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nic culture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7초

1960년대 한국의 뮤지컬 수용 역사와 문화제국주의 (Acceptance History of Korean Musical Theatre in 1960s and Cultural Imperialism)

  • 이계창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249-293
    • /
    • 2018
  • 뮤지컬은 유럽의 오페라로 대표되는 서구 음악극 전통에서 시작된 대중예술 장르로서 20세기 미국 브로드웨이를 중심으로 꽃을 피웠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공연예술 분야에서 대중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상업예술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장르의 특성 상 드라마의 전개나 캐릭터의 표현 등은 말이나 몸짓이 아닌 음악을 주요 매개체로 사용하며, 그 음악의 스타일은 특정 계층이 아닌 대중의 기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근대화는 곧 서양화이고 일본이 조선의 개화에 책임을 져야한다는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조선 민중에게 일본 이데올로기 및 문화를 강제적으로 주입함으로써 일본에의 협력과 순종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가 편찬한 "보통교육 창가집"을 교재로 한 식민주의 음악교육은 한민족의 음악적 정체성이 일본음악 및 서양음악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해방 이후 냉전체재 하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에 따른 친미적 남한 정부 수립을 위한 자본주의 경제 메커니즘과 더불어 '미8군 쇼 무대'와 '영화'로 대표되는 미국 대중문화, 이 두 가지 요소들의 유입으로 인한 비가시적인 '문화제국주의'의 영향으로 우리의 전통음악은 '국악'이라는 단어에 갇혀 '과거의 음악'이라는 의미로 한정되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으로 뮤지컬을 접하게 되었고, 우리 전통예술의 현대화를 통한 '건전한 문화'의 보급을 지향한 당시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 기조에 따라 '한국적 뮤지컬'을 지향하는 '예그린악단'이 창단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예술을 기반으로 현대화 된 공연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계획은 1966년 <살짜기옵서예>의 성공으로 가능성을 보였으나, 이후 정권 실세의 후원 중단 등의 이유로 더 이상 주체적으로 운영할 능력을 상실한 관변단체로 전락하는 운명에 처하면서 무산되고 만다. 일제의 식민주의 음악교육과 해방 이후 미국 대중문화의 유입이라는 문화제국주의 책략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한국 뮤지컬의 태동기에 우리의 전통연희 양식이 서양 음악과의 교류, 확장을 통한 자주적인 민족예술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1960년대의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것이 21세기 현재 한국 뮤지컬 시장을 서구 라이센스 뮤지컬이 주도하게 된 배경이며, 아울러 서양음악을 기반으로 한 뮤지컬 창작 현실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 양승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0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지표에 기초한 지역축제 웹사이트 분석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ocal Festival Based Upon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Website)

  • 우찬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3-209
    • /
    • 2003
  • 본 연구는 지역축제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들의 효율적인 운영 및 활용의 입장에서 지역축제 웹사이트를 평가지표를 새롭게 구성하여 정량적 평가모델에 의해서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지표모델은 국내외의 웹사이트 평가 및 관광, 호텔 웹사이트 평가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평가기준(criteria)을 종합하여 공통적인 것을 하나의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재분류과정을 통해서 디자인(design), 인터페이스(interface), 축제정보(contents),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D-1-C-C라는 총 4개의 평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영역은 다시 세부측정항목 39개를 도출하여 평가하였다. 지역축제 관련 웹사이트의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29개 문화관광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도메인을 가지고 축제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영암왕인문화축제, 대구약령시축제, 춘천국제마임축제, 세계태권도문화축제, 고성공룡나라축제,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금산인삼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부산자갈치문화관광축제 등 9개의 축제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 PDF

하와이 목질의복(木質衣服)(Bark Cloth) KAPA에 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Hawaiian Bark Cloth Kapa)

  • 박민녀
    • 복식
    • /
    • 제17권
    • /
    • pp.137-148
    • /
    • 1991
  • The use of bark cloth, made of the inner bark of certain trees, was widespread along tropical zones from the Africa to the Hawaii encompassing the globe. They include Malaysia, Indonesia, New Guinea, Polynesian Islands and South America. Among them the Hawaiian bark cloth, named Kapa(pronounced as tapa) was rated as the best quality and most admired. It has variety in designs and colors as well as the most sophistcated production methods. The distinct processes of kapa making are composed of two stages. The first is called first beating and it is a preparatory stage to beat the sea-water soaked bast. It was done with a round beater on a stone anvil. The second beating process was carried out with the squared beater and wooden anvil. The strips from the first beating was soaked again in the water and then beaten lightly to break up fibers. The craftmen laid a bundle of strips over the anvil and beat it into pieces of kapa. The second beater of Hawaii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ne among bark cloth producing countries. On their surfaces were the engraved patterns, which were creation of theirs. These distinguished designs enabled them to produce the kapa with the thinner and finer texture and an elaboration of impressed designs known as "watermaks". The Hawaiian culture was self-sufficient one : Everything they used was of their own creation until 19th century. Among their inventions of printing designs on kapa are three most important and distinguished processes. They are the overlaying, the cord snapping and the block printing techniques. Their inventiveness as well as self sufficient environment made it possible to develop their fine art of the kapa making. It is said that the mass producing and cheap western technology of loom forced them to gradually abandon their traditional art and as a result this fine and valuable legacy of Hawaiian traditional kapa making technique is all but disappeared. However it is encouraging and heart warming to find that some of the people as well as specialized researchers pined together to form a group to try to reproduce the old kapa and study the traditional art. They consider the kapa as an expression of the ethnic identity with Hawaii's heritage as well as valuable art of human history.

  • PDF

Hip-Hop 패션에 관(關)한 연구(硏究) - 90 년대 New Generation의 디자인 기획(企劃)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Hip-Hop Style - Concentrating on the Design Planning of the New Generation in the 1990' s -)

  • 주은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2권1호
    • /
    • pp.86-99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Hip-Hop style, one of the fashion trends of the new generation in the 1990s and to come up with a design with a Hip-Hop image. As the Counterculture, Black Renaissance, Pop Star Syndrome, the importance of Hip-Hop fashion in mass culture was recognized and given a firm place as one of the major cultural trends of the 1990s. Hip-Hop fashion has a history: it originated from the Caribbean style in the 1940s and was transformed into Rude Boys style in the 1960s, Two-tone style and Rastafarians style in the 1970s. Finally it was succeeded by B-boys and Flygirls style. Hip-Hop style combines characteristics of all three styles mixed in one, which are as follows. First, Neo-Hip-Hop Fashion, Second, Hip-Hop Reggae Fashion and Third, Graffiti Fashion. Based on these three Hip-Hop images of the 19905, an attempt will be made to produce a Design Planning with a predicted 1998 fashion trend. This research provides order sheets on ready-made clothes designed for new generation in their late 10s and early 20s. Design Concept, Image Map, Fabric, color direction will be offered on the basis of an image map drawn in line with the three design concepts incorporating three sub themes of Liveliness, Modern Ethnic, and Dynamic Future. Three designs will be designed based on the following fashion themes$\ddot{o}$ Generation 'Y', Black Guys and Street Boys.

  • PDF

문화 코드의 변화에 따른 패션 트렌드 경향 연구 - 2005년 패션 트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Tren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ultural Code - Focusing on 2005 Fashion Trends -)

  • 김소영;양희영
    • 복식
    • /
    • 제56권2호
    • /
    • pp.134-146
    • /
    • 2006
  • Modern society is a multi-cultural consumer society, and there are multiple trends to cater to the tastes of diverse consumers with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 To grasp fashion trends in fast-changing society, how consumer life is changing and what sort of trend is prevailing should be understood above all. A major fashion trend keeps on changing in every season, and that is an extensive and compound measure of what affects the lives and values of cultural receivers who take the lead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what sorts of trends were presented in the 21st century's different cultures, how those cultures were reflected in fashion trends, and how design elements predicted by fashion trends could serve as the sources of design that could create a new fash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heories of popular culture and trends were reviewed to describe how general receivers found meaning and delight in the products of cultural industry in their own way and how the products were converted into diverse cultural media. Secondly, consumer styles were discussed by classifying consumers into six groups, twixter, duppie, Ubi-Nomad, NONOS, LOHAS and chav, who were generated by changing cultural codes. Thirdly, sociocultural trends and consumer changes brought a lot of diverse changes to fashion trends. The visual materials about the 2005 S/S, F/W Collection were examined to track how changing trends affected fashion style.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상상적 자아이미지와 패션스타일 - 여성의 퍼스널 패션블로그를 중심으로 - (Imaginary Ego-image and Fashion Styles represented in the Social Media - Focusing on women's personal fashion blogs -)

  • 서성은;김민자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28-142
    • /
    • 2014
  • In the new media age, the importance of personal style is highlighted, as the fashion recipients independently create their own images by transforming and recombining the fashion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fashion blogs -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social network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and styles of imaginary ego-images represent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s a new space of self-expression, based on Lacan's gaze; the imaginary of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ego-concept.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imaginary ego-image is classified as narcissism, regression, identification, and virtuality. In the case study, Narcissism is represented mostly as bloggers' satisfaction and beliefs about their fashion styles. The degeneration represents childhood images including a mother, as well as retro and vintage images that recreate the fashions of bygone eras - such as medieval, $19^{th}$ or 20th century fashion. Identification is the connection with the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 especially movies and music. Virtuality represents hypothetical situations of mythical, fairy tale-like, surreal, or dreamlike atmospheres and hypothetical bodies that appear removed, disassembled, or crooked. The imaginary ego-images emerged on the personal fashion blogs are also classified into specific style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ego images-such as kidult style, retro style, ethnic style, and surreal style.

한국 방송콘텐츠의 성공적인 케냐 진출을 위한 현지 시장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Kenyan Broadcasting Market for Successful Export of Korean Media Content)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421-43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방송사업자가 아프리카 방송시장에 진출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방송사업자가 아프리카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정부기관이 어떠한 정책적 지원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제시하고, 이를 위해 구비하여야 할 내용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콘텐츠를 현지시장에 노출하고,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노리기 위하여서는 한국 문화관을 열거나 드라마 더빙 혹은 자막제작을 위한 비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현재보다 더 다양한 채널을 바탕으로 드라마를 유통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현지 제작자들과의 공동제작 형태를 고려해볼 필요도 있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 케냐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국가의 민족성, 지역성, 사회적 관습을 파악하고 한류가 보다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조사하고자 했다. 국내 방송사업자와 정부기관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류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케냐의 사회문화적 특성, 케냐 현지 거주민들의 사고체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는 케냐를 비롯한 아프리카 현지에의 한류 및 방송 콘텐츠 확산을 위한 국내 정책입안자들에게 직간접적인 도움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생활 적응 사례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of Social Welfare Practice a Case Study on Adaptation of Family Life to Married Women Migrant)

  • 허명준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07-115
    • /
    • 2020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문화 간 차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원만한 가정생활을 누리기 위해서 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서는 첫째, 문화 간 차이 극복하기 위한 실천방안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문화 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내담자를 위해 그들의 인종, 문화, 민족, 성별, 성적 지향의 배경에 부합하는 개입양식을 사용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둘째, 전문교육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의 사회복지 과목에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관련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족지원법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가족문화의 이해라든가, 결혼이주여성 상담이라는 항목이 결여되어 있는 등 보완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대두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결혼여성이민자들은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한국생활이 자국의 생활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어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내심과 높은 수준의 노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방안이 요구된다.

한국 전통복식미의 현대적 활용 (Adapting Korean Traditional Beauty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 금기숙
    • 복식
    • /
    • 제19권
    • /
    • pp.29-40
    • /
    • 1992
  • The aesthetic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s been used as one of the design themes in the field of Korea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r western style clothing. Using the Korean aesthetic comes from the idea that such ethnic beauty could gain an international reputation. The beauty of the Korean costume is rooted in the particular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 the aesthetics of nature, personality, the evil's eye. and tradition. From an artistic viewpoint, the formative elements are analyz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form including line and shape, color, pattern, materials and ornaments.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costume are transformed into present fashion design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fashion ; form including line, color, pattern, materials and ornamentation. To express Korean atmosphere, adapting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needle cases, hinges of furnitures, closing function of big gate are active, As a conclusion, the actual fashion design of adapting Korean beauty are so confined to the original form of Korean Dress that the results of design are tend towards ethnocentric atmosphere. Therefore, to understand and express traditional Korean beauty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one has to keep in mind the aesthetic of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en one must develop and pursue one's own methods of adapting Korean beauty. The sophistication and refinement of fashion design could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deep appreciation of the Korean culture. The second, the sense of International perspective is needed to be understanded and obtaining public sympathy from an international society. The third, Critics and scholars are the most concerned with promoting Korean fashion at an international level. Korean fashion at an international level. Korean fashion design will only mature with the support of scholars and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they bring with them. The last, public support including government level is needed to enhence the standand of Korea fashion tod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