Soy Sauce)

  • 류다연;장영빈;이하늘;고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1-12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measured the ethyl carbamate (EC) content in commercial and home-made soy sauc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such as boiling and pan-frying, on the EC content. Methods: A total of 20 soy sauce samples including 14 home-made and 6 commercial produ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OAC official method with some modifications. To simulate conventional boiling, soy sauce containing EC ($14.59{\mu}g/kg$) was heated to $100^{\circ}C$ for four different times: 10, 20, 30, or 40 min. Pan-frying was conducted for 4 min at $170^{\circ}C$. Results: EC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homemade samples, whereas it was found in the commercial samples, ranging from 2.51 to $14.59{\mu}g/kg$. The concentrations of EC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boiling from 14.59 to $26.54{\mu}g/kg$, whereas pan-frying did not affect the EC level in soy sauc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C is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the EC precursors during boiling, suggesting that the cooking method of each food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imating the dietary exposure to EC.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분석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Commercial and Homemade Maesilju)

  • 류다연;고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09-315
    • /
    • 2015
  • 에틸카바메이트의 내부표준물질로 $d_5$-에틸카바메이트가 선정되었다. 에틸카바메이트의 일내(intra-day), 일간(inter-day) 정밀도를 측정한 결과, 회수율은 92.54~103.59%, 상대표준편차는 0.87~5.64%로 CODEX 기준에 부합하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1.20 ppb와 3.65 ppb였으며, 검량선은 직선성(R2=0.9992)을 나타내었다. 상업용 매실주보다는 가정에서 담근 매실주에서 검출된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실주의 숙성기간은 에틸카바메이트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매실의 침지기간과 매실이 분리된 후 숙성기간이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주류 중 에틸카바메이트 분석 (Analysis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 박성국;윤태형;최동미
    • 분석과학
    • /
    • 제21권1호
    • /
    • pp.53-57
    • /
    • 2008
  • 주류 중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는 시료를 고체상 정제컬럼(충진제: 규조토)에 흡착시켜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시킨 후 GC/MS-SIM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적용된 분석법의 회수율은 85.2-87.9% 이었으며 변이계수는 0.7-1.9%, 검출한계는 $2{\mu}g/kg$, 정량한계는 $10{\mu}g/kg$이었다.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대상 주류의 유형에 따라 검출수준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평균 검출수준은 리큐르 $194{\mu}g/kg$, 과실주 $105{\mu}g/kg$, 일반증류주 $62{\mu}g/kg$, 청주 $28{\mu}g/kg$, 약주 $15{\mu}g/kg$, 기타 주류 $12{\mu}g/kg$, 소주 불검출 이었다.

Carbamate화합물의 살충효과에 관한 연구 (Insecticidal Effects of Some Carbamate Derivatives.)

  • 서병천;한영구;김석환
    • 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5-258
    • /
    • 1974
  •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six lately synthesized carbamate derivatives of furfural oxime N-methylcarbamate (I), 5-methyljural oxime N-methylcarbamate (II), methyl p-(methylcarbamoyl) oxybenzoate (IV), ethyl p-(methylcarbamoyl) oxybenzoat(V), n-propyl p-(methyl carbamoyl)oxybenzoate(VI) and n-butyl p-(methyl carbamoyl)oxybenzoate examined using o.2w/v% acetone solutions of each compound. Among them, alkyl p-(methyl carbamoyl) oxybenzontes exerted slightly insecticidal effects on Sogata furcifera H$_{ORVATH}$, Delphacodes stria striatella FALLEN, wherease no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on Mil-aparvata Iugens Stal, Inazuma dorsolis Moischiulsky, and Naphotettix apicalis cincticeps U$_{HLER}$.

  • PDF

(-)-α-Narcotine과 유사화합물을 ethyl chloroformate로 반응시 생성된 분해물의 입체화학 (Stereochemistry of the Degradation Product of (-)-α-Narcotine and Its Analogs with Ethyl Chloroformate)

  • 이동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7-151
    • /
    • 2005
  • 양귀비의 성분중 하나인 $(-)-\alpha-narcotine$은 ethyl chloroformate와 가온반응시 diastereomeric chloro-carbamate 혼한물과 Z/E-enol lactone혼합물을 생성하였는데 이 중에서 Z/E-isomer의 생성비를 HPLC로 측정한 결과 Z:E=1:1.12로 나타나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E-isomer가 다소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이 isomer 혼합물을 chromatography로 각각 분리 한 결과, 그 생성 비는 Z:E=7:1로 나타나 분리도중에 column 내 에서 E-isomer가 보다 안정한 Z-isomer로 대부분 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Z/E-isomer의 생성비가 유사한 구조의 화합물에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beta-narcotine$, deuterated $\beta-narcotine$$\beta-hydrastine$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 반응시킨 결과, 이들의 isomer 생성비율이 구조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한편, 일반적인 보고와는 달리, narcotine에서 생성된 안정한 Z-isomer는 광화학반응에 의해 불안정한 E-isomer로 쉽게 변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A Novel Synthesis of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Coumarin Moiety of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 El-Fattah, M. E. Abd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723-728
    • /
    • 1998
  • The chemical behaviours of 4-methyl-2-oxo-2H-benzopyran-7-yl oxoacetyl hydrazine (2) towards some different reagents such as anhydride compounds, aromatic aldehydes, carb on disulphide, and nitrous acid yielded the corresponding pathalazine derivatives (3, 4, 5), hydrazone derivative (6), 1,3,4-oxadiazole derivative (7, 8, 9) and acid azide (10) respectively. Treatmen of 10 with absolute alcohols, amines and ethyl amino acid ester gave the corresponding carbamate derivative (11), substituted urea derivative (12) and ethyl substituted alkyl acetate (13) respectively. The biological activity of some synthesized compounds was evaluated.

  • PDF

Optically Active Intermediate from the Degradation of (-)-Laudanosine, a Benzylisoquinoline Alkaloid, with Ethyl Chloroformate

  • Dong-Ung Lee;W. Wiegreb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4호
    • /
    • pp.373-376
    • /
    • 1991
  • Degradation of (-)-laudanosine, a 1-benzyl-1,2,3,4-tetrahydroisoquinoline alkaloid, with ethyl chloroformate (ECF) afforded an optically active chloro-carbamate as an intermediate. The reason why this intermediate exhibits an optical activity was investigated by comparison with the reactions of some model compounds with ECF. It may be supposed that the chloride group in a hypothetic carbenium ion intermediate stands very closely to the chiral center, so conserving optical activity. However, a neighboring group effect can not be excluded.

알코올 농도 및 담금비에 따른 숙성 기간별 매실주의 에틸카바메이트 함량조사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maesil wine by alcohol content and ratio of maesil (Prunus mume) during ripening period)

  • 김난영;엄미나;도영숙;김중범;강석호;윤미혜;이정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9-434
    • /
    • 2013
  • 매실주의 숙성 중 에틸카바메이트의 발생을 알아보고자 일반 가정에서 담그는 방식으로 매실주와 복분자주를 담아 저장하면서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매실주는 매실과 설탕 및 $19.5^{\circ}{\sim}35^{\circ}$ 담금주의 담금비를 달리하여 담아, 15일부터 180일까지 15~30일 간격으로 에틸카바메이트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숙성 90일 까지 매실을 설탕만으로 숙성한 경우와 복분자주에서 에틸카바메이트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매실의 알코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에틸카바메이트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매실과 담금주의 비율을 달리한 결과, 매실보다는 알코올 함량이 에틸카바메이트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20~150일 숙성기간이 지나면서 에틸카바메이트 발생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90일 숙성 후 여과처리 하였을 경우 여과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80일까지 2배가량 높은 에틸카바메이트가 발생하였으나 이들 모두 안전한 수준이었다.

몇가지 살충제의 조합이 인삼의 생육 및 근류선충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on Growth of 2 year old Ginseng Panax ginseeng, C.A. Meyer,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 안용준;최승윤;한상찬;김요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3-227
    • /
    • 1981
  •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maticidal effects of the insecticides, Mocap(O-Ethyl-S, S-dipropyl phosphorodithioate), Carbofuran(2,3-Dihydro-2,2-dimethyl benzofuranyl ethyl carbamate), Terbufos (S-tert-buthylthio methyl O,O-diethyl phosphordithioate) and their mixtures (Mocap+carbofuran, Mocap+Terbufos, Carbofuran+Terbufos) on growth of 2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There was no evidence of plant injury from insecticide treatment of ginseng, although the rate of emergence of the treated ginseng was slightly inhibited. The insecticide treatments showed no of-flavor of ginseng plant. Terbufos and Mocap provided heifer confrol of the root-knot nematodes than carbofuran alone and their mixtures. Mixtures of the insecticides showed antagonisitic effect to the root-knot nematodes.

  • PDF

수도(水稻)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에 미치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의 영향(影響) (Effect of Insecticide and Fungicide on Phytotoxicity of Herbicide in Rice)

  • 전재철;황인택;한민숙;장병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75
    • /
    • 1986
  •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의 상호작용력(相互作用力)을 벼의 여러 생육(生育) 단계(段階)에서 검토(檢討)하였다. Carbamate 계(系) 살충제(殺蟲劑) BPMC는 단독처리(單獨處理) 및 제초제(除草劑)와의 혼합처리(混合處理)로 벼의 발아(發芽)를 심하게 억제(抑制)하였다. Thio- 및 dithiocarbamate 계(系)의 농약(農藥)은 carbamate 계(系)와는 달리 발아억제력(發芽抑制力)은 없었다. 제초제(除草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BPMC가 혼용(混用)될 경우에는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에 심(甚)한 약해(藥害)를 나타내었다.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혼용(混用)으로 결항효과(結抗效果)를 나타내어 경감(輕減)되었다. 벼의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은 제초제(除草劑)와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되어 처리(處理)될 때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보다는 제조체(除草劑)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의해서 더 크게 영향(影響)을 받는다. 대부분의 제초제(除草劑)는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와 혼용(混用)하여 수도(水稻) 이앙(移秧) 5일(日) 후(後)에 처리(處理)하였을 때 수도(水稻)에 대해 약해(藥害)를 나타내지 않았다. Phenoxy 계(系) 제초제(除草劑)인 2, 4-D 및 MCPA의 경엽처리(莖葉處理) 활성(活性)은 cabamate 계(系) 및 요소계(尿素系) 살충(殺蟲), 살균제(殺菌劑)가 혼용(混用)될 때 증대(增大)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