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현미(2018). "결혼여성이민자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 |
김현실(20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신간호학회지 20(2) : 188-198.
|
3 |
통계청.법무부(2019). 2019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
4 |
통계청(2019). 2018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
5 |
여성가족부(2019).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자료(별첨1).
|
6 |
여성가족부(2016).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
7 |
최명민 외(2015),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서울: 학지사.
|
8 |
지은구 외(2016). 최신사회문제론. 서울: 학지사.
|
9 |
정정순(2011),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과 문화적응",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 |
이종복 외(2014).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파주. 경기: 양서원.
|
11 |
박정하(2015),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2 |
김영옥(2012).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에서 나타나는 불안에 대한 연구: 경기도 S시의 필리핀 여성들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3 |
이동은(2016).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특징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4 |
홍규호(2016). "정책형성과정을 통해 본 다문화가족지원법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5 |
강유선(2020).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 태도의 발달궤적과 발달산물의 관계".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6 |
석인선(2019).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파주. 경기: 정민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