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dium bromid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Scolopendrasin VII Derived from the Centipede,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 Lee, Joon Ha;Kim, In-Woo;Kim, Sang-Hee;Kim, Mi-Ae;Yun, Eun-Young;Nam, Sung-Hee;Ahn, Mi-Young;Kang, Dongchul;Hwang, Jae 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8호
    • /
    • pp.1275-1280
    • /
    • 2015
  • Previously, we performed de novo RNA sequencing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using high-throughput sequencing technology and identified several antimicrobial peptide candidates. Among them, a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 scolopendrasin VII, was selected based on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length, charge, and isoelectric point. Here, we assessed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scolopendrasin VII against U937 and Jurkat leukemia cell lines. The results showed that scolopendrasin VII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e leukemia cells in MTS assays. Furthermore,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acridine orange/ethidium bromide staining revealed that scolopendrasin VII induced necrosis in the leukemia cells. Scolopendrasin VII-induced necrosis was mediated by specific interaction with phosphatidylserine, which is enriched in the membrane of cancer cell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d that scolopendrasin VII induced necrotic cell death in leukemia cells, probably through interaction with phosphatidylserine. The results provide a useful anticancer peptide candidate and an efficient strategy for new anticancer peptide development.

Lactobacillus acidophilus GP4A 박테리오신의 정제, Bacteriolytic 작용 및 생산 관련 Plasmid의 선별 (Purification, Bacteriolytic Action and Plasmid Isolation of Acidocin 4A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GP4A)

  • 한경식;전우민;김영훈;김세헌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114-119
    • /
    • 2003
  • Lactobacillus acidophilus CP4A 균주가 생산하는 acidocin 4A를 정제하고자 ammonium sulphate 침전법 , Octyl-sepharose CL-4B column chromatography, $C_{18}$ Sep-Pak cartridge, $C_{18}$ RP HPLC, HPLC gel filtration을 실시하였고 tricine SDS-PAGE를 통해 약 4.1 kDa의 박테리오신임을 확인하였다. Acidocin 4A의 항균작용 기작을 L. delbrueckii subsp. lactis ATCC 4797을 대상으로 TEM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세포벽이 해리되고 세포벽사이로 세포내용물이 용출되어 궁극적으로 cell lysis가 일어나는 bacteriolytic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acidocin 4A의 생산에 관련된 유전자의 존재 위치를 파악하고자 EtBr을 이용한 curing방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약 20 kb 크기의 plasmid에 acidocin 4A 생산과 자체 면역에 관련된 유전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seudomonas putida로 부터 분리한 cryptic플라스미드의 제한효소지도 (Restriction map of a cryptic plasmid from Pseudomonas putida)

  • 김훈규;고상균;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1
    • /
    • 1986
  • Pseudomonas의 분해계 플라스미드와 이들에 유용한 벡터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실에서 분리, 보존하고 있는 Pseudomonas 중에서 P.putita KU 190으로부터 하나의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해석코저 하였다. size marker로 RP4와 pSy343를 사용하여 플라스미드의 크기를 결정한 바 41Kb로 나타났으며, 이 플라스미드를 pKU 41라 명명하였다. 제한효소 Bglll, BamHl, Eco Rl, HindIII, Sall등으로 이 플라스미드를 소화하여 이들의 제한효소 pattern을 조사한 결과, Bg III가 1. BamHl 3, Hin dIll는 3, EcoRI은 6 그리고 SalI은 13개 이상의 절단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이 제한효소의 절단부위, 토막들의 크기로부터 BamHI, HindIII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였다. 플라스미드의 생울학적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탄화수소 자화능에 대한 큐어링 실험을 하였으나 이로부터 뚜렷한 관련성 여부를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Anticancer Activity of Periplanetasin-5, an Antimicrobial Peptide from the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 Kim, In-Woo;Choi, Ra-Yeong;Lee, Joon Ha;Seo, Minchul;Lee, Hwa Jeong;Kim, Mi-Ae;Kim, Seong Hyun;Kim, Iksoo;Hwang, Jae 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0호
    • /
    • pp.1343-1349
    • /
    • 2021
  • Cockroaches live in places where various pathogens exist and thus are more likely to use antimicrobial compounds to defend against pathogen intrusions. We previously performed an in silico analysis of the Periplaneta americana transcriptome and detected periplanetasin-5 using an in silico antimicrobial peptide prediction meth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periplanetasin-5 has anticancer activity against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K562. Cell growth and survival of K562 cells treated with periplanetasin-5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using flow cytometric analysis, acridine orange/ethidium bromide (AO/EB) staining and DNA fragmentation, we found that periplanetasin-5 induced apoptotic and necrotic cell death in leukemia cells. In addition, these event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the pro-apoptotic proteins Fas and cytochrome c and reduced levels of the anti-apoptotic protein Bcl-2. Periplanetasin-5 induces the cleavage of pro-caspase-9, pro-caspase-8, pro-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The above data suggest that periplanetasin-5 induces apoptosis via bo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pathways. Moreover, caspase-related apoptosis was further confirmed by using the caspase inhibitor carbobenzoxy-valyl-alanyl-aspartyl-[O-methyl]-fluoromethylketone (Z-VAD-FMK), which reversed the periplanetasin-5-induced reduction in cell viability. In conclusion, periplanetasin-5 caused apoptosis in leukemia cells, suggesting its potential utility as an anticancer therapeutic agent.

한국인 신생아 황달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의 다형성 (The relation betwee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gene polymorphism and neonatal hyperbilirubinemia in Korea)

  • 김미연;이재명;김지숙;김은령;이희제;윤서현;정주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호
    • /
    • pp.28-32
    • /
    • 2007
  • 목 적 : ACE 유전자에 인트론 16의 287 bp 삽입(I) 혹은 결손(D)에 의한 다형성이 존재하고, 그 중 DD 유전형은 ACE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ID 다형성은 고혈압 또는 관상동맥 질환, 당뇨병성 신증, IgA 신장염 등 만성 신질환, 만성 B형 간염, 간경변증, 급성간염에서 위험인자로 알려졌다. 신생아 황달은 동아시아인이 서양인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여 유전적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ACE 다형성과 한국인 신생아 황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 mg/dL 이상의 건강하고, 위험인자가 없는 만삭아 중 신생아 황달 환자 110명과 대조군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을 0.5 cc를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였고 ACE 유전자 다형성은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1.5% 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시켜 ethidium bromide로 염색한 후 유전자형을 확인하였다. 결 과 : ACE 유전자 다형성은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군 110명중 59명(53.6%)에서 DI 유전형을 보였고, 29명(26.4%)에서 II 유전형, 22명(20%)에서, DD 유전형을 나타냈다. 대조군 164명에서는 85명(51.8%)이 DI 유전형을 보였고, 40명(24.4%)에서 II 유전형을 보였으며, DD 유전형은 39명(23.4%)에서 나타났다. 대립유전자 빈도는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군에서 I 0.532, D 0.468의 분포를 보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I 0.503, D 0.497로 비슷하였다. 결 론 : 한국 신생아에서 ACE 유전자 다형성은 DI 유전형이 많았으나,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차이가 없어 한국인 신생아 황달의 발생과 연관이 없었다.

폐암 세포주에서 염색체 3p14.2에 위치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FHIT gene Located in Chromosome 3p14.2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철현;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84-991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서 3p의 allelic loss가 매우 흔하게 관찰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구역에 암억제유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과거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몇몇 후보 유전자들이 밝혀져 있을 뿐, 확실한 암억제유전자를 규명해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HIT(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후보 암억제유전자로서 3p14.2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도, 위, 두경부암 등의 여러 종양에서 이 위치의 homozygous deletion이 보고된 바 있다. 서열 분석상 이 유전자는 human genome 중 손상에 가장 취약한 곳중 하나인 FRA3B fragile site와 신세포암에서 잘 발견되는 t(3;8) chromosomal translocation의 breakpoint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정과 함께 폐암에서 3p의 allelic loss가 특히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자들은 폐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을 살펴봄으로써 암억제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1개 세포주(비소세포폐암 : 16, 소세포폐암 : 5)를 배양하여 RNA를 분리하였고 reverse transcription을 시행하여 single-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FHIT 유전자의 exon 5에서 exon 9에 해당하는 coding region을 PCR로 증폭하였다. 이 PCR product를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1.5 %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band를 관찰하였다. 결 과: 총 21개 폐암 세포주중 12개(57%) 세포주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3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9개). 16개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중 7개 (44%)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2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5개). 5개의 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는 5개(100%) 모두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1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4개). 결 론: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은 폐암, 특히 소세포폐암에서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FHIT 유전자가 폐암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암억제유전자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소견이라 생각된다.

  • PDF

RAPD 표지자 분석 에 의한 가시아메바속 한국분리주의 유전적 지위 (Genetic status of Acanthamoeba spp. Korean isolates on the basis of RAPD markers)

  • 홍용표;오승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41-348
    • /
    • 1995
  • 가시아메바 속(Accnthamoeba spp.)의 DNA 염기 구성 정보와 관계없이 임의의 10개의 엽기로 구성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olymerase chain reaction(RAPD-PCR)에 의해 게놈 상의 DNA를 무작위로 증폭하여 확인된 표지자로써 한국 분리주 및 외국 분리주와 기존의 알려진 4개 가시아메바 종간의 유전적 근연관계 분석을 통해서 4개 한국 분리주의 분류상의 성상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A. culbertsoni, A. hokchetti, A. triangularis, A. pokphrwc와 한국 분리주인 YM-2 YM-3, YM-4 YM-5 그리고 외국 분리주인 HOV의 게놈 DNA는 18 종류의 프라이머에 의하여 다양한 양상의 증폭산물을 보였으며 그 중 9개 프라이머는 한국 분리쿠간에도 특이성을 보이는 RAPD 표지자를 제공하였다. 총 18개의 프라이머에 대한 증폭 산물을 대상으로 각 시료의 유사도를 조사한 결과, A. culbertsoni는 A. hakhetti, A. triangularis, A. polyphuga와 유사도가 각각 0.300, 0.308, 0.313이었고, A hqkchetti와 A. triangularis간의 유사도는 0.838이었다. 한국 분리주 YM-2, -3, -4 간의 평균 유사도는 0.959이었고, YM-2, -3, -4 와 A. hotchetti, A. triangularis 간의 평균 유사도는 0.832이었다. 한국 분리주 YM-5는 YM-2, -3 -4 간의 비교에서 평균 0.237의 유사도를 보인 반면, A. culbersoni와 유사도 0.857을 보여, 다른 한국 분리주보다 A. culbertsoni와 유전적으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UPGMA법에 의한 유전적 근 연관계 분석 결과 phonogram 강에 두개의 분지군이 존재하는데, A. hakchetti, A. triangularis 및 3개 한국 분리주(YM-2, -3 -4)가 하나의 분지군을, A. cuzburtsoni, A. polyphaga HOV주, 및 YM-5가 따른 분지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놈 DNA 상의 변이에 근거하여 볼 때, YM-5 주늘 유전적으로 A. culbertsoni와 거의 유사한 분리주이며 한국 분리주는 최소 2종 이상의 가시아메바로 분류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신선초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 on Apoptosis of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정유진;강금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54-1661
    • /
    • 2011
  • AKE의 농도별 처리가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화학적인 방법인 MTT 분석, 이중 핵 염색법(Hoechst 33342/EtBr staining), FACS를 통하여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MTT 분석 결과, 150 ${\mu}g$/mL 처리 군에서 대조군에 대비하여 약 50%의 세포사멸을 나타내었으며 세포사멸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p<0.05), 이중 핵 염색법을 이용하여 세포사의 구분 결과 능동적 세포예정사인 apoptosis가 농도 의존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p<0.05), 특히 150 ${\mu}g$/mL 처리군에서 현저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보다 더 명확한 세포사멸을 확인하기 위하여 FACS를 이용한 apoptosis 측정 결과, 처리군 간 크게 차이를 보이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세포사멸관련 mRNA 유전자 발현을 관찰한 결과,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 Bcl-2는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p<0.05), 세포사멸 유도 유전자 Bax는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세포사멸의 지표인 Bcl-2/Bax의 비율은 농도 의존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p<0.05), 세포사멸유도의 마지막 단계의 실행자인 caspase-3의 활성도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AKE는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선초의 항암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향후 in vivo 실험에서도 신선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에서 multiplex RT-PCR에 의한 인후부 상주균 검출 (Detection of nasopharyngeal carriages in children by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 신지혜;한혜영;김선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58-1363
    • /
    • 2009
  • 목 적:호흡기 감염의 증상이 없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다중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mRT-PCR)을 이용하여 비인두 상주균의 이환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8년 7월 25일부터 28일까지 33명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비강 면봉채취법으로 검체를 채취하였으며, 이들은 검체 채취 당시 심각한 호흡기 감염의 증상이 없었다. 모아진 검체에서 DNA를 추출한 후 multiplex primer set ($Seeplex^{(R)}$ PneumoBacter ACE Detection, Seegene, Seoul, Korea)로 PCR을 진행하였다. 증폭된 반응산물은 2% agarose gel과 전기 영동 자동화 시스템인 screen tape system (Lab901, Scottland, UK)에 각각 전기 영동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전체 33명의 소아 중 남아는 15명 여아는 18명이었으며, 나이는 3.2세에서 16.3세로 중앙값은 8.2세였다. mRT-PCR 결과 30명(90.9%)의 소아들에서 양성을 보였으며(S. pneumoniae, H. influenzae, C. pneumoniae, B. pertussis), 이들 중 13명(39.4%)에서 2가지 이상의 균이 검출되었다. 균의 종류로는 12명(36.4%)에서는 S. pneumoniae와 H. influenzae, 1명(3.0%)에서는 S. pneumoniae, H. influenzae와 C. pneumoniae이 검출되었다.. 결 론:mRT-PCR은 비인두 상주균의 동정에 있어서 민감도가 높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비인두 상주균에 대한 PCR 결과가 소아들의 임상 양상과 어느 정도 일치할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파민의 위암세포증식에서의 역할 (Roles of Dopamine in Proliferation of Gastric-Cancer Cells)

  • 정희준;박기호;채현동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32-138
    • /
    • 2006
  • 목적: 도파민은 중추신경전달물질이지만 위장관에서 도파민수용체와 결합하여 점막상피세포 증식, 상피세포의 보호, 위암 세포증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기원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도파민과 각각의 도파민 수용체가 위암 세포 증식과 억제에 작용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위암세포기원에서 각각 유래한 세포주인 SNU601과 KCU-C2를 이용하여 RNA 추출 후 RT-PCR 시행 후 도파민수용체 D1, D2L과 D2S 각각에 대한 primer로 PCR을 시행하여 수용체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도파민과 Dl 수용체의 대항제인 SCH 23390과 D2 수용체 대항제인 raclopride를 사용하여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KCU-C2 세포주에서 D1과 D2L과 D2S 유전자 mRNA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는 모두 높은 발현을 보였지만, SNU 601 세포주에는 mRNA의 발현이 모두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D2L mRNA는 발현되고 있지 않았다.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증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D1과 D2S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D2L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파민이 위암의 세포증식과 억제에 관여하며, 도파민의 이러한 효과는 도파민의 신호가 어느 수용체를 통해 전달되었느냐에 따라 위암세포의 증식과 억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